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방화장품의문화사

한방화장품의문화사

  • 김남일
  • |
  • 들녘(라비린스)
  • |
  • 2013-04-05 출간
  • |
  • 284페이지
  • |
  • ISBN 978897527666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한방화장품 개괄
한방화장품의 역사문화 탐구를 시작하면서 16
한의학적으로 본 한방화장품의 효과 21
한의학에서 피부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25
한방 피부미용의 의의, 방법, 기능 29
한방 피부미용의 영역과 요법 33
한방화장품의 기준에 대해서 38

2. 우리 역사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
단군신화에 나타난 쑥과 마늘의 피부미용 효과 42
쌍용총 고분벽화의 연지 화장한 여인들 45
선덕여왕과 모란꽃 향기 48
신라시대 기파랑과 피부미용 50
몸에서 향기가 난 신라시대의 국색 김정란 53
고려시대부터 민간에서 사용해온 해수욕 요법 56
『고려도경』에 나타난 고려시대 여인들의 모습 59
기황후의 성공 신화 62
조선 2대 임금 정종의 피부에 대한 인식 64
일본 사신 승전이 세조에게 바친 장렴 67
국혼에 지분 사용을 억제하고자 한 영조 71
숙종의 피부관리 방안 74
다리의 부기를 다스리는 인동차와 총과병 77
위맥과 안색을 연결 지어 질환을 파악하다 80
인종의 얼굴 상태를 이양병으로 진단하다 83
궁중 어의 유상의 얼굴 피부 치료 활동 85
피부소양증에 금은화차와 각종 차를 사용하다 88
진주가루로 화장 한 명성황후 91
1930년『별건곤』에 나오는 미용비법 94
옛 왕실에서 사용한 두 가지 피부미용 처방 98

3. 우리나라의 피부 미용과 문화
우리나라의 미인관 102
우리나라의 목욕문화 103
『견첩록』의 매분구에 대한 기록 105
관형찰색으로 순조의 얼굴을 살핀 홍욱호 109
한방화장품과 환경 113
음식과 피부미용 116

4. 한의학과 피부미용
한의학적 아름다움이란 120
한의학의 주름과 개선법-주름의 한의학적 해석 126
경락이론과 피부미용-12피부, 육경피부 134
여자포와 피부미용의 관계 138
한증요법과 피부 미용 141

5. 의서와 역사 기록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
『향약구급방』의 피부 미용 내용 분석 146
『향약집성방』에 소개된 온천의 피부미용 효과 151
온천욕으로 피부관리를 했던 세종대왕 155
천문동으로 피부를 관리할 것을 상소하다 158
사람의 피부를 나무의 껍질에 비유한 장순손 166
피부 관리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 정조대왕 171
화장 문화의 보고,『 규합총서』177
『섭양요결』에 나오는 고본주의 피부미용 효과 187
얼굴을 윤택하게 하고 곱게 하는 화장법 190
음식과 피부미용의 관계 195
1955년에 간행된『미용, 이용 위생독본』199

6.『동의보감』과 한방화장품
『동의보감과 피부미용』204
피부미용 처방들 212
피부미용과‘정기신론’의 만남 218
피부 마사지법-수의재면법 223
반노환동과 피부미용 226
얼굴을 아름답게 하는 향기 229
향기요법 관련 기록 한 가지 232
몸에서 향기 나게 하는 법 235
향처방의 기록,‘ 향보’ 238
미용 비누-향비조 242

7. 한방화장품의 원료
피부를 즐겁게 해주는 돼지비계 효과 246
전염병 예방에 뛰어난 목욕 처방 247
얼굴의 피부에 사용하는 외용 단방들 250
얼굴을 아름답게 하는 단방들 253
장미이슬로 손을 씻은 김시국 256
수세미의 피부미용 효과 260
조두의 한의학적 활용 263
우리나라 고유의 천연화장품,‘ 미안수’ 266
피부미용에 활용된 동백꽃 270
한의사 이병택의 ‘미용치험례’ 273

