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진화를 이루는 것은 언제나 아웃사이더였다!
개성과 다양성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는 가슴 따뜻한 과학책
저자는 보통, 구별, 다양성, ‘~답다’, 이긴다는 것, 강하다는 것, 소중한 것, 산다는 것 등 총 9가지 키워드를 제시한다.
〈1교시 개성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이 책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개성에 대한 정의를 내린다. 개성은 ‘필요’해서 갖게 되는 생존 전략이자 무기라고 말한다. 즉 우리의 성격이나 특징에 개성이 있는 이유는 그 개성이 사람에게 필요하기 때문이며,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필요 없는 개성은 갖지 않는다.
〈2교시 보통이란 무엇인가〉에서는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만든 잣대인 ‘평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간의 뇌는 ‘많음’을 이해하기 위해 평균이라는 것을 만들어 비교함으로써 수치화하고 순서를 매겨 이 복잡하고 다양한 세상을 이해하려고 한다. 하지만 자연계에는 평균값, 보통이라는 것이 없다. 여러 가지 것들이 존재한다는 ‘다양성’이 있을 뿐이다.
〈5교시 ‘~답다’는 것은 무엇인가〉에서는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이 직면하고 있는‘잘하는 것도 없고,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넘버원이 될 수 있는 니치를 찾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생물학에서 니치는 넘버원이 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인간이 만든 규칙에 사로잡히지 않는 잡초의 삶을 들여다봄으로써 자기다움을 잃게 만드는‘~다움’이라는 옷은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의 니치를 찾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8교시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에서는 밟히고 또 밟혀도 중요한 것을 잃지 않는 자세에 대해 이야기한다. 밟힌 잡초는 일어나지 않는다. 밟힌 잡초는 위로도 자라지 않는다. 밟혀도 밟혀도 계속 다시 일어나는 행위에 에너지를 쏟기보다는 옆으로 자라거나 줄기를 짧게 만들거나 땅속뿌리를 뻗는 등의 방식으로 오직 꽃을 피우고 씨를 남겨야 한다는 자신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한다.
식물의 생태를 통한 설득력 있고 흥미로운 설명은 우리의 삶에 대한 태도와 당면한 문제, 여러 고민에 대한 슬기로운 해법을 제시한다. 또한 세상의 모든 존재를 의미 있고 소중한 존재로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은 눈앞의 현실에 좌절하고 힘겨워하는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가 될 것이다.
평균에서 벗어나도 좋다! 중심이 될 필요도 없다!
나답게 사는 게 정답이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이 책은 젊은 독자들을 위해 쓴 책이라고 말한다. 그의 글 속에는 때로는 고개가 끄덕여지고 때로는 뒤돌아보게 하는 많은 메시지가 담겨 있다.
손도 없고 발도 없는 지렁이의 이야기에서는 숙연함을 느끼게 된다. 언뜻 보면 지렁이는 대단히 단순한 생물 같아 보인다. 하지만 지렁이의 조상은 처음에는 머리, 그리고 이동을 위한 발 닮은 기관을 갖춘 생물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땅속에서 흙을 먹고 사는 넘버원으로 살아남기 위해 지렁이는 발을 버린 것이다.
일명 ‘가우제의 실험’이라고 하는 두 편의 실험은 생존과 공존을 위한 현명한 선택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짚신벌레와 애기짚신벌레를 하나의 수조에서 키웠고, 후속 실험에서는 짚신벌레와 녹색짚신벌레로 동일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애기짚신벌레만 살아남았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모두 사라지지 않고 한 수조 안에서 공존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서식지를 분할하지 않았고, 성공한 두 번째 실험에서는 서식지를 나눠 가짐으로써 각자 넘버원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자연계에서는 이렇듯 모든 생물이 서식지를 나눠 사용함으로써 각자 넘버원 자리를 차지한다. 따라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물은 모두 넘버원인 것이다. 저자는 자연계에 알려진 것만 해도 175만 종의 생물이 서식 중이니만큼 적어도 175만 가지의 넘버원이 있다고 말한다. 결국 넘버원이 되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