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종교 인구 현황(문화체육관광부, 2018)을 보면 전체 2,110만 명 중 불교 인구는 760만 명으로 종교 인구 중 35%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의 사회적 영향과 책임은 막중하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타종교에 비해 유구한 역사를 지녔기에 불국토 복지사회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책무를 담당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불교가 사회의 제현상, 특히 복지의 영역에 어떠한 관심이 있으며,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 방책으로 어떻게 참여하고 개입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소위 참여불교(Engaged Buddhism)는 종전의 소극적 불교 활동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불교 활동을 지향하여 붓다의 가르침과 계율정신을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에 접목하여 해결 방책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각종 사회적 모순과 문제에 대해 통찰하고 이를 대승정신에 입각한 불교사회복지의 실천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집필되었다.
2.
이 책은 다음과 같은 구성과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제I장은 ‘불교사회복지의 이해’로 일반사회복지의 가치와 지식, 기술의 관계를 다루었으며, 또 ‘종교와 사회복지’에서는 종교의 위치, 국가와 종교사회복지를 다루었고, ‘사회복지와 불교’에서는 대승불교의 기본성격과 보살신앙 등을 살피고, 끝으로 불교사회복지의 고유성을 통해 일반사회복지와 불교사회복지의 관계에 대해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제II장은 ‘경전에 나타난 복지사상’을 『법화경』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다. 『법화경』의 인간관·원조관 등을 통해 복지사상의 근거를 찾아보았으며, 아울러 복지수행의 실천덕목으로서 보살행을 살피고, 불국정토 구현의 전제가 되는 공생에 대한 것도 고찰하였다.
제III장은 ‘불교사회복지와 실천’으로, 불교사회복지의 철학과 윤리에서는 종교철학의 관점에서 불교사회복지의 이념체계를 정리했으며 실천행으로서 불교가 갖는 실천정신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불교사회복지의 실천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불교사회복지에 있어서 기업의 ESG 패러다임을 이해하여 불교 고유의 UDI(Unique Diversity, Ideology)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제IV장은 ‘불교사회복지사업과 실천과제’로, 불교사회복지 사상에 대한 교의적 가치의 재정립, 불교의 사회적 기능 논의 필요, 일반사회복지와의 균형(조화), 발전된 실천체계 구축, 사회적 함의 도출, 윤리에 기반한 공생 구현, 불교사회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3.
이와 같이 이 책은 『법화경』에 나타난 복지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하면서 불교가 지니고 있는 고유성에서 사회복지적 요소를 연구 고찰하여 불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비롯하여 불교의 사회적 책임(BSR: Buddhism Social Responsibility)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법화경』이 갖고 있는 복지사상과 인간관·원조관, 보살행, 공생 등의 개념을 고찰하여 불교사회복지의 실천에 따른 ESG의 개념을 살펴보고 불교의 UDI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불교사회복지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 방법 및 방향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 좋은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