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를세우는옛문장들

나를세우는옛문장들

  • 김영수
  • |
  • 생각연구소
  • |
  • 2013-04-30 출간
  • |
  • 544페이지
  • |
  • ISBN 978896260580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저자 서문 말이 달라지면 인생의 길이 달라진다

一. 생사(生死) ː 어떻게 죽을 것인가
죽음이 삶을 결정한다 | 구우일모(九牛一毛)
그 길이 내 길이라면 | 거세혼탁(擧世混濁), 유아독청(唯我獨淸)
나는 무엇을 위해 죽을 수 있는가- | 사위지기자사(士爲知己者死)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것 | 각종기지(各從其志)
일어나야 할 때는 박차고 일어나라 | 게간이기(揭竿而起)
용의 꼬리냐 뱀의 머리냐 | 영위계구(寧爲鷄口), 물위우후(勿爲牛後)
열정과 오만의 경계 | 거정절빈(擧鼎絶-)
배운 자의 아부가 가장 역겹다 | 곡학아세(曲學阿世)
마음의 귀머거리 | 과염선치(寡廉鮮-)
반성이야말로 진정한 자기변명 | 구합취용(苟合取容)
흔적이 남을 때까지 머무르지 말라 | 구수존명불상(久受尊名不祥)
일도 관계도 관건은 정도(定度) | 배반낭자(杯盤狼藉)
노려만 보지 말고 꾸짖고 포용하라 | 애자필보(--必報)
위기관리에 적극 투자하라 | 좌불수당(坐不垂堂)
자세와 태도 그리고 심기(心氣) | 좌지우출(左支右-)
화려한 곡선보다 단순한 직선 | 견인질직(堅忍質直)
양보는 통 크게, 약속은 반드시 | 퇴피삼사(退避三舍)
가장 수준 높은 은둔의 경지 | 피세조정지간(避世朝廷之間)
아, 나를 알아주는 친구여 | 관포지교(管鮑之交)
아차 하는 순간이 가장 빠른 때 | 한상지만(恨相知晩)

二. 관조(觀照) ː 이성과 감성의 조화
불공평한 세상을 한탄하다 | 당소위천도(?所謂天道), 시야비야(是邪非邪)
작은 실수를 줄여라 | 실지호리(失之毫厘), 차이천리(差以千里)
암탉이 울면 알이 생긴다 | 빈계지신(牝鷄之晨), 유가지색(惟家之索)
나만 지키는 게임의 룰 | 송양지인(宋襄之仁)
오만 뒤에 어른거리는 ‘토사구팽’의 음영 | 다다익선(多多益善)
부가 아래로 분산되면 민심이 화합한다 | 갈의불완(褐衣不完)
그 자리에 있기만 해도 득(得) | 고목후주(枯木朽株)
어둠 속에 던져진 보배를 찾는 눈 | 명주암투(明珠暗投)
영혼의 자유분방함에서 나오는 언어 | 광양자자(洸洋自恣)
허세는 텅 빈 내면의 절규 | 대계패돈(戴鷄佩豚)
오만과 편견 | 대분망천(戴盆望天)
높은 도는 낮은 자세에서 | 도고익안(道高益安)
명성을 사고파는 세상 | 명성과실(名聲過實)
이유 있는 복수 | 도행역시(倒行逆施)
화를 내려면 제대로 내라 | 발지목렬(發指目裂)
관계의 묘미는 시간과 비례하지 않는다 | 백두여신(白頭如新)
억만금을 가진 ‘무가치’한 존재의 값은- | 불직일전(不直一錢)
맛이 변한 것이 아니라 입맛이 변했기 때문 | 식여도(食餘桃)
우물 안 개구리 | 야랑자대(夜郞自大)
손을 잡았으면 마음을 품어라 | 좌제우설(左提右?)
통찰은 직관과 이성의 결합 | 통견증결(洞見症結)

