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잊지 않을게. 반짝이는 별이 된 너의 짧은 여행
- 우리가 몰랐던 일상, 이별에 관하여
만남이 있으면 이별이 있고, 탄생이 있으면 죽음이 있다. 너무나 자명한 사실인데 우리는 종종 그 사실을 까맣게 잊고 지낸다. 뉴스 기사에 딱딱한 폰트로 뜨는 사건, 사고 혹은 누군가의 부고 소식을 통해 이따금 떠올릴 뿐, 이별이 길거리를 나뒹구는 현실을 외면한 채 지낸다.
시집 『슬퍼하지 말아요, 이별도 당신을 떠날 거예요』는 우리 주변의 숱한 이별을 따뜻한 시선으로 보듬는다. 특히 시집에서 주로 다루는 이별은 ‘약자의 죽음, 희생’이다. 수록시 「길 위에 사라져간 것들을 위하여」에서는 “말없이 사라져간 것들”, “꺼져가는 불꽃”, “떨어지는 꽃잎”, “사라져간 생명”에 대해 노래한다. 너무 작아서, 소리가 없어서 마지막 순간을 지켜봐주는 이 하나 없이 사라져간 것들을 시로써 애도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길고양이’다. 「별이 된 흰둥이와 삼색냥이」, 「길냥이의 하루」, 「세상의 모든 나비들에게」 등의 시에서 길고양이는 소리 없이 스러져 가는 생명, 안타까운 희생을 대변한다. 힘도 없고 구조를 요청할 언어도 쓰지 못하는 작은 생명들은 취객이 던지는 돌, 무섭게 달리는 자동차 앞에서 속수무책이다. 그리고 똑같은 죽음인데 인간은 반듯한 묘비가 세워진 곳에 묻히고, 길고양이는 쓰레기봉투에 버려져야 한다. 화자가 맞아 죽은 새끼고양이를 쓰레기봉투에서 꺼내 풀숲에 묻어주자 내내 울던 형제 고양이는 그제야 자리를 떠난다.(「별이 된 흰둥이와 삼색냥이」)
이처럼 안타까운 죽음을 돌아보지 않는 세상의 매정함에 화자는 “죽어가는 생명 앞에/침묵하는 것이/삶이라면/내 삶은 차라리/죽음으로/침묵하겠어요”라고 저항한다. 죽음, 이별을 불편하다고 외면하는 사람들에게 화자는 기억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버림받고 상처받은 이들을 기억함으로써 생명과 지금 곁에 있는 이들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느낄 수 있다.
시인은 뒤돌아본 삶이 아름답게 보인다면 그건 아마 당신에게도 저항해보지 못한 슬픔이 있어서라고 말한다. 만남과 이별, 탄생과 죽음은 떼려야 뗄 수 없는 한 쌍으로 우리의 삶을 색색으로 물들인다. 이별을, 슬픔을, 죽음을 기억하자. 펑펑 울고 가슴 아파하자. 언젠가는 그 이별과도 헤어질 날이 올 것이다. 그렇게 당신의 슬픔도 지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