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고전〉 시리즈 No. 1
소전문화재단 선보이는 장편소설 시리즈 첫 책
한국 장편소설의 새로운 신호탄
소설과 소설 바깥, 현실과 꿈을 넘나들며
인간 삶의 심연을 더듬어 가는 소설가
김갑용 신작 장편소설
『냉담』
〈내일의 고전〉 시리즈 첫 책으로 소설가 김갑용의 『냉담』이 출간되었다. 장편소설 작가를 후원하는 소전문화재단은 시대의 고전이 탄생하기를 희망하면서 소설과 소설 바깥, 현실과 꿈을 넘나들며 인간 삶의 심연을 더듬어 가는 소설가 김갑용의 첫 장편 『냉담』으로 시리즈의 포문을 열었다.
첫 단편집 『토성의 겨울』에서 보여 준 〈소설가라는 존재〉와 〈소설 쓰기〉를 통해 인간과 세상의 본질을 찾아가고자 하는 그의 일관된 태도는, 2022년 전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개인과 공동체 사이의 어그러진 괴리감과 만나면서 더욱 본격적으로 깊어지고 확장되었다.
오직 허구를 전제로 하는 〈소설 쓰기〉를 통과하여 세상의 진실에 가닿을 수 있다는 그의 소설관은 이번 작품 『냉담』 전체를 통해 더욱 선명히 드러난다.시공간을 뛰어넘어 인간 보편의 진실에 가 닿는 문학을 염원하는 〈내일의 고전〉 시리즈의 첫걸음으로서 제 궤도에 올라서는 데에 충실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냉담』은 동정심과 죄의식 그리고 감정의 표현이 쇠약해진 한 남자가 거리에서 불명의 여자를 갑작스레 만나면서 벌어지는 내외부의 변화를 그린 소설로, 공동체 안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지키려 분투하는 한 인간의 모습을 밀도 있는 문장과 다양한 소설 기법으로 구현한다. 진실을 찾아가는 자신의 운명이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는 것임을 알아채는 주인공의 모습은, 냉담하고 속물적인 공동체 안에서 인간 삶의 불완전성을 받아들이는 하나의 〈보기〉가 된다. 김갑용은 이 작품에서 지금까지 벼려 온 사고의 폭과 깊이를 발휘하여 자신의 소설 경력 중 현재의 순간에만 쓸 수 있는 이야기를 쓴 뒤, 그다음 단계로 나아가려 한다. 이 소설은 2022년 소전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집필되었으며, 1년 여의 후숙 과정 거쳐 320여 면에 담아 독자들 앞에 선보인다.
『냉담』은 삶에서 죽음을 지우고 특색 없는 얼굴, 무표정을 짓고 있는 소설이다. 냉소나 냉정이 아니라 냉담인 이유는 그것이 차갑다기보다 투명하기 때문일 것이다. (……) 표백된 삶 속에서 냉담하게 살아가지 않으려면 스스로 소설 속으로 뛰어드는 수밖에 없다고, 픽션과 함께 존재해야 한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는 듯하다. 아니 이렇게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우리는 이미 소설이라고.
-노태훈, 문학 평론가
한갓 재미있는 이야기를 꾸며 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삶의 속성이 허구와 연동한다는 진실을 적시하는 기제이기에 김갑용은 다름 아닌 소설을 쓴다.
-허희, 문학 평론가
도시라는 미로에 갇힌 삶, 모든 감정을 거세당한 채로, 그저 벌어지는 끔찍한 일상을 버텨 내야만 1인분을 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람이 되는 걸까? (……) 도시의 삶에서 이런 고질병을 앓고 있는 존재가 내가 아니라면, 이건 〈너〉의 이야기가 되고 만다. 〈나〉와 〈너〉는 결국 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우리〉가 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니. 우리가 왜 서로를 소외하지 않아야 하는지. 냉담하지 않아야 하는지 다시금 깨닫게 된 것 같다. 읽는 사람에게 생각의 트임을 줄 작품.
jo jo, 독자 서평단
그렇지만, 분명 이 소설은 새로운 이야기다. 코로나 시대, 마스크로 얼굴을 가려도 아름다운 〈눈〉은 가릴 수 없었듯이, 도서관이 책의 무덤이 되었다고 해도 누군가는 책을 진심으로 읽고, 누군가는 숨어서라도 진심을 담아 글을 쓴다. 우리에게는 〈희망〉이 있다.
spell42, 독자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