三. 활용(活用) ː 융통성(融通性)이란 유일한 원칙
활용에 정해진 원칙은 없다 | 파고이위환(破-而爲-), 착조이위박(-雕而爲朴)
‘활용불가’의 기준 | 벌공긍능(伐功矜能)
어렵고도 쉬운 불변의 원칙 | 봉공여법(奉公如法)
법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없애는 것이야 | 약법삼장(約法三章)
그게 진짜 법이란 걸 몰랐단 말인가 | 위법지폐(爲法之-), 일지차재(一至此哉)
호랑이의 위엄을 빌린 여우 | 좌건외역(左建外易)
사람이 아닌 법을 두려워하게 하라 | 중족이립(重足而立), 측목이시(側目而視)
내게 필요한가가 아니라 내가 필요한가를 생각하라 | 일목삼착(一沐三捉), 일반삼토(一飯三吐)
장기투자는 투자가 아닌 예술이다 | 기화가거(奇貨可居)
숨은 인재를 알아보는 밝은 눈 | 모수자천(毛遂自薦)
절대적 길이와 상대적 가치 | 척단촌장(尺短寸長)
물질과 정신의 미묘한 관계 | 식름실이지예절(食-實而知禮節), 의식족이지영욕(衣食足而知榮辱)
양심에 올려진 돈의 가치 | 불명일전(不名一錢)
판단력은 탐욕과 반비례한다 | 이령지혼(利令智昏)
백성을 쥐어짜는 혹리 | 이석추호(利析秋毫)
인재는 모셔와 따라야 하는 존재 | 비례후폐(卑禮厚弊)
예(禮)는 배려이자 상식이다 | 예금미연(禮禁未然)
세 가지 귀중한 가치 | 지행입명(砥行立名)

四. 언어(言語) ː 말은 마음의 소리
나라를 쥐고 흔드는 말, 말, 말 | 경위지사(傾危之士)
말의 빠르기에 담긴 이중성 | 기기애애(期期艾艾)
말과 글의 난이도(難易度)와 폐단 | 무문교저(舞文巧-)
심경(心境)의 마지노선에서 최선의 문장이 | 불능찬일구(不能贊一句)
설득력을 높이는 말의 기교 | 비물연류(比物連類)
이래도 저래도 개는 개다 | 상가지견(喪家之犬)
언외(言外)와 언내(言內) | 문정경중(問鼎輕重)
역설적 표현의 본보기 | 신지불신(臣之不信), 왕지복야(王之福也)
희대의 보물이 낳은 보물 같은 언어 | 완벽(完璧)
비유의 다양성과 과장성 | 용안(龍顔)
반복되는 말의 힘 | 삼인의지(三人疑之

도서소개


국내 최고 《사기》 전문가 김영수 선생의 3년 만의 신간.
《사기》 속 고사성어로 중국의 역사, 중국인의 마음을 읽는다.

《사기》는 읽는 나이에 따라 그 느낌과 반응이 다 다르다고 한다. 10대는 재미난 이야기에 넋을 빼앗기고, 20대는 사마천의 문체와 시대를 관통하는 기풍에 흠뻑 빠져들고, 40대 이상은 인정과 세상사 이치의 본질을 곱씹으며 마치 지금 자신의 모습을 2,000년 전 미리 예견하기라도 한 것 같은 사마천의 통찰력에 탄복한다고 한다. 하지만 누가, 언제 읽든 시공을 초월하여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은 바로 《사기》의 주옥같은 고사성어가 주는 매력이다.
한때는 구성이 복잡하여 읽고 있으면 어지러운 책이라는 난서(亂書)라 불렸고, 지금은 이해하기 어려운 책이라는 난서(難書)라고 불리는 《사기》가 국내 CEO들의 필독서로 자리매김하고,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쉽게 읽는 대중서로 입지를 굳힌 데에는 국내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사기》 전문가 김영수 선생의 역할이 컸다. 《사기》라는 한정된 콘텐츠를 매번 다양하게 변주하고 재해석하는 그가 이번에는 《나를 세우는 옛 문장들》(생각연구소 刊)을 통해 고사성어라는 키워드로 《사기》를 새롭게 풀어냈다.

