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인공지능(AI) 반도체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
30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발표한 시장 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AI 반도체 매출은 작년 536억6천만달러(약 73조원)에서 올해 712억5천만달러(약 97조원)로 33%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또 올해 AI PC 출하량은 전체 PC 출하량의 22%를 차지하고, 2026년 말에는 기업용 PC 구매의 100%가 AI PC일 것으로 내다봤다.
컴퓨터 전자제품 부문 내 AI 칩 매출은 334억달러로, 전체 AI 반도체 매출의 47%를 차지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AI 칩 수요 증가로 AI 가속기의 가치도 올해 210억달러에서 2028년 기준 330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가트너는 예상했다.
AI 반도체 주도권을 둘러싼 반도체 공급 업체와 테크 기업 간 치열한 경쟁도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엔비디아가 선점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AWS와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자체 칩 개발에 막대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어
엔비디아 독주체제도 흔들릴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경우 자체 반도체 기업 설립을 위해 대규모 투자 유치에 나선 바 있다.
엔비디아는 현재 첨단 GPU 시장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빅테크 경쟁사와 수많은 스타트업, 인텔을 비롯한 반도체 기업들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최근 "금융·인프라·연구개발(R&D)은 물론, 중소·중견기업 지원까지 아우르는 20조 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며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방안을 공개했다.
우선적으로 산업은행에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당사는 시장이 확대되는 차세대 반도체 시장의 기술 개발동향 및 시장전망을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으며,
관련 시장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