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롭지 않은 듯 이야기하지만,
우주로 달려가는 상상력, 생의 의미를 묻는 화두들
고성만 시인의 이번 시집은 일상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경험들을 대수롭지 않은 듯이 이야기하지만, 그 안에는 산 넘어 바다 건너 우주로 달려가는 상상력이 있고, 생의 의미를 묻는 다양한 화두가 살고 있는데, 그것들이 통일된 의미로 모아지기보다는 의문이 분화되는 양상으로 던져진다. 도대체 무슨 뜻이지? 곱씹어 보는 데 이 시집의 묘미가 있다. 그 의미는 「갖고 싶은, 가질 수 없는」 것이어서 끝내 의미를 찾을 수 없다 하더라도 그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 자체가 곧 시를 즐기는 것이다.
나는 고성만 시인의 새 시집을 읽고 ‘가상의 고성만 시인’에게 물었다.
“시란 무엇입니까?”
“평상심이 곧 시입니다.”
이 결론은 비약일 수 있겠다. 그럼에도 나는 고성만 시인의 이번 시집은 평상심시시(平常心是詩)를 시도한 시라고 감히 말한다. 여기서 평상심이란 시를 위해 조작된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마음 자체이다. 이 태도로 시작에 임한다면, 시를 쓰기 위해 애쓸 필요가 없다. 조작되지 않는 시심(詩心)을 받아 적는 것 자체가 시이기 때문에, 시심이 읽어 주는 시를 그대로 받아 적기만 하면 된다. 그렇다고 시가 자동으로 생산되는 것이 아닌 것은 우리의 마음이 이미 조작에 길들여져 있어서, 조작된 마음을 덜어 내는 것이 필요한 작업일 수 있다. 문제는 조작된 마음을 덜어 내는 것 또한 조작이 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를 해소하는 방법이 곧 ‘시를 사는 것’이다.
고성만 시인이 많은 작품을 쓸 수 있는 이유를 나는 그가 ‘평상심이 곧 시’라는 마음으로 ‘시를 살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대수롭지 않게 여겨질 일들이 그에게는 중요한 시적 모티프가 되고, 스쳐 지나갈 이미지들이 그에게는 지워지지 않는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히며, 웃어넘길 일이건 통곡할 일이건 넘겨짚을 일이건 그에게는 잘 풀리지 않는 화두가 되어, 이것들이 종합적으로 고성만표 시가 된다. 그리하여 나는 이번 시집에 이르러 고성만 특유의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고성만표 시’가 완성되었다고 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