25년간 100차례 넘게 중국을 방문하며 오로지 사마천과 《사기》 연구에 천착해온 김영수 선생은 고사성어만큼 중국인의 사유체계를 압축적이고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수단은 없다고 말한다. 아주 긴 이야기를 단 두 글자에서 열 글자 이내로 압축 요약할 수 있다는 것이 한자의 특징이자 장점이며, 중국 문화의 진수라는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시인이자 정치가, 외교관이던 굴원(屈原)이 망해가는 조국의 비극을 차마 볼 수 없어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지는 장면을 회석수자침멱라이사(懷石遂自沈?羅以死)라고 묘사했다.(5∼6쪽) 이를 우리말로 풀이하면 돌을 가슴에 품고는 마침내 멱라수에 스스로 가라앉아 죽었다는 뜻이다. 보통은 굴원이 멱라수에 몸을 던져 자결했다고 말하지만 사마천은 품을 ‘회(懷)’ 자와 스스로 ‘자(自)’ 자를 사용해 이 장면을 더욱 극적으로 만들고 있다. 굴원이 가슴에 품은 것은 돌이었지만 거기에는 온갖 착잡한 심경이 돌의 무게보다 훨씬 더 무겁게 압축되어 있었을 것이고, 사마천은 던질 ‘투(投)’가 아닌 품을 ‘회(懷)’를 사용함으로써 자의(自意)와 타의(他意)의 경계를 분명히 드러내고 그의 자결이 자포자기가 아닌 강렬한 저항이었음을 선연히 표현했던 것이다.
이처럼 고사성어는 몇 글자 안에 수많은 감정과 한 사람의 일생, 나아가 한 나라의 흥망까지 담을 수 있는 매력적인 장치다. 하지만 그동안 우리는 고사는 뒤로한 채 성어가 지닌 글자 자체의 의미와 해석에만 집중하며 성어가 담고 있는 풍부한 이야기를 소홀히 취급해왔다. 즉 온전한 고사성어가 아닌 반쪽짜리 고사성어를 접했던 것이다. 이런 고사성어 활용방식에 문제의식을 느껴온 저자는 그 성어가 나온 배경과 성어를 내뱉은 인물의 기질 등을 알아야 고사성어를 온전히 이해하고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성어 뒤에 숨은 풍성하고도 흥미진진한 역사적 배경과 중국 고대국가의 흥망성쇠, 영웅들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펼쳐놓는다.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의미를 가진 ‘빈계지신(牝鷄之晨), 유가지색(惟家之索)’이란 성어는 애첩 달기(?己)에게 빠져 나랏일을 그르친 폭군의 대명사 은나라 주(紂) 임금의 고사에 등장한다.(118쪽) 이 주 임금의 폭정이 극에 달할 무렵 제후국 중 하나이던 주나라의 무왕(武王)이 주 임금을 몰아내기 위해 일어섰다. 그는 다른 제후들을 모아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옛사람들은 ‘암탉은 새벽에 울지 않는다.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고 하였소. 지금 은왕 주는 오로지 부인의 말만 듣고 선조를 모시는 제사와 신령에 대한 답례를 돌보지 않고 있소. 또 자기 나라를 멸시하고 저버리고 있소. (…)”

주 무왕은 나랏일에 달기 등 아녀자가 간섭한 것을 비유해 ‘암탉이 새벽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고 말했다. 이 말을 곰곰이 되씹어보면 주 임금의 실정을 꾸짖는 말이지 여성에 대한 비난이 결코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동안 우리가 아무 고민 없이 여성을 비하하는 말로 사용해온 이 성어는 오히려 못난 위정자에 대한 강한 질책의 의미를 담고 있었던 것이다.
저자는 고사를 가벼이 여기고 성어에만 집중하면 그 말이 가진 의미가 얼마나 왜곡되는지 생생히 보여준다. 그리고 성어와 고사를 함께 익히는 올바른 고사성어 공부법을 제시한다. 독자는 《나를 세우는 옛 문장들》을 통해 《사기》에 등장하는 흥미진진한 역사를 읽으며 온전한 고사성어를 배우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전반적으로 돌아보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수천 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