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그래야만 하는 건 없지만, 본질에 충실한
저자는 태어날 때부터 고도근시였던 데다 전쟁 통에 겪은 극심한 빈곤, 부모의 불화, 작가로서의 중압감 등등 어찌 보면 암울함으로 변색 위기에 처한 자신의 삶을 매사 적당하게, 때로는 불성실함으로 유연하게 대처해왔다. 덕분에 그의 일상은 치열했으나 여유로웠고, 스스로에게 충실하면서도 늘 함께였다.
저자가 말하는 느긋한 몸 건강, 마음 건강의 비결은 본질에 충실하다. 결핍은 채워주고, 비움으로써 이로울 때는 가감없이 덜어낸다. 타고난 체질은 받아들이고,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회피해도 상관없는 것들은 미련 없이 포기하고, 언제나 몸이 보내는 SOS에 귀기울이고 변화를 받아들인다. 다이어트가 화두인 시대지만, 포만감의 중요성과 군살의 효용성같은 인생 선배의 금쪽같은 조언도 눈길이 가는 대목이다.
인생의 보물을 발견하는 순간
우리는 언제 인생의 보물을 발견하는가. 모든 것이 순탄했을 때 알았더라면 내 인생, 더욱 빛날 수도 있었을 텐데 아이러니하게도 우리는 뭔가 부족하거나 잃은 후에야 비로소 당연시 여겼던 것들의 소중함을 깨닫고는 한다. 인생 보물들의 속성이 결핍과 고통의 순간에만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라면 나를 힘들게 하는 그 순간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것이 과연 현명한 것일까. 노화와 갑자기 들어닥치는 병 앞에서 인간은 언제나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지만, 이 책은 누구에게나 예외없이 찾아오는 상실의 순간이 나에게 전하는 보물은 과연 무엇일지 조급함을 버리고 느긋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환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