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존재는 생각만으로도 그저 슬퍼진다. 사랑하지도 미워하지도 않았는데, 나는 왜 제리미니베리를 생각하면 당장 울고 싶어졌던 걸까?”
명백히 웃을 만한 이야기인데도 아무도 웃을 수 없었다. 그런 일들이 있다. 슬픔을 봉인한 채로 우스꽝스러워진 이야기들. _124쪽
《메리 소이 이야기》는 메리 소이를 기다리는 ‘나(은수)’의 자전적 소설이다. ‘나’의 엄마는 어렸을 때 동생 ‘소이’와 단둘이 유원지로 놀러 갔다가 그곳 화장실에서 동생을 잃어버린다. 그날부터 지금까지 증발한 것처럼 사라진 동생을 기다리는 엄마의 사연은 제과 회사인 ‘미미제과’의 마케팅으로 전국에 알려진다. 미미제과는 딸기맛 웨하스에 얽힌 엄마와 소이의 추억을 소개해 창사 이래 최고의 매출을 올린 이후 딸기맛 웨하스 상자 겉면에 소이를 찾는 광고를 싣고, 급기야 ‘나’의 집을 웨하스 집으로 바꾸어놓는다. 그리고 어느 날부터, 갖가지 사연을 가진 메리 소이들이 하나둘 집으로 찾아오기 시작한다. ‘나’의 애착 인형인 눈 깜빡이 인형 ‘미사엘’이 빗방울에 눈을 뜬 어느 날, 자신이 메리 소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가장 농담 같은 이름을 가진 ‘제리미니베리’가 웨하스 집의 문을 두드린다.
엄마가 공개한 사진 속엔 빨간 코트를 입고 하얀 베레모를 쓰고 입을 반쯤 벌리고 웃고 있는 메리 소이가 있었다. 눈썹이 짙고 동공이 뚜렷하며 볼이 발그레하고 이마는 봉긋했다. 소이 이모가 사람들에게 ‘메리 소이’로 불리게 된 건 바로 이 사진 때문이었다. 다섯 살의 소이 이모는 알전구가 반짝이는 트리의 ‘Merry Christmas’라는 금색 글자 앞에 서서 귀여운 얼굴로 ‘Christmas’를 가리고 있었다. _11쪽
메리 소이를 기다리며 우리가 하는 것
“우린 모두 메리 소이를 기다렸는걸요?” _198쪽
《메리 소이 이야기》는 메리 소이를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성인이 되어서도 아무런 꿈도 없이 인형을 돌보는 것이 일상의 전부인 ‘나’, 끼니때마다 배달 음식을 시키고 쿠폰과 리뷰 이벤트에 열중하는 ‘제리미니베리’, 욕하거나 동정할 수 있는 대상을 찾는 사람들과 그들을 위한 드라마를 쉴 새 없이 써내는 ‘마로니’, 수상한 종교나 타인의 말을 덥석 믿고 따르는 ‘삼촌’, 그리고 왜인지 동생을 잃어버린 엄마보다 더 간절히, 묻고 싶은 것이 많은 표정으로 메리 소이를 기다리는 문 밖의 수많은 사람들까지.
그 인파 사이에서 ‘나’는 자기 자신을 “결핍이 뚜렷하지 않고 그래서 행동할 이유도 쏟아낼 대사도 없는 구경꾼 1” 정도로 느끼는데, 다행히도 구경꾼 1의 인생은 혼자가 아니다. ‘나’는 마로니와 아름답지만 쓸모없는 것을 사 모으며, 제리미니베리와 삼촌이 주고받는 엉뚱한 대화를 들으며 한 시절을 건너간다. 결국 《메리 소이 이야기》는 메리 소이를 기다리는 ‘나’의 이야기다. 메리 소이를 기다리는 운명을 타고난 작은 ‘나’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사람들의 생생한 기다림의 이야기.
작가는 견고하게 쌓인 슬픔 사이로 구원의 손길을 불쑥 내밀거나, 선과 악을 구획하는 대신 ‘나’의 시선으로 인물 각자가 지닌 기다림의 미추를 우리 앞에 하나씩 꺼내어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반복되는 오늘이 허무해지지 않도록 애쓰고, 먼 곳으로 떠나지 않고도 자신이 선 곳에서 내일을 기다리는 우리의 모습과 겹쳐질 것이다.
나는 물건을 팔고 사는 사람들 속에 있으면 우리 모두 내일을 기다리는 것 같아서 기분이 나아졌고 세상 어디에도 쓸모없을 것 같은 내가 이 땅에서 역할이 적은 배역을 하나 맡고 있고 그걸 잘 해내고 있는 사람처럼 생각되었다.
그러면 내가 진짜 세상에 붙여진 작은 스티커 조각 같다는 느낌을 잠시나마 지울 수 있었던 것 같다. 아직도 나는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내가 원본 세계에 붙은 콜라주된 작은 스티커 조각은 아닐까 하는 생각 말이다.
_〈작가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