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반조세법 (제11판)

일반조세법 (제11판)

  • 이동식
  • |
  • 준커뮤니케이션즈
  • |
  • 2024-02-20 출간
  • |
  • 616페이지
  • |
  • 174 X 245mm
  • |
  • ISBN 9791162960462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편 조세의 개념과 종류 / 1

제1장 조세의 개념 / 2
Ⅰ. 개념정의의 필요성 / 2
Ⅱ. 조세의 법적인 개념정의 / 4

제2장 조세 개념의 분석 / 6
Ⅰ.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충족 (國庫的 目的) / 6
1. 전통적 조세의 경우 / 6
2. 국고적 목적이 부수적(2차적) 목적인 경우(정책적 조세) / 6
Ⅱ. 담세력이 인정되는 일정한 사실관계의 발생 / 7
Ⅲ. 담세력이 귀속되는 모든 자에 대한 공평한 부과 / 8
Ⅳ. 직접적인 반대급부가 존재하지 않는 금전급부의무 / 9

제3장 현대국가에 있어서 조세의 성립근거 / 11
Ⅰ. 현대국가의 특성: 조세국가 / 11
Ⅱ. 조세의 성립근거 / 12

제4장 조세의 종류 / 13
Ⅰ. 세목단수주의와 세목복수주의 / 13
Ⅱ. 현재 우리나라 조세의 종류 / 13
1. 직접세와 간접세 / 14
2. 보통세와 목적세 / 15
3. 독립세와 부가세 / 16
4. 소득세ㆍ재산세ㆍ소비세 (소득지출행위에 대한 과세) / 16
5. 종가세와 종량세 / 17
6. 신고주의조세와 부과주의조세 / 17
7. 국세와 지방세 / 18
8. 인세와 물세 / 21

제5장 정책적 수단(Verwaltungsintervention)으로서의 조세 / 22
Ⅰ. 정부와 시장개입 / 22
Ⅱ. 조세제도를 통한 정부의 시장개입 / 22
Ⅲ. 정책적 조세의 허용요건 / 23
Ⅳ. 정책적 조세의 한계 / 24

제2편 조세법과 다른 법률과의 관계 / 27

제1장 조세법의 개념 / 28

제2장 조세법의 법원(法源) / 29
Ⅰ. 개념 / 29
Ⅱ. 성문법우선주의 / 30
1. 성문법의 구조 / 30
2. 일반조세법인 국세기본법과 개별 조세법의 관계 / 30
3. 조세조약과 법률과의 관계(treaty override) / 31
4. 법규명령 / 31
5. 각종 행정규칙 / 32
Ⅲ. 불문법원 / 33

제3장 조세법과 헌법 / 35
Ⅰ. 최고법으로서의 헌법 / 35
Ⅱ. 자본주의시장경제와 조세 / 35
Ⅲ. 조세법률주의와 조세공평주의 / 36
Ⅳ. 기본권보장과 조세법 / 37
1. 의의 / 37
2. 재산권보장규정과 조세법 / 37
3. 거주이전의 자유와 조세법 / 39
4. 직업선택의 자유와 조세법 / 41
5. 사생활보호와 조세법 / 42
6. 종교의 자유와 조세법 / 42
7. 인간다운 생활보장과 조세법 / 44
Ⅴ. 제도보장과 조세법 / 45
1. 가족ㆍ혼인제도와 조세법 / 45
2. 지방자치제도보장과 조세법 / 47

제4장 조세법과 다른 법률과의 관계 / 49
Ⅰ. 조세법과 행정법 / 49
Ⅱ. 조세법과 사법(私法) / 49
Ⅲ. 조세법과 사회법 / 50

제3편 조세법률관계 / 53

제1장 개요 / 54

제2장 조세법률관계의 성격 / 54
Ⅰ. 공법관계 / 54
Ⅱ. 행정법상 권력관계 / 55
Ⅲ. 공법상 채권채무관계 / 56
Ⅳ. 조세법률관계의 불가피성 / 56