에필로그 277
참고문헌 278

도서소개

이 책은 한방화장품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역사ㆍ문화적 입장에서 정리한 것이다. 현재 한방화장품이라는 개념은 이미 보편화된 하나의 중요 국가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몇 년 전 어떤 기업의 보고서에서 한국의 미래를 밝혀줄 10대 상품 가운데 한방화장품이 꼽힌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최근에는 한방화장품의 역사에 대한 연구 역시 체계적으로 전개되고 있고, 학계와 업계에서는 화장 문화 관련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의 문화사≫는 이처럼 대중화된 관심과 연구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책이다. 저자는 한국 역사서와 의서 속에 숨겨진 화장 관련 사료들을 수년간에 걸쳐 찾아내었고, 오랜 시간 그 자료들을 분석 연구하여 한방화장품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밝혀냈다.
이 책은 한방화장품과 관련된 콘텐츠들을 역사ㆍ문화적 입장에서 정리한 것이다. 현재 한방화장품이라는 개념은 이미 보편화된 하나의 중요 국가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몇 년 전 어떤 기업의 보고서에서 한국의 미래를 밝혀줄 10대 상품 가운데 한방화장품이 꼽힌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최근에는 한방화장품의 역사에 대한 연구 역시 체계적으로 전개되고 있고, 학계와 업계에서는 화장 문화 관련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의 문화사≫는 이처럼 대중화된 관심과 연구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어줄 책이다. 저자는 한국 역사서와 의서 속에 숨겨진 화장 관련 사료들을 수년간에 걸쳐 찾아내었고, 오랜 시간 그 자료들을 분석 연구하여 한방화장품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밝혀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방화장품의 정의와 기준을 과학적으로 밝혀낸 것은 무척 흥미로운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의 화장 이야기를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한국의 문화를 애호하는 문화인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한의학, 화장품을 만나다
한방 코드가 전례 없는 인기 몰이를 하고 있다. 얼굴에 바르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목욕용품, 음료에 이르기까지 그 실용화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서양에서는 이미 한의학을 대체의학으로 인정했고,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마케팅, 브랜드, 디자인 등 각 산업분야에 한방 코드를 영입 중이다. 특히 화장품에 관련된 연구는 이 분야 가운데 단연 으뜸이라 할 만하다. 한방화장품에 대한 산업계와의 연계 활동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그 기반이 되는 한의학 분야의 연구도 약진하고 있다. 한의학 처방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약물연구와 본초학을 기반으로 하는 단미약물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를 기반으로 하는 한방화장품의 피부미용 관련 연구 등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이 분야가 한의학에서 미래에 어떤 위치를 점하게 되는가를 가늠하게 해주는 기준이 된다. 한방화장품이 해외에서 빛을 발하기 시작함에 따라 중국, 일본 등 해외의 화장품이나 서양식 미의 가준 등을 비교하는 연구도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한의학은 일제 강점기를 기점으로 주변부로 밀려났던 오욕의 역사를 뒤로 하고 통합의학으로서 길을 개척 중이다. 특히 서양 의학이 간과하기 쉬운 인간의 마음(기)을 과학적 근거 아래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그 활용의 정점에 화장품이 있다. 현대인의 욕망이 가장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외모 가꾸기, 그 중에서도 얼굴 미용에 한의학이 집중하는 이유는 얼굴이야말로 인간의 건강과 아름다움의 척도인 탓이다.

한방화장품의 역사를 문화사의 입장에서 정리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한방화장품의 역사를 문화사의 입장에서 정리하였다.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피부 미용에 대한 한국적 담론의 일부를 정리한 것으로 수년간 진행된 연구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책은 한방화장품의 정의와 기준, 한국의 역사 속에 나오는 사료에 대한 한방화장품의 입장에서의 재해석, 한국적 피부 미용의 정의, 한의학과 피부 미용의 접목, 한국의 의서와 역사 속에 드러나는 한방화장품 관련 콘텐츠의 수집과 분석, 『동의보감』속에 보이는 피부 미용 자료의 발굴, 각종 역사 자료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의 원료에 대한 검토 등을 총망라하고 있다. 저자의 노력으로 우리는 한방화장품이라는 분야가 유행을 타고 사라지는 일시적인 풍조가 아니라 인간의 아름다움과 건강을 책임지는, 그리고 오랜 역사와 문화적 전통 아래 만들어진 지식의 집합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책에 소개된 흥미로운 스토리들을 읽다 보면 한방화장품의 영역이 단순한 약물의 구조식 속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저변을 흐르는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무의식 안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저자가 왜 ≪한방화장품의 문화사≫라는 타이틀을 선택했는지 알게 해주는 대목이다.

역서와 의서에서 찾아낸 흥미로운 미용 이야기
이 책은 모두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한방화장품 개괄에서는 한방화장품의 정의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2장 우리 역사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에서는 한국사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 관련 사료들을 찾아서 정리하였다. 3장 한국의 피부 미용과 문화에서는 한국의 피부 미용을 문화적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4장 한의학과 피부미용에서는 본격적으로 한의학적 입장에서 피부 미용을 조망해보았다. 5장 의서와 역사 기록 속에 보이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에서는 한국의 의학서적과 역사 기록 속에 산재해 있는 한방화장품과 피부 미용에 대한 내용들을 발췌하여 정리하였다. 6장 『동의보감』과 한방화장품에서는 2009년 유네스코에서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한 허준의 『동의보감』속에 나오는 한방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