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언어 교육의 일반적 관점에서 조망해 본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문제를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1부에서는 문법 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 설정 문제를 다루었다. 여기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이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2부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에서 요구되는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덩이 형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울러 몇 가지 주제를 통해 한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에서 언어 유형론적 접근이 유용할 수 있음을 서술하였다.
3부에서는 한국어 문법의 교수-학습에서 적용되는 교수 방법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구체적으로는 전통적인 문법 교수법 외에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교수 방법과 기법을 살펴서 한국어 문법 교육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4부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요구되는 오류 분석과 평가 문제를 다루었다. 한국어 문법 학습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과 그에 대한 처리의 문제를 실증적으로 서술하고, 언어 평가의 일반적인 논의와 함께 한국어 문법 평가의 구체적인 양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