제3장 조세법률관계의 당사자 / 57

제4장 조세법률관계의 내용 / 58
Ⅰ. 조세법상 다양한 권리의무관계 / 58
Ⅱ. 납세자의 협력의무 / 58
Ⅲ. 과세행정청의 납세자 재산권보호의무 / 59

제5장 조세법률관계에서 납세자의 권리보호 / 60
Ⅰ. 개요 / 60
Ⅱ. 납세자보호관 제도 / 60
Ⅲ. 납세자보호위원회 제도 / 61
Ⅳ. 납세자권리헌장의 제정ㆍ교부ㆍ낭독 / 62

제6장 과세정보 수집과 납세자 비밀보호 / 65
Ⅰ. 의의 / 65
Ⅱ. 과세당국의 과세정보 수집방법과 그 법적 근거 / 65
Ⅲ. 과세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의무의 의의와 법적 근거 / 67
1. 의의와 법적 근거 / 67
2. 과세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의무의 헌법적 의미 / 68
Ⅳ. 과세정보의 취급과 관련한 외국의 입법례 / 70
1. 과세정보 비밀주의를 취하고 있는 입법례 / 70
2. 과세정보 공개주의를 취하고 있는 입법례 / 70
Ⅴ. 우리나라에 있어서 과세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의무의 내용 / 71
1. 의의 / 71
2. 세무공무원의 범위 / 71
3. 비밀로 유지해야 하는 과세정보의 범위 / 73
4. 과세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의무의 효과와 의무위반자에 대한 제재 / 74
5. 과세정보에 대한 비밀유지의무의 예외 / 75

제4편 조세법률주의 / 77

제1장 조세법률주의의 의의 / 78

제2장 조세법률주의의 역사 / 79
Ⅰ. 우리나라의 경우 / 79
Ⅱ. 외국의 경우 / 80

제3장 조세법률주의의 내용 / 83
Ⅰ. 개요 / 83
Ⅱ. 조세법정주의(좁은 의미의 조세법률주의) / 84
1. 의의 / 84
2. 위임입법의 제한적 허용 / 86
3. 지방세 조례주의의 가능성 검토 / 89
Ⅲ. 조세법규 명확주의 / 90
1. 의의 / 90
2. 학자들의 견해 / 92
3. 헌법재판소의 입장 / 94
Ⅳ. 소급과세금지원칙 / 96
1. 소급과세금지원칙의 의미 / 96
2. 법적 근거 / 97
3. 내용 / 98
Ⅴ. 신뢰보호원칙ㆍ비과세관행의 존중 / 102
1. 의의 / 102
2. 법적 근거 / 103
3. 요건 / 104
4. 효과 / 108
5. 비교 : 납세자의 행동에 대한 신의성실원칙 / 109

제5편 조세공평주의 / 117

제1장 조세공평주의의 의의 / 118
Ⅰ. 조세의 정당화 요소로써 조세공평성 / 118
Ⅱ. 조세공평주의의 규범적 근거와 의미 / 118
Ⅲ. 조세공평과 조세정의 / 119

제2장 조세법률주의와 조세공평주의의 관계 / 120
Ⅰ. 학설 / 120
Ⅱ. 조세법률주의의 한 내용으로서의 조세공평주의 / 120

제3장 공평의 구체적 기준설정 필요성 / 121

제4장 응능과세원칙 / 122
Ⅰ. 응능과세원칙의 개념 / 122
Ⅱ. 응능과세원칙의 기능 / 123
Ⅲ. 응능과세원칙의 규범적 정당화 / 124
1. 의의 / 124
2. 견해 대립 / 124
3. 소결론 / 126
Ⅳ. 응능과세원칙의 내용 / 127
1. 과세기준으로서의 ‘납세자의 능력’ / 127
2. 능력의 주체로서의 ‘납세자’ / 129
3. 과세의 ‘납세능력 상응성’ / 129
4. 납세자의 능력에 상응해야 하는 ‘과세’의 의미 / 131
Ⅴ. 응능과세원칙의 적용범위 / 131
1. 개관 / 131
2. 조정적 세법규정(또는 조정적 조세) / 131
3. 간접세 / 132
4. 상속세 및 증여세 / 134
5. 법인세 / 134
6. 재산과세 / 135
7. 지방세 / 136
Ⅵ. 응능과세원칙의 예외설정 가능성 / 137

