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자네를 잘 안다네. 내가 자네를 잘 안다네. 자네가 조국을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 자네가 얼마나 억울한지 내가 잘 안다네! 친구여! 자네가 얼마나 고생했는지! 애국심 때문에 자네가 그토록 비난을 받고 살아온 것을 내가 잘 안다네, 친구여!”
이승만 대통령의 평생 친구였던 장의사 보스윅은 눈을 감은 이승만의 얼굴을 만지며 흐느꼈다. 이 장면에서 가슴이 먹먹해지고 눈시울이 붉어졌다.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해외에서 수년을 달려온 그의 말로가 왜 이리 참담해야 할까?
4월 총선이 다가오는 가운데,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우남 이승만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2월 22일 기준으로 영화의 누적 관객 수는 82만 명에 달하고, 주말 관객의 증가를 기점으로 100만 명 돌파가 예상된다고 한다. 다큐멘터리 장르에서 5만 명의 관객이 손익분기점인 것을 생각하면 이는 예외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정치적으로 이렇다 할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던 국민의힘(여당)을 비롯한 보수 진영에서는 이 영화를 둘러싼 인증 릴레이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영화를 제작한 김덕영 감독은 「건국전쟁」의 관객 수가 조만간 100만 명을 돌파할 거라며 대중의 성원에 힘입어 「건국전쟁 2」 제작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건국전쟁」이 이승만의 공적에만 주안점을 두고 그의 과오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왔지만, 이 작품은 북한을 포함한 국내 좌파 진영이 어떻게 이승만 대통령을 악마화했는지 그 경위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테면, 북한은 공식 백과사전을 통해 6·25전쟁 당시 김일성의 적화통일 야욕을 좌절시켰다는 이유로 이승만 대통령을 지속적으로 악마화해온 반면, 이승만과 대립하며 김일성과 일정한 관계를 맺었던 김구와 김규식, 여운형 및 조봉암 등을 두고는 비교적 우호적인 평가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북한의 역사관은 대한민국의 좌파 진영에 영향을 주어 이승만을 폄훼하는 수단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조선대백과사전』은 이승만 대통령을 “친미 매국 역적이요, 남한의 첫 괴뢰(꼭두각시) 대통령”으로 치부하여, 그의 생애와 정치 경력을 부정적으로 기술했다. 예컨대, 그는 1919년 3·1운동 이후 미국에서 활동하며 임시정부의 집정관 및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임시정부로부터 외면받고 오랜 기간 미국에 거주하며 친미 반공 인사로 변모했다는 것이다. 또한 1945년 10월에는 미 군정의 지원에 힘입어 서울로 돌아와 여러 정치적 직위를 거치며 1948년 8월 남한의 첫 대통령이 되었다고 한다.
이승만 대통령의 집권 당시 행적을 두고는 그가 북진통일을 주장하며 미국의 지원으로 1950년 6월 25일 북한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이로써 남한은 미국의 식민 군사기지로 전락했다고 주장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김일성이 소련의 스탈린과 중국의 마오쩌둥으로부터 사전 승인을 받아 시작되었다는 남침설과는 크게 대립되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북한은 여전히 6·25전쟁을 이승만과 미국의 북침으로 오도하고 있다. 북한을 비롯한 좌파 세력의 날조된 주장과 ‘런승만’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그리고 미국에서 국가의 위상을 드높인 우남 이승만 대통령의 진면목은 무엇인지 활자와 이미지로 다시 생각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