삼백 년 전 베스트셀러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사랑받는 책들이 있다. 그 책을 읽어야 사람들 이야기에 낄 수 있고, 사 보거나 빌려 보려고 애태우며 기다리는 책, 이야기가 어떻게 끝나는지 궁금해 단숨에 읽어 버릴 수밖에 없는 책.
여기, 삼백 년 전 베스트셀러 한 권이 있다. 중국 명나라의 한 집안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한글로 쓴 책이다. 이 책은 특이하게도 사대부와 백성,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사랑받았고, 임금에게까지 알려졌다고 한다. 이본이 74본에 이를 정도로 많이 필사되고 인쇄되었으며, 조선 후기 성행했다는 세책방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1910년대에는 딱지본 소설(또는 육전소설)로 나와 숱하게 팔렸고, 요즘 독자들에게도 ‘술술 읽게 되는 재미있는 책’이라는 평을 듣는다. 이런 인기의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이 책이 재미와 의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기 때문이다. 아슬아슬하고 박진감 넘치는 전개와 통쾌한 응징으로 재미를, 유교 질서의 모순과 임금의 잘못을 꼬집는 풍자로 의미까지 함께 담아냈다.
양반집 현숙한 부인 사 씨가 집에서 쫓겨나 남쪽 지방을 떠돌게 된 이야기, 바로 《사씨남정기》다.
사대부가 한글로 쓴 소설, 우리 문학의 혁신
보리 청소년 고전 ‘만남’ 시리즈 네 번째로 선보이는 《사씨남정기 삼국유사-청소년들아, 김만중을 만나자》는 17세기 문신이자 소설가 김만중이 한글로 쓴 소설이다.
사대부 대부분이 한글을 천하게 대하고 소설을 하찮게 여기던 시기에 한글로 소설을 쓴 것은 그야말로 혁신이었다. 김만중은 한글로 쓴 송강 정철의 가사를 칭찬하면서, 남의 나라 말로 시문을 짓는 것은 앵무새가 사람을 흉내 내는 것과 같고 마을의 나무하는 아이와 물 긷는 아낙네들이 흥얼거리는 소리가 참된 것이라고 했다. 또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소설이라며 소설의 힘을 앞세웠다.
김만중이 유배지에서 어머니를 위해 《사씨남정기》를 썼다고 알려졌지만, 유교적 가족제도의 문제점, 처첩 사이 갈등, 적서 차별의 폐해, 인현왕후가 폐위되고 장희빈이 중전이 된 일을 비판하기 위해 썼다고 알려졌다. 이런 생각들을 재미있는 이야기에 담아 누구나 읽기 쉬운 우리글로 썼다.
보리 청소년 고전 《사씨남정기》는 북녘 학자 림호권이 옛글로 남아 있는 원전을 요즘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옮겨 쓴 글을 바탕으로 현직 국어교사인 박소연 작가가 청소년들이 읽기 쉽게 문장을 더욱 쉽게 다듬고 설명을 달았다. 또 무돌 작가의 생동감 넘치고 재치 있는 그림을 넣어 흥미를 더한다.
사씨남정기의 선과 악, 지금은 어떻게 봐야 할까?
《사씨남정기》의 주인공 사정옥은 유교사회에서 이상적으로 여기는 여성이다. 덕이 많고 글 솜씨가 뛰어나고 베 짜기, 수놓기 같은 ‘여성의 일’도 잘했으며 미모까지 갖췄다. 사정옥은 집안의 대를 이을 아들을 낳지 못한 자신을 탓하며 첩을 들이자고 한다. 그 뒤 억울한 누명을 쓰고도 참고 처분을 기다리기만 할 뿐 누명을 벗으려고 나서지도 않는다. 모진 일들을 다 겪고 난 뒤에도 가문을 위해 다시 첩을 들인다. 김만중이 살던 시대에 사정옥의 이런 행동들은 분명 ‘선’이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이것을 ‘선’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때는 맞는 것이었지만 지금은 틀린 것들을 하나하나 짚어 보는 것도 의미 있다. 지금 우리가 옳다고 굳게 믿는 것들을 삼백 년쯤 지나서는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 ‘선’도 있다. 사정옥은 인간의 도리를 지켰다. 사정옥은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고, 도움을 건네는 이들에게 진심으로 고마워했다. 그리고 신분에 상관없이 사람을 귀하게 여겼다. 사람을 속이고 이용하며 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교채란의 ‘악’도 지금의 ‘악’과 다를 바가 없다. 《사씨남정기》에 또렷이 드러난 선과 악을 살펴보면서 선과 악에 관해 생각의 가지를 뻗어 보는 것은 뜻깊은 일이다. 그리고 이것이 오래된 고전소설을 다시 꺼내 읽는 이유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