제5장 정책적 조세에 있어서 조세공평성 판단기준 / 138

제6편 조세법의 해석과 적용 / 139

제1장 조세법 해석ㆍ적용의 특수성 / 140
Ⅰ. 조세법 해석ㆍ적용의 두 가지 특수성 / 140
Ⅱ. 당사자의 의사가 아닌 객관적 사실에 기초한 법적용 / 141

제2장 조세법의 해석방법 / 143
Ⅰ. 의의 / 143
Ⅱ. 통상적인 법해석 방법 / 144
1. 문언해석 / 144
2. 체계적 해석 / 144
3. 역사적 해석 / 145
4. 목적적 해석 / 145
Ⅲ. 실질과세원칙 / 146

제3장 조세법에서 차용개념의 이해 / 147
Ⅰ. 차용개념의 의의 / 147
Ⅱ. 문제의 발단 / 147
Ⅲ. 조세법상 차용개념의 해석방법 / 147

제4장 엄격해석원칙의 타당성 여부 / 149
Ⅰ. 엄격해석 원칙의 의의와 이론적 배경 / 149
Ⅱ. 조세법률주의와 죄형법정주의 관계 / 149
Ⅲ. 확장해석 또는 축소해석 / 150
Ⅳ. 유추적 법적용 / 151
Ⅴ. 소결 / 154

제5장 조세법해석에 관한 납세자의 질의제도 / 156
Ⅰ. 국세청장에의 질의제도 / 156
Ⅱ. 기획재정부 국세예규심사위원회 / 157

제6장 근거과세원칙과 추계과세원칙 / 159
Ⅰ. 개요 / 159
Ⅱ. 국세기본법 제16조와 관련 개별세법 규정들 / 159
Ⅲ. 근거과세원칙에서 ‘장부’ 또는 ‘증거자료’의 의미 / 160
Ⅳ. 기장의무부과ㆍ무기장가산세 : 기업회계존중 / 162
Ⅴ. 근거과세원칙의 효과 / 164
Ⅵ. 추계과세 / 165

제7편 실질과세원칙 / 167

제1장 실질과세원칙의 의의와 성격 / 168
Ⅰ. 실질과세원칙의 개념 / 168
Ⅱ. 실질과세원칙의 이론적 규명 / 168
Ⅲ. 실질과세원칙에서 ‘실질’의 이해 / 169
1. 학설 / 169
2. 판례 / 170
3. 견해 / 171
Ⅳ. 실질과세원칙과 조세법률주의 / 173
Ⅴ. 실질과세원칙의 내용 / 175
Ⅵ. 납세의무자에 의한 실질과세원칙의 적용 가능성 / 175


제2장 국세기본법 제14조가 규정하고 있는 실질과세원칙 / 177
Ⅰ. 의의 / 177
Ⅱ. 적용 유형 / 177
1.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 / 177
2. 국세기본법 제14조 제2항 / 179
3. 국세기본법 제14조 제3항 / 183
4. 실질주의에 입각한 다양한 개별세법의 규정들 / 185
Ⅲ. 국세기본법 제14조의 성격-개별사례에의 적용가능성 / 185
Ⅳ. 개별세법규정에 의한 예외 / 186
Ⅴ. 실질과세원칙 위반 시의 효과 / 186

