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식민지 조선을 사랑한 일본 시인 우에무라 타이
그가 노래한 저항과 투쟁, 그리고 자유와 평등의 시(詩)”
암울했던 일제시대, 식민지였던 우리나라를 오직 지배하려는 마음으로 본 일본인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를 응원하고 지지하며, 식민지 조선을 사랑했던 일본인도 있었다. 그중 한 사람이 바로 일본의 아나키스트 시인 우에무라 타이다. 우에무라 타이 시는 만연체가 그 특징인데, 그래서 일본 문학 박사이자 한국아나키즘학회에서 활동 중인 역자의 오랜 인고 끝에 나왔다.
우에무라 타이는 일본의 패망 후 신일본문학회와 일본미래파에서 시작 활동을 전개 중 1959년 세상을 떠나기까지 일본을 대표하는 아나키스트 시인의 한 사람으로서 아나키즘운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약 일 년 동안의 식민지 조선에서의 체험은, 우에무라를 일반적인 휴머니스트에서 투철한 아나키스트 시인으로 변모하게 하였으며, 그의 시가 ‘투쟁’과 ‘저항’을 특징으로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는 그가 서정적 표현과 함께 방랑의 정서를 드러낸 시를 쓰다가 조선에서 일본의 만행을 보고 점차 저항정신을 드러내는 시를 쓴 것으로 잘 확인된다.
우에무라가 시에서 호소하고자 했던 저항과 투쟁 대상은 민중을 억압하고 침략전쟁을 벌이는 국가 권력이었고, 이러한 부당한 권력에 침묵하거나 심지어는 추종하는 무지한 민중들이었다. 동시에, 애국심이라는 미몽에 사로잡혀 저질러지는 침략전쟁이었으며, 인간의 자유로운 사고를 통제하는 모든 이념과 제도에 대한 부정이었다. 이 시집을 통해 저항과 투쟁의 시인 우에무라 타이를 깊이 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