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세상을 향한 초월의 힘
베버의 학문 세계는 무엇으로 박영신 교수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 그것은 초월 영역의 힘에 대한 강조였다. 초월 영역은 문제투성이 현실 영역 너머에 놓여 있다. 초월 영역은 현실 영역의 세속적 가치와 다른 거룩한 가치를 지닌다. 우리는 이 신성한 가치를 바탕으로 현실 질서에 도전하고 그것을 돌파해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금욕적인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부조리한 중세를 넘어서서 합리적인 자본주의를 만들어 낸 것도 초월 영역의 가치 덕분이었다. 중세에서 인간을 해방한 합리화가 역설적으로 인간을 억압하는 근대에서도 희망은 초월 영역의 가치에 있다. 이처럼 더 나은 세상으로 우리를 이끌어 가는 능력이 바로 초월 영역의 힘이다.
평생 이어진 베버 연구의 집대성
초월 영역의 힘에 심취한 박영신 교수는 끊임없이 베버에게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들었다. 사람됨의 뜻과 인간다움의 품, 삶의 뜻과 삶에 힘을 불어넣는 윤리 지향성, 삶의 모순과 그 너머의 가능성, 인류 문명의 거대한 줄기 등 베버와 나눈 이야기는 한둘이 아니었다. 박영신 교수는 베버와의 대화를 통해 사회학자로서의 됨됨이를 빚을 수 있었다. 그리고 틈틈이 대화를 기록해 논문으로 남겼다. 이 대화 기록을 모아 엮은 책이 『막스 베버, 그의 학문과 만나』이다. 원로 사회학자가 베버와 함께 오랫동안 걸어온 공부의 길이 이 논문집에 고스란히 펼쳐져 있다. 한평생 베버를 파고든 박영신 교수의 관심과 의식과 탐구가 집대성된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막스 베버, 그의 학문과 만나』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1부에서는 베버가 남긴 학문의 줄기를 알아본다. 사회운동을 이해하는 데 유효한 카리스마 개념, 현대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테스탄트 윤리, 칼뱅주의의 한계와 그 극복, 쇠우리에 나타난 삶의 모순, 삶의 뜻과 지향성, 세계종교 연구와 굴대 문명의 관계, 합리화에 맞서는 민주주의 등을 다룬다. 2부에서는 베버와 다른 학자들을 비교하면서 그의 탁월성을 조명한다. 도시와 사회변동에 대한 맑스와 베버의 논의, 베버가 루카치의 사상에 미친 영향, 맑스의 계급 개념과 베버의 지식계급론, 맑스와 베버, 뒤르케임이 사회운동을 바라보는 시각, 옐리네크와 베버, 뒤르케임의 인권 개념 등이 주제다. 3부에는 지은이가 걸어온 삶의 길이 담겨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학창 시절과 미국에서의 유학 생활, 진정한 스승 로버트 벨라 교수와의 만남, 개인적 역사 체험과 그를 통한 ‘나됨’ 등이 그려져 있다.
“베버는 실로 누구도 복제할 수 없는 위대한 학자이고 거대한 사상가이다. 하지만 그가 그러했듯이 우리도 초월의 세계를 풀이의 마당으로 끌어들이는 공부 길에서 그의 위대함과 거대함을 체험할 수는 있다. 이 체험이 짙어질수록 우리 모두 저마다 남다르고 색다를 수 있다.” 지은이의 말처럼 우리도 남다르고 색다를 수 있다. 베버와 지은이의 대화에 동참해 초월 영역의 힘을 느낀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