제3장 위법ㆍ무효행위에 대한 과세 / 187
Ⅰ. 위법ㆍ무효행위의 유형 / 187
Ⅱ. 위법ㆍ무효행위에 대한 정상적 과세여부 / 188
1. 학설 / 188
2. 판례 / 188
3. 결론 / 190
Ⅲ. 위법ㆍ무효행위에 대한 과세와 민사ㆍ형사적 조치 / 192

제4장 조세회피행위 방지 / 194
Ⅰ. 조세회피행위의 개념과 유형 / 194
Ⅱ. 유사개념과의 구별 / 195
Ⅲ. 조세회피행위의 특성과 규제 필요성 / 196
Ⅳ. 조세회피행위에 대한 규제방법 / 196
1. 가장행위(Scheingeschäft)이론에 의한 해결 / 196
2. 세법규정의 목적적 해석에 의한 해결 / 198
3. 실질과세원칙에 의한 해결 / 199
4. 입법적 해결방법 / 201
5. 부당행위계산부인제도 / 201
Ⅴ. 조세회피행위의 몇 가지 사례 / 202
1. 토지의 교환 후 양도행위 / 202
2. 제3자를 매개한 거래행위 / 203
3. 가족 간의 거래행위 / 205
4. 특수관계자들간 직계비속에 대한 주식의 교차증여 / 206

제8편 조세채무의 성립ㆍ확정ㆍ소멸 / 209

제1장 조세채무의 추상적 성립 / 210
Ⅰ. 의의 / 210
Ⅱ. 조세채무의 추상적 성립시기 / 210
Ⅲ. 조세채무의 추상적 성립에 따른 구체적 법적 효과 / 212
Ⅳ. 납세의무의 성립요건 / 212
1. 과세물건ㆍ과세표준 / 212
2. 과세기간 또는 과세시점 / 215
3. 세율 / 215
4. 납세의무자 / 217
5. 과세권자 / 220

제2장 조세채무의 구체적 확정 / 221
Ⅰ. 의의 / 221
Ⅱ. 확정방식 / 221
Ⅲ. 확정의 대상 / 224

제3장 조세채무의 소멸 / 226
Ⅰ. 납세의무의 다양한 소멸사유 / 226
Ⅱ. 납부 / 226
1. 납세의무자의 자발적 납부 / 226
2. 물납에 의한 조세채무의 소멸 / 227
3. 조세징수절차에 의한 납부 / 227
4. 제3자에 의한 납부 / 228
Ⅲ. 충당 / 228
Ⅳ. 부과의 취소 / 228
1. 국세부과권의 의의 / 230
2. 제척기간 및 그 기산일 / 231
3. 제척기간만료의 효과 / 236
4. 예외적 제척기간 / 237
Ⅵ. 국세징수권 소멸시효의 만료 / 242
1. 국세징수권의 의의 / 242
2. 소멸시효기간 및 그 기산일 / 243
3. 소멸시효의 중단과 정지 / 244
4.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 247

제9편 조세절차법 / 249
제1장 개요 / 250
Ⅰ. 조세절차법의 중요성 / 250
Ⅱ. 조세절차입법에 있어서 입법자의 재량과 그 한계 / 250
Ⅲ. 조세행정절차와 행정절차법의 관계 / 251

제2장 기간과 기한계산방법ㆍ서류송달방법 / 254
Ⅰ. 개요 / 254
Ⅱ. 조세법상 기간과 기한계산방법 / 254
1. 원칙 / 254
2. 국세기본법이 규정한 특례 / 254
3. 국세기본법상 기한연장 사유 / 256
Ⅲ. 조세법상 서류송달방법 / 260
1. 송달방법 / 260
2. 송달장소 / 261
3. 송달수령권자 / 262
4. 송달의 효력발생 / 264
5. 공시송달 / 265

제3장 과세표준(확정)신고와 세액 납부절차 / 267
Ⅰ. 의의 / 267
Ⅱ. 신고납부기간ㆍ방법ㆍ기관 등 / 268
1. 신고납부기간 / 268
2. 신고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세무조정계산서 등) / 268
3. 신고의 방법 / 269
4. 신고의 관할 / 269
Ⅲ. 수정신고 / 270
1. 의의 / 270
2. 수정신고의 요건 / 270
3. 수정신고의 효과 / 272
Ⅳ.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1항에 의한 경정청구 / 274
1. 의의 / 274
2. 요건 / 274
3. 효과 / 280
4. 조세환급소송과의 관계 / 281
5. 경정청구와 부과처분취소소송의 경합 / 282
6. 경정청구와 신의성실원칙 / 283
Ⅴ. 국세기본법 제45조의2 제2항에 의한 경정청구 / 284
1. 의의 / 284
2. 후발적 경정청구와 다른 제도와의 관계 / 284
3.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 / 286
4. 후발적 경정청구기간 / 293
5. 후발적 경정청구의 효과 / 294
6. 증여세에서의 특수성 / 297
Ⅵ. 국세기본법 제45조의3에 의한 기한후신고 / 298
1. 의의 / 298
2. 적법요건 / 299
3. 기한후신고의 수정 / 299
4. 기한후신고와 납세의무의 확정력 / 299
5. 기한후신고와 가산세 감면 / 300
6. 구별 / 300
Ⅶ. 세금납부방법 / 300
1. 금전납부원칙 / 300
2. 신용카드 등에 의한 세금납부 / 301
3. 물납제도 / 302
4. 분납 또는 연부연납제도 / 303
Ⅷ. 중간예납 및 예정신고납부제도 / 304

제4장 행정청의 부과처분절차 / 306
Ⅰ. 의의 / 306
Ⅱ. 과세예고절차 / 307
Ⅲ. 최초 부과처분절차 / 308
Ⅳ. 경정절차 / 308
1. 경정처분의 의의 / 308
2. 과세행정청의 경정권 행사기간ㆍ횟수 / 310
3. 당초처분(또는 최초 납세의무확정행위)과 경정처분의 관계 / 311
Ⅴ. 수시부과처분 / 317
Ⅵ. 부과처분의 방법 / 317
1. 납세고지서(또는 납부통지서) 발부 / 317
2. 납세고지서 기재사항 / 317
3. 납세고지서 송달방법 / 318
4. 고지의 최저한도 / 318
Ⅶ. 부과처분의 하자 등 / 319
1. 부과처분의 하자 (무효ㆍ취소의 구분) / 319
2. 하자의 치유 및 보완 / 321
3. 하자의 승계 / 322
4. 재처분 가능성 / 323
제5장 조세징수절차 / 324
Ⅰ. 조세징수절차의 의의 / 324
Ⅱ. 일반적인 조세징수절차 / 324
1. 납세고지 / 324
2. 독촉 / 326
3. 징수의 보전과 유예 / 326
Ⅲ. 원천징수 절차 / 327
1. 개념 / 327
2. 원천징수절차의 종류 / 328
Ⅳ. 원천징수를 둘러싼 법률관계 / 328
1. 의의 / 328
2. 제1법률관계 : 과세권자와 원천징수의무자 간 / 328
3. 제2법률관계 : 원천징수의무자와 납세의무자 / 331
4. 제3법률관계 : 과세권자와 원천납세의무자 / 334
V. 원천징수의 한계 / 337

제10편 세무조사 / 339

제1장 의의 / 340
Ⅰ. 세무조사의 개념 / 340
1. 세무조사의 일반적 정의 / 340
2. 질문조사와 세무조사 / 340
3. 세무조사와 세무조사가 아닌 사실행위의 구분 실익 / 342
4. 조세범칙조사와 일반세무조사 / 343
Ⅱ. 세무조사의 법적 성질 / 343
Ⅲ. 세무조사의 법적 규율 / 344
Ⅳ. 세무조사권 남용금지 / 345

제2장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방법 / 346
Ⅰ. 의의 / 346
Ⅱ. 정기세무조사의 경우 / 346
Ⅲ. 수시세무조사의 경우 / 347
Ⅳ. 조사 사유가 분명하지 않은 세무조사 / 347

제3장 세무조사의 절차 / 348
Ⅰ. 사전통지 및 연기신청 / 348
Ⅱ. 검사원증 제시 및 납세자권리헌장의 교부 및 낭독 등 / 349

제4장 세무조사의 범위 및 범위확대의 제한 / 350
Ⅰ. 통합조사 원칙 / 350
Ⅱ. 중복 조사의 원칙적 금지 / 351
Ⅲ. 세무조사결과통지 / 355
Ⅳ. 세무조사와 영장주의 / 356

제5장 세무조사 기간 / 357
Ⅰ. 세무조사기간의 제한 / 357
Ⅱ. 세무조사기간의 연장 / 357
Ⅲ. 세무조사의 중지ㆍ재개와 세무조사기간 / 358

제6장 세무조사 효과 / 359
Ⅰ. 적법한 세무조사의 일반적 효과 / 359
Ⅱ. 위법한 조사권 행사의 효과 / 359
1. 조사거부 / 359
2. 조세부과처분의 효력 / 360

제7장 세무조사와 납세자의 권리구제 / 362
Ⅰ. 개요 / 362
Ⅱ. 세무조사 개시 전 납세자 권리구제 / 362
1. 의의 / 362
2. 납세자보호관ㆍ납세자(보호)담당관ㆍ납세자보호위원회 / 363
3. 세무조사 결정행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의 제기 / 363
4. 예방적 금지소송을 통한 권리구제 가능성 / 365
5. 세무조사행위 자체에 대한 취소쟁송 / 366
Ⅲ. 세무조사 진행 중 납세자 권리구제 / 366
Ⅳ. 세무조사 결과통지 후 확정처분이 이루어지기 전 납세자 권리구제 / 367
Ⅴ. 세무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확정처분이 이루어진 후 납세자 권리구제 / 367
1. 다양한 권리구제방법들 / 367
2. 위법한 세무조사에 기초한 조세부과처분의 효력 / 367
3. 위법한 조사결과를 과세처분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은 경우 / 368

제11편 조세환급제도 / 369

제1장 조세환급제도의 의의 / 370

제2장 요건 및 절차 / 371
Ⅰ. 과오납금 내지는 좁은 의미의 환급세액의 발생 / 371
Ⅱ. 과세행정청의 조세환급금으로의 결정 / 372
Ⅲ. 충당과 지급 / 373

제3장 조세환급의 범위 / 375
Ⅰ. 개요 / 375
Ⅱ. 국세환급금과 환급가산금 / 375
1. 국세환급금 / 375
2. 환급가산금 / 376
Ⅲ. 물납재산환급시 특례 / 379

제4장 국세환급의 경우 환급대상자(환급청구권자) / 382

제5장 환급받을 권리의 행사 / 383
Ⅰ. 환급청구권의 시효 및 양도 / 383
Ⅱ. 행정청의 환급거부에 대한 심판청구 등 / 384
Ⅲ. 과오납금ㆍ환급금의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 / 384
1. 일반적인 경우 / 384
2. 부가가치세의 경우 / 386

제12편 조세채권담보제도 / 389

제1장 개요 / 390

제2장 납세의무의 승계 / 390
Ⅰ. 소개 / 390
Ⅱ. 법인의 합병에 따른 납세의무 승계 / 390
Ⅲ. 상속에 따른 납세의무의 승계 / 391

제3장 연대납세의무 / 394
Ⅰ. 의의 / 394
Ⅱ. 국세기본법이 규정하고 있는 연대납세의무 / 395
1. 공유물 등에 관한 연대납세의무 / 395
2. 그 외의 경우 / 395
Ⅲ. 기타 세법상 연대납세의무 / 396
Ⅳ. 연대납세의무와 관련하여 주의할 점 / 397

제4장 제2차 납세의무 / 399
Ⅰ. 의의 / 399
Ⅱ. 제2차 납세의무의 성립과 확정 / 399
1. 제2차 납세의무의 성립 / 399
2. 제2차 납세의무의 확정 / 399
Ⅲ. 제2차 납세의무의 종류 / 400
1. 청산인 등의 제2차 납세의무 / 400
2. 출자자의 제2차 납세의무 / 404
3. 법인의 제2차 납세의무 / 410
4. 사업양수인의 제2차 납세의무 / 412
Ⅳ. 제2차 납세의무의 부과제척기간과 소멸시효 / 417
1. 제2차 납세의무의 부과제척기간 / 417
2. 제2차 납세의무자에 대한 징수권소멸시효 / 421
Ⅴ. 제2차 납세의무의 소멸 / 422
1. 일반적 소멸 사유 / 422
2. 주된 납세의무의 소멸이 제2차 납세의무에 미치는 영향 / 422
Ⅵ. 제2차 납세의무자의 구제방법 / 423

제5장 물적 납세의무 / 427
Ⅰ. 물적 납세의무제도 개관 / 427
Ⅱ. 물적납세의무제도의 취지 / 427
Ⅲ. 물적 납세의무부과를 위한 법정기일 / 427
Ⅳ. 양도담보권자가 체납한 경우 양도담보재산에 대한 강제집행가능성 / 428

제6장 납세담보 / 429
Ⅰ. 의의 / 429
Ⅱ. 현행 세법에 의하여 납세담보를 요구할 수 있는 경우 / 429
Ⅲ. 납세담보의 제공 / 429
1. 담보제공가능 재산 / 429
2. 담보재산의 평가 / 430
3. 담보제공 방법 / 430
Ⅳ. 담보의 변경ㆍ보충 / 430
Ⅴ. 담보에 의한 납부와 징수 / 431

제7장 국세우선권 / 432
Ⅰ. 국세채권과 일반채권과의 관계 / 432
1. 국세우선원칙 / 432
2. 국세우선의 제한 / 432
3. 거짓담보설정계약에 대한 사해행위취소제도 / 441
Ⅱ. 조세채권 간의 우선관계 / 442
Ⅲ. 교부청구 (배당요구) / 444
1. 국세 측면 / 444
2. 채권자 측면 / 445
Ⅳ. 신용회복지원제도ㆍ도산제도와 조세채권 / 446

제13편 조세의 강제징수 / 451

제1장 강제징수제도 / 452
Ⅰ. 강제징수제도의 개념 / 452
Ⅱ. 과세처분과 강제징수처분의 관계 : 위법성의 승계 / 453
Ⅲ. 강제징수업무의 민간 위탁 / 454

제2장 강제징수절차 / 455
Ⅰ. 압류 / 455
1. 의의 / 455
2. 요건 / 455
3. 압류대상재산 / 456
4. 압류절차 / 458
5. 압류의 효력 / 460
6. 압류의 해제 / 463
7. 교부청구 및 참가압류 / 464
Ⅱ. 매각(환가) / 464
1. 매각의 의의 / 464
2. 매각의 요건 / 464
3. 공매 / 465
4. 수의계약 / 469
Ⅲ. 청산 / 469

제3장 압류ㆍ매각의 유예 / 470

제14편 의무이행관련 우대ㆍ제재제도 / 471

제1장 개요 / 472

제2장 성실납세자에 대한 조세우대제도 / 473
Ⅰ. 의의 / 473
Ⅱ. 소득세법상 성실사업자제도(성실신고확인제도 포함) / 473
Ⅲ. 법규화되지 않은 성실납세자 우대제도 / 474

제3장 불성실납세자에 대한 조세제재제도 / 475
Ⅰ. 가산세 제도 / 475
1. 의의 / 475
2. 성질 / 475
3. 가산세의 종류 / 476
4. 가산세 채무의 성립과 확정 / 482
5. 가산세의 부과ㆍ징수 / 484
6. 가산세의 부과제외 및 감면 / 486
7. 가산세의 한도 / 489
8. 가산세에 대한 불복 / 490
Ⅱ. 고액ㆍ상습체납자 등의 명단공개 / 490
1. 의의 / 490
2. 요건 / 491
3. 효과 / 492
Ⅲ. 관허사업제한 / 493
1. 의의 / 493
2. 신규 인ㆍ허가를 거부하는 경우의 요건 / 493
3. 기존 인ㆍ허가를 중지 또는 취소시키는 경우의 요건 / 494
4. 효과 / 494
Ⅳ. 탈세제보자에 대한 포상금지급 / 495
Ⅴ. 공직선거에 있어서 납세사실공표 등 / 496
Ⅵ. 신용기관 등에 체납정보의 제공 / 496
Ⅶ. 출국금지요청 / 497
Ⅷ. 사해행위취소제도 / 497
Ⅸ. 납세증명서제도 / 498
Ⅹ. 감치제도 / 498

제4장 조세범 / 499
Ⅰ. 의의 / 499
Ⅱ. 조세형사범의 종류 / 499
Ⅲ. 조세형사범의 경우 / 501
1. 의의 / 501
2. 형법총칙의 적용여부 / 501
3. 조세형사범의 본질 / 502
4. 조세형사범 처벌의 법적 근거, 규범구조 및 납세의무와의 관계 / 503
5. 조세형사범 처벌절차 / 506
Ⅳ. 조세질서범의 경우 / 509
1. 의의 / 509
2. 조세질서범에 대한 처벌절차 / 509
Ⅴ. 개별 처벌규정 개관 / 510
1. 소개 / 510
2. 포탈범 / 510
3. 간접적 탈세범 / 514
4. 조세위해범 / 515

제15편 조세구제법 / 517
제1장 개요 / 518
Ⅰ. 조세법률주의원칙과 조세구제법 / 518
Ⅱ. 조세법령위반의 두 주체 / 518
Ⅲ. 다양한 조세구제제도 / 519

제2장 과세전적부심사제도 / 520
Ⅰ. 의의 / 520
Ⅱ. 과세전적부심사의 내용 / 520
1. 과세전적부심사를 청구할 수 있는 결정전 통지 / 520
2. 과세전적부심사 청구기간 / 522
3. 청구기관 / 522
Ⅲ. 과세전적부심사 청구의 효과 / 522
Ⅳ. 과세전적부심사의 결정과 결정 후의 불복절차 / 523
1. 결정절차와 결정유형 / 523
2. 결정내용의 통지 / 523
3. 결정의 구속력 / 523
4. 결정후 불복절차 / 524
Ⅴ. 조기결정제도 / 525

제3장 조세행정심판제도 / 526
Ⅰ. 행정심판제도 일반론 / 526
1. 행정쟁송 / 526
2. 조세행정심판과 조세행정소송의 관계 / 526
3. 조세행정심판의 대상이 되는 처분 / 527
4. 대리인ㆍ국선대리인 제도 / 529
Ⅱ. 이의신청 / 530
1. 이의신청의 적법요건 / 530
2. 이의신청 담당기관(재결청) / 531
3. 이의신청의 효과 / 531
4. 당사자의 서류열람 및 의견진술권 / 531
5. 이의신청에 대한 결정과 불복방법의 고지 / 532
6.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적용 여부 / 536
Ⅲ. 심사청구 / 537
1. 심사청구의 적법요건 / 537
2. 심사청구 담당기관(재결청) / 539
3. 심사청구의 효과와 당사자의 서류열람 및 의견진술권 / 539
4. 심사청구에 대한 결정과 불복방법의 고지 / 539
5. 불이익변경금지원칙 / 540
