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일단 제목이 말해주는 그대로 ‘유튜브 영상을 어떻게 잘 만들어 전도해 볼까’ 하는 기대감을 충분히 만족시킬 책이다. 인터넷과 SNS에서의 선교, 특히 유튜브에서의 선교 방법에 정조준한 책이다. 시청자에게 노출되고 시청될 수 있는 유튜브의 알고리즘 원리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는 알고리즘에 맞게 적절한 키워드와 주제를 정해 영상을 기획하는 법과, 더 구체적으로는 영상 편집의 기본 장비와 무료 디자인 소스까지 안내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런 실제적인 설명은 이 책의 후반부에 있다. 실제로 이 책의 상당 부분은 현대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선교에 대해 어떤 태도와 관점을 가져야 하는지를 선명하게 밝히는 선교학 총론서에 더욱 가깝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앞쪽이 더 중요하다. 선교에서 진짜 중요한 성경적 기준과 최신 선교학의 이론, 나아가 인문사회학적인 담론부터 이해해야 후반부의 실제 정보가 더욱 의미있고 효과적이라고 저자가 보는 탓이다.
이 책을 볼 때 먼저 유념해야 할 키워드는 ‘온라인 공론장’이다. 사람들이 모여서 정보를 얻고 의견을 나누는 공적 자리를 공론장(公論場)이라고 부르는데, 코로나 이전부터 온라인(인터넷, 유튜브)이 그 공론장의 기능을 시작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온라인이 그저 ‘가상’이 아닌 또 하나의 ‘완전한 일상’이 되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사람들이 하루의 많은 시간을 보내며 생각하는 공간이 세상이라면, ‘땅끝까지 복음을 전하고 제자를 삼으라’는 예수의 명령은 가상 공간으로서의 인터넷 세상도 예외일 수 없지 않느냐고 말한다.
선교학 전공자(퓰러신학대학원 선교학 박사)로서 저자는 온라인 공론장에서의 선교, 특히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정보를 업로드하고 공론을 펼치고 있는 ‘유튜브’에 특히 집중하여 선교학 이론을 접목시킨다. 유튜브 공론장에서 탄생하여 살아가고 있는 새로운 인류, 즉 온라인 부족(유튜브 영상에 좋아요를 누른 시청자와 구독자들의 공동체)과 그 부족장(유튜브 크리에이터) 사이의 사회학적 관계까지 조명한다. 여기에는 크리에이터의 진정성과 투명성이 요구되고, 시대 정신에 맞는 정보의 기획과 생산은 물론 이에 적합한 민주적 소통방식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교회와 기독교인이 그런 태도에서 더욱 모범적이고 앞장서야 한다는 점에서, 저자는 ‘유튜브 선교’에 필요한 자세와 전략을 심도있게 서술해간다.
그런데 교회는 여전히 유튜브와 같은 온라인 세상에서조차 전근대적이고 중세적이기까지 한 ‘기독교세상’(크리스텐덤)의 관점으로 접근해왔다고 저자는 우려한다. 교회가 그동안 해온 일방적 포교 방식으로 유튜브에 접근한다면, 시청자의 선호 방식과 시청 기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노출되고 선택되는 유튜브 알고리즘에는 전혀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교회가 코로나 시대부터 본격화하기 시작한 기독 영상의 대부분이 심지어 기독교인들에게조차 노출되지 않은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교회가 유튜브를 통해 선교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우선 유튜브의 알고리즘 구조와 원리부터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것은 선교의 대상인 세상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특징을 아는 일이 우선인 것과 전혀 다르지 않다. 이 책에는 “사람들은 유튜브에서 설교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기 원한다”는 식으로, 저자의 실제적인 조언들이 풍성하다.
저자는 대안적 사례를 소개하는 것도 빠뜨리지 않는다. 선한 영향력을 주고 있는 일반의 유튜브 사례도 소개하며, 이 책이 설명하는 선교적 접근 이론에 부합하는 기독 유튜버의 사례들을 소개하기도 한다.
이 책은 독자가 직접 유튜브를 하든 하지 않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유튜브는 다 보고 있는 현실 세상에서 어떻게 복음을 전하는 태도와 전략을 가져야 할지를 알게 해주는 실제적인 선교학 지침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