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문학상〉 수상, 베스트셀러『능소화』의 조두진 작가 신작!
역사와 상상의 만남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망을 그린 소설『미인, 1941』
이 작품은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1941년 6월을 배경으로 시작된다. 당시 소련의 스탈린은 서부에서는 독일로부터 전면 공격을 받고 있었고, 동부에서는 독일의 동맹국인 일본의 관동군이 침공할 가능성이 농후했다. 급박한 정세에 위기를 느낀 스탈린은 일본 관동군의 상황을 더욱 알고 싶어 했다. 당시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극심한 재정난과 고질적인 무기 부족에 시달렸고 많은 독립 투사들이 광복군에 지원했으나 그들에게 지급할 무기가 없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뇌부는 고심 끝에 스탈린의 딜레마를 파고들었다. 일본 대본영의 군사정보를 가지고 있는 일본 고위관료 오자키 호즈미(尾崎秀実)를 납치해 스탈린에게 넘기고 그 대가로 무기를 공급받는다는 계획이었다. 마침내 1941년 10월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도쿄 납치조’ 를 결성, 전투요원 3명과 오자키를 꾀어 중국 충칭까지 데려올 여성 미인계 요원 1명을 급파하게 되지만 전투 요원과 여성 요원은 서로가 사랑하는 사이였다. 그 둘은 사랑을 선택할 것인가. 조국을 선택할 것인가. 절대절명의 순간이 그들 앞에 기다리게 되나 예상치 못한 결말로 나타난다. 이 소설은 단순히 독립운동가의 활동을 그린 이야기가 아니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들의 사랑을 희생해야만 했던 연인의 운명을 통해 역사의 아픈 진실을 들추어낸다. 그래서 이 소설은 더욱 아프다.
****
[소설 줄거리]
1941년,
충칭(重慶)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극심한 재정난과 고질적인 무기 부족에 시달렸다. 대한독립을 위해 많은 투사들이 한국광복군에 자원했으나 그들에게 지급할 무기가 없었다. 무기가 없으니 투사들도 하나둘 임정을 떠나갔다.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을 침공했다. 소련군은 맥없이 무너졌다. 모스크바 함락은 시간문제였다. 소련 공산당 서기장 스탈린은 동부 국경을 지키는 30개 사단 병력 중 절반을 서부전선으로 이동 배치해 독일군에 맞설 생각이었다.
문제는 독일과 동맹국인 일본이었다.
소련 동부 국경에 배치된 병력을 서부전선으로 돌리면, 그 공백을 노려 일본 관동군이 침공할 가능성이 농후했다. 서부전선에서 독일군의 전면 공격을 받는 마당에, 동부에서 일본군의 대규모 공세를 받는다면 소련 멸망은 자명했다.
그 무렵, 독일 언론인으로 위장해 일본에서 암약 중인 소련 스파이 리하르트 조르게가 극비 첩보를 소련 정보부에 암호 무선 타전했다.
‘일본 대본영이 천연자원 확보를 위해 군대를 남방으로 진출시키기로 결정했다.’
소련 동부 국경에 배치된 병력을 서부전선으로 돌리더라도 일본이 침공하지 않는다는 정보였다. 〔대본영(大本營)은 전시(戰時) 일본 제국 육군 및 해군 최고 통수 기관이었다.〕
“하지만, 조르게가 보낸 정보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
스탈린은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존망이 걸린 문제였다.
충칭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스탈린의 그 딜레마를 파고들었다.
일본 대본영의 군사정보를 소련 스파이 리하르트 조르게에게 넘긴 일본 고위 관료 오자키 호츠미(尾崎秀実)를 일본에서 데리고 나와 스탈린에게 넘기겠다는 작전이었다.
“임정이 오자키 호츠미를 스탈린 앞에 데려가 일본군 동향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겠다. 대신 소련 동부 국경 부대를 서부전선으로 이동 배치할 때 남기는 무기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넘겨 달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이 같은 계획과 요구에 소련 공산당 서기장 스탈린은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렇게 오자키를 일본에서 빼내 오기 위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도쿄 납치조’가 1941년 10월 도쿄로 급파됐다. 정예 전투 요원 3명과 오자키를 꾀어 중국 충칭까지 데려올 여성 미인계 요원 1명으로 구성된 특공대였다. 하지만 미인계 요원으로 차출된 김지언과 전투요원 서우진이 사실은 연인 사이임을 임정 지도부는 몰랐다. 미인계 작전과 연인 간의 사랑이라는 양립할 수 없는 화인(火因)을 안고 납치 특공대가 출발한 것이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임무와 질투에 관한 이야기는 아니다.)
납치조는 일자리를 찾는 조선인들 행색으로 일본에 도착했다. 현지 상황은 납치조가 출발할 당시와 판이했다. 독일 언론인으로 위장해 활동하던 리하르트 조르게는 소련 스파이 혐의로 일본 특별고등경찰에 긴급 체포됐고, 도쿄 납치조의 목표인 오자키 호츠미는 일본 특별고등경찰의 삼엄한 감시 속에 가택연금 상태였다. 미인계는 써보지도 못할 상황이었다.
예상과 다른 상황에서 도쿄 납치 특공대는 손아귀(당초 작전 계획, 예상)에서 달아나려는 운명을 붙들어 두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그 과정에서 결코 운(運)에 맡겨서는 안 될 일을 운에 맡기는 상황도 발생했다.
우여곡절 끝에 납치 특공대는 오자키 호츠미를 일본 도쿄에서 빼내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시모노세키를 거쳐, 부산에 도착한다. 하지만 도쿄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음에도 난관은 끝이 없다. 일본 열도를 채 벗어나기도 전에 경찰의 추적이 시작됐고 위험은 갈수록 커진다. 그렇게 납치조는 일경의 추적을 따돌리며 달아나는 중이다. 그 과정에서 불행과 결단의 순간을 맞이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