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 장윤현 감독, 배우 송윤아 추천!
“어쩌면 인간이란 이런 식으로밖에 살아갈 수 없는지도 모른다.
티 없이 말끔하게 행복한 삶도, 아주 작은 기쁨도 없이
내내 불안하기만 한 삶도 불가능하다.
행불행(幸不幸)의 가차 없는 교차만이 우리의 삶일 거라고,
그럴 수밖에 없을 거라고 김정태의 시는 말한다.” _박다솜(문학평론가)
“바다를 보며 시인을 꿈꾸던 한 인간의 거침없는 자맥질”
시인,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사실 그런 이미지가 있다는 것도 우스운 일이다. 어쨌든 배우 김정태는 그간의 배역만 보더라도 시인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친구》의 도루코, 《우리 형》의 쫄바지, 《해바라기》의 양기, 《똥개》의 진묵…. 그가 출연한 영화를 한 번 이상 접했다면 그의 거친 이미지와 시의 간극에 조금은 어리둥절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그는 누구보다 여린 문학 소년이었다. 어쩌면 아픔과 가난으로 점철된, 희망이라고는 찾아볼 수도 없는 풍경 속에서 유년 시절을 보낸 덕이기도 하다. ‘예술은 고통의 산물’이라는 말처럼 김정태는 연기뿐만 아니라 시로도 그 고통을 해석하기에 이른다.
“가족, 그 처절하고 끊임없는 이름”
이 시집에는 여러 인물이 등장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특히 ‘가족’의 존재가 두드러진다. 형과 여동생, 엄마, 두 아들, 그리고 아내…. 외딴 세상을 가족의 사랑으로 말미암아 살아가는 일종의 ‘생존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어린 시절의 회상은 회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른 혹은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가는 한 개인의 전반적인 서사를 아름답게 꾸며낸다. 가령 그때의 화자가 없었다면 지금의 화자가 있을 수 없다는 듯 시집 전체에 ‘생채기’의 진행 과정을 관통시키는 것이다. 해설을 쓴 박다솜 평론가의 해설 제목처럼, 지금도 여전히 그의 “삶은 시가 되”어 가고 있다. 보이지 않는 소망, 오직 그것을 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