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국어교사모임이 기획한 교과서 속 단편소설 감상 길라잡이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
1. 엉뚱한 상상과 발랄한 질문이 넘쳐나는 문학 수업을 꿈꾼다!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는 ‘신나고 재미있는 문학 수업’을 꿈꾸는 전국국어교사모임이 기획한 책이다. 입시와 시험을 위한 문학 수업, 즉 학생들에게 작품에 대한 획일적이고 기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문학 수업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해,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실제로 궁금해하는 것들을 알려준다는 의도로 만들어졌다. 이를 통해 단편적 이해와 강압적 암기로 일관했던 일방적 문학 수업에서 벗어나, 작품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하는 수용자 중심 문학 수업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는 중ㆍ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에 실린 단편소설 가운데 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힌 작품을 대상으로 했다. 이렇게 고른 작품을 학생들에게 직접 읽힌 다음,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질문거리를 모두 모았다. 그 가운데 빈도수가 높은 것, 의미 있고 참신하고 기발한 것 등을 가려 뽑았다. 그런 다음 국어 선생님들이 책과 논문을 찾아보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 질문에 답했다. 학생들이 읽기 편하도록 쉬운 말로 풀어 설명했고, 그림과 사진, 참고 자료 등도 함께 실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보다 보편적인 작품의 의미에 접근하고자 했다.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콘텐츠이다. 이 시리즈는 ‘학생 중심의 소설 감상’이라는 새 지평을 열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문학 작품과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다릿돌이 되어줄 것이다.
2. 교과서에 실린 한국 대표 단편소설을 한 권의 책으로 깊고 넓게 읽는다!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는 암기식, 문제 풀이식 문학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이 자꾸만 문학에서 멀어져 가는 교육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에서 비롯했다. 그리고 문학 작품을 학생들 가까이에서 살아 숨 쉬게 하려는 선생님들의 의지와 열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 책은 기존의 자습서나 참고서에서 볼 수 있었던 소설 작품에 대한 단편적인 해석과 이해의 차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학생들이 실제로 작품을 읽고 궁금해하는 질문들을 바탕으로 시대적·문화적·사회적·역사적·문학적 정보들을 쉽고 재미있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책은 ‘작품 읽기 - 깊게 읽기 - 넓게 읽기’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 읽기’는 말 그대로 소설 전문을 담은 부분이다. 재미와 상상력을 돋울 수 있는 그림과 함께 구성했다. ‘깊게 읽기’는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궁금해한 물음 가운데 유의미한 것들을 고르고, 이에 대한 선생님들의 답글로 채웠다. 작품 자체와 관련된 배경, 인물, 사건, 주제 등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읽는 동안 작품을 다양한 방식으로 내면화할 수 있도록 했다. ‘넓게 읽기’는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요소들, 작가의 삶과 당시의 시대적 상황 등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좀 더 넓힐 수 있도록 했다. 또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활동한 결과물을 실어, 작품에 대한 또래의 생각도 엿볼 수 있게 했다. 그리고 ‘엮어 읽기’를 통해 소재나 주제가 비슷한 다른 작품들을 소개함으로써 독서 경험과 문학 감상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했다.
3. 〈날개〉 - 다시 한번 이 날개를 펼칠 수 있기를
〈날개〉는 1936년 9월 잡지 《조광》에 발표된 소설이다. 주인공 ‘나’는 낮에는 조용하고 밤이 되면 화려해지는 33번지의 7번째 집 방 안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틀어박혀 지낸다. 아내는 외출이 잦고 내객을 맞기도 하지만, ‘나’는 아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정확히 모른다. 내객들은 아내에게 돈을 주고 돌아갔고, ‘나’는 아내가 그렇게 번 돈으로 살아간다.
그러던 어느 날부터 ‘나’는 외출을 하게 되고, 아내가 내객과 함께 있는 모습을 우연찮게 몇 번 마주한다. 그러자 아내는 비를 맞고 돌아와 앓는 ‘나’에게 해열제라 속이고 수면제를 먹인다. 그 사실을 안 ‘나’는 화가 나 집을 나오지만, 자신이 오해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다시 돌아간다. 그때 ‘나’는 아내의 매춘 현장을 그대로 목격하고야 만다. 도망친 ‘나’는 이리저리 헤매다가 미쓰코시 옥상에 올라가고, 정오 사이렌이 울리자 다시 한번 날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날개〉는 현실의 문제를 심리적인 의식의 내면으로 투영시킨 문학 기법상의 방향 전환으로 한국 문학사에 큰 의미를 남긴 작품이다. 주인공 ‘나’는 작가의 의식이 반영된 인물이며, 일제강점의 암흑기 속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무력한 지식인의 분열된 자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한국 현대문학 최초의 심리소설로, 내용과 형식이 난해하고 파격적이어서 당시에는 물론이고 현대에도 의미의 완전한 해석과 이해가 쉽지 않다.
이 책에는 〈날개〉와 관련한 학생들의 열다섯 가지의 물음과 그에 대한 선생님의 답변이 담겨 있다. 또 질문과 관련한 참고 자료나 작품이 쓰인 당시의 시대상, 작가의 삶 등 작품 이해에 도움이 될 배경지식도 함께 실었다. 더하여 ‘엮어 읽기’를 통해 소재나 주제가 비슷한 다른 작품을 연계해 읽을 수 있도록 소개했으며, 실제 수업 현장에서 또래들이 〈날개〉를 읽은 후 생각하고 토론한 내용도 담아 감상의 폭을 더 넓힐 수 있도록 구상했다. 찬찬히 읽어 나가다 보면 어렵고 이상하게만 느껴졌던 이상의 작품 세계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