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이 사랑한 도슨트 이창용이 큐레이션한 그림의 방
“모든 화가는 각자의 방식으로 자신의 그림에 ‘서사’를 담는다”
방송사와 미술사 강연 섭외 1순위로 매년 평균 400회 강의 진행, 10년간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과 오르세 미술관 도슨트, 그리고 음악과 결합해 미술 작품을 소개하는 아트 콘서트 등 이창용 저자는 여러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예술이 우리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는지를 ‘읽는 그림’을 통해서 전하고자 한다. 우리가 만나보지 못했던 그림 속 인물과 서사를 읽음으로써 ‘인생’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이야기 미술관》에는 서사가 담긴 그림들이 전시된 네 개의 방이 있다. 첫 번째로 보이는 ‘영감’의 방에선 고갱에게 마음을 표하고자 그렸던 고흐의 정물화 〈해바라기〉 연작을 먼저 마주하게 된다. 천천히 방을 따라 들어가면 인상주의 대표 여류 작가 베르트 모리조, 앙리 마티스를 질투한 피카소, 그리고 세상과 맞서 싸우려고 노력한 고야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그 방을 건너가면 ‘고독’의 방이 어둠 속에서 홀로 우리를 맞이하고 있다. 외로움과의 싸움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은 뭉크와 겸손만이 교만을 없앴을 수 있음을 깨달은 카라바조의 작품, 그리고 신이 아닌 인간, 미켈란젤로가 만들었기에 더 찬란했던 조각품 〈피에타〉를 생생히 볼 수 있다.
아주 잠깐의 시간으로 만나는 ‘미술관에 없는 그림 이야기’
“예술가의 작품은 그 삶의 꽃이다”
“탄생한 순간부터 끊임없이 우리에게 영감을 불어넣는 불멸의 작품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액자에 갇힌 그림을 통해 역사적 순간과 삶의 의미, 더 나아가 작가의 신념마저 깨닫기도 하죠.”
‘사랑’의 방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건 연인이 서로 맞대고 있는 모습이 담긴 〈키스〉. 하지만 사랑의 유형은 다양하다. 부모가 자식을 기다리는 마음, 자식이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우리는 뭐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이 방에서는 장 프랑수아 밀레와 마르크 샤갈 등 우리에게 친숙한 화가들이 누군가를 생각하는 마음을 담음 작품들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를 마중 나온 ‘영원’의 방 속으로 들어가면, 시간이 멈춘 듯한 착각 속에 빠질 만큼 그 시대의 찰나와 모습이 강렬하게 담긴 작품들에서 눈을 뗄 수 없다. 전쟁 속 잔임함에 대항하고자 만들었던 〈게르니카〉, 영원한 죽음의 순간을 꽃과 함께한 〈오필리아〉가 눈앞에서 고요히 빛을 발하고 있다.
자신만의 미술 취향을 안다면 《이야기 미술관》에 존재하는 영감, 고독, 사랑, 영원의 방처럼 우리만의 방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마르크 샤갈이 “예술에 대한 사랑은 삶의 본질 그 자체다”라고 했듯이, 이창용 도슨트는 우리의 삶에도 예술이 자연스레 스며들기를 바란다. “우리 삶에 예술이 없다면, 그것은 죽은 것과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