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모더니즘 시의 주류 ‘사계파’의 대표 시인 미요시 다쓰지의 데뷔 시집 《측량선》의 국내 첫 완역본이다. 신선한 리리시즘과 치밀한 언어 감각으로 높이 평가받는 이 시집은 서정성과 품격, 서구 상징시의 작풍을 겸비한 쇼와 시대의 대표 시집이기도 하다.
미요시는 그의 첫 시집인 이 책에서 특유의 사생적 방법으로 입체적인 언어의 음악성을 추구하여 현대 서정시의 전개에 전기를 마련했다. 시인은 이 시집에서 단가, 소네트, 산문시, 순수 서정시, 문어 시와 단가 등 여러 다양한 형식을 실험한다. 도쿄제국대학 불문과 출신이었던 미요시는 프랑스 시의 영향을 크게 받아, 그의 시의 순수한 서정의 밑바닥에는 고독감, 비애, 슬픔의 시혼이 흐른다. 그러면서도 일본 서정과 고전적인 우미(優美)함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전통적인 미학인 ‘모노노아와레’의 맥을 이은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이 책을 번역한 김정신, 심종숙은 한국 시 및 일본 근현대 시, 비교문학의 연구자들인 동시에 시집을 여럿 써낸 시인이기도 하다. 두 시인 겸 번역가는 미요시 다쓰지의 시와 시 세계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충실하고 정확하게 원전을 옮기면서도 한국어로도 온전하게 시를 음미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미요시 다쓰지는 1920년 19세 때 만 1년간 북한의 회령에서 군 복무를 하고 다시 1940년에 한국의 경주 등지를 방문하여 한국과 관련한 시와 기행문을 여럿 남긴 것으로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 책《측량선》의 〈마을 3〉, 〈까마귀〉, 〈정원 1〉, 〈밤〉은 1920년 당시 군 생활을 회상하며 쓴 시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미요시의 시 세계와 조선과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설을 곁텍스트로 실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