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젝트 수업, 〈사회〉 수업을 탐하다. =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유롭게 수업을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은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의 꽃이다. 이런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자율성과 상상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성취 기준 도달에도 아주 효율적인 수업이다. 이 책은 필자가 수석교사가 된 후 2년간 계획하고 실천한 〈사회 중심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교사들이 가르치기 가장 어려운 과목 중 하나로 꼽는 사회 수업에 대한 고민뿐 아니라, 실천하기 어려운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고민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 프로젝트 수업, 〈차시별〉 수업 자료를 공개한다. =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은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젝트 수업을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쓰지 않도록 자료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흔히 공유되는 프로젝트 수업 계획서와 전체 프로젝트 수업 사례 PPT는 선생님들의 수업 준비 시간을 단축해 주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생님들에게 진짜 필요한 자료는 바로 프로젝트 차시별 자료인 〈차시별 수업 PPT와 학습지〉다. 이 책은 필자가 실제로 실천한 프로젝트의 차시별 수업 PPT와 학습지를 공유하여 선생님들이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자기〉만의 프로젝트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하자. =
우리의 수업 현실을 보면 다른 사람이 만들어 올린 자료를 내려받아 수정하여 사용하거나, 온라인 학습 사이트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대부분의 교사는 자기의 수업을 만들어 실천하는 수업 생산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수업을 활용하는 수업 소비자인 셈이다. 저자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문해력이라는 전문성을 가지고 자기만의 수업을 만드는 ‘수업 전문가’이자 ‘수업 생산자’가 되기를 바란다. 저자는 이 책에 소개된 사회 프로젝트 차시별 자료를 디딤돌 삼아 자기만의 프로젝트 수업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프로젝트 수업과 사회과 수업, 〈비밀〉 레시피를 공개한다. =
이 책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3학년 1학기 〈지도로 보는 우리 고장 이야기〉, 〈우리는 달서구 어린이 동네 해설사〉 프로젝트와 3학년 2학기 〈우리는 꼬마 시간 탐험대〉 프로젝트의 수업 계획과 실천 결과 그리고 책에 담지 못한 3학년 사회 단원의 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2부는 4학년 1학기 〈ON & OFF 지도 속 대구 이야기〉, 〈제1회 진천 대구 역사 박람회〉,〈제안하라, 원더풀 대구〉 프로젝트의 수업 계획과 실천 결과 그리고 4학년 2학기 사회 단원의 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3부는 5학년 2학기 〈역사야 놀자 1〉, 〈역사야, 놀자 2〉 프로젝트의 수업 계획과 실천 결과 그리고 5학년 1학기 사회 단원의 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4부는 6학기 1학기 〈대한민국 대통령 史를 편찬하라〉 프로젝트와 6학년 2학기 〈사회야, 놀자〉 프로젝트의 수업 계획과 실천 결과 그리고 책에 담지 못한 6학년 사회 단원의 수업 아이디어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