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절 시련을 이겨낸, 꿈꾸는 자들의 아름다움에 관해
시인에게 눈물은 가장 솔직 담백하고 고귀한 인간의 감정표현 방법이다. 그것은 마침내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가치이며 그 소이연이다. 시인은 말한다. “울고 싶은 일이 있으면 참지 말고 울어라. 눈물 또한 흘려라. 겨울을 견뎌내고 마침내 봄꽃을 피우듯이. 나보다는 타인을 배려하면서. 작은 것들을 아끼며. 생명의 소중함을 가슴에 새기며.” 시련을 이겨낸 자만이 꿈을 꿀 수 있으며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다. 꿈을 가꾸는 사람들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사람이 된다.
오늘 첨 만난 아이야/ 너의 눈물 많음/ 여린 마음을 사랑한단다/ 저녁에 집 찾아 잘/ 돌아가기 바란다 _ 「첨 본 아이」 중에서
아무리 추운 날씨라도/ 아무리 바람 부는 겨울이라도/ 마음에 한 조각/ 햇빛만 있다면 견딜 만하겠다/ 어찌 그것이 너를 생각하는/ 마음에 비기겠느냐마는. _ 「한 조각 햇빛」 중에서
기쁨과 슬픔은 서로 배척하는 대비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의탁하고 보완하며 완성되는 관계다. 시인은 영원한 기쁨은 온전한 기쁨이 아니고, 영원한 슬픔 또한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한다. 시련은 이겨내는 것이며 그 가운데 우리는 더 큰 기쁨을 피어나는 꿈과 함께 키워나갈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시련의 극복도 뒤에 찾아올 기쁨도 나 혼자가 아닐 때, 즉 당신의 사랑과 나의 사랑이 하나가 될 때 온전해진다는 사실이다.
뒷모습을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손으로 써내려간 그리움들
세상 모든 것에는 뒷모습이 있다. 살아 있는 생명에만 있는 게 아니라 바위나 산이나 강물에도 뒷모습은 있다. 뒷모습은 선하다. 뒷모습은 꾸밈없고 속임수도 없다. 시인은 우리에게 “뒷모습을 사랑하라”고 가르친다. 자신의 뒷모습을 아끼고 다른 이의 모습을 사랑하는 것, 그것이 진짜 사랑을 하는 방법이다.
이제 우리는/ 하늘을 보며 하늘멍/ 바다를 보며 바다멍/ 들판을 보며 들판멍/ 강물을 보며 강물멍을 하면서/ 살아도 좋을 때가 되었다 _ 「들멍카페」 중에서
어차피 저문 날/ 마주 앉아 이야기나/ 좀 더 하다 가야지/ 보일 듯 말 듯 그대/ 볼 위에 희미한 미소. _ 「가을 유리창」 중에서
비 개어 맑고 푸른 강물 위에/ 스치는 바람/ 강물 속에 비친 흰 구름/ 그곳에도 나는 가 있을 거예요/ 당신이 원하기만 한다면/ 부르시기만 한다면 말이에요 _ 「부르시기만 한다면」 중에서
나아가 시인은 그 사랑을 한 자 한 자 손으로 직접 써보라 권유한다. 쓴다는 것은 손끝의 감각으로 마음의 정성을 담아내는 작업이다. 그것은 시가 할 수 있는 상징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그것은 살아 있음 자체요 생명 감각의 표현이다. 시인은 이렇듯 마음이 어지러운 날, 멀리 그리운 사람이 생각날 때도 시처럼 손으로 글씨를 써보라 한다.
시는 간절한 마음의/ 간결한 표현이다/ 누군가 좋아하는 사람을/ 생각해 내어 그에게/ 카톡이나 문자 메시지로 쓰면/ 저절로 간절한 마음이/ 간결해진다/ 그것이 일단은 특수화/ 나아가 다른 사람들까지/ 당신의 시를 응원해준다면/ 그것이 또 보편화/ 시의 완성이다. _ 「시의 완성」 전문
어느 페이지를 먼저 읽어도 처음부터 다시 채워질 자기 완결적인 시집
이번 시집은 총 6부로 나뉘어 있다. 독자는 책의 순서가 아니라 마음에 가장 먼저 와 닿는 지점에서 독서를 시작해도 충분하다. 1부 “그대에게 별은 있는가”에서 출발해 2부 “한 시절 시련을 이겨내고”를 지나면 3부 “뒷모습을 사랑하자”와 4부 “어떤 그리움은 손으로 써야 한다”를 만나게 된다. 5부 “꿈꾸는 인생의 아름다움”은 6부 “나도 꽃을 피웠어요!”를 통해 그 상징성이 이어진다. 그러나 이번 시집의 시들은 하나의 환 구조를 띠며 자기 완결성을 지니고 있기에 2부를 먼저 읽고 5부를 읽어도 되고, 4부를 읽고 나서 3부로 돌아가도 된다. 독자는 마치 좋아하는 앨범의 트랙을 찾아 듣듯이, 시들을 하나하나 찾아 읽는 설렘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미안스럽고 감사하게도 또 한 권 시집을 보탭니다. (중략) 여전히 좋은 사람을 보면 가슴이 뛰고, 가끔은 보고 싶고, 무어라 할 것도 없이 사소한 일을 하소연하고 싶고 그렇습니다. 이러한 사소함과 철없음이 아직도 나를 시의 길로 이끕니다. (중략) 당분간입니다. 당분간. 당분간 그곳에서 잘 견디고 잘 살고 잘 기다리기 바랍니다. 나도 당분간 밥도 잘 먹고 물도 잘 마시고 잠도 잘 자려고 애쓰며 잘 견디겠습니다. (중략) 순간순간 그대와 내가 만나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는 그곳쯤에 빛나기 시작하는 별 하나를 우리가 볼 것입니다. _ 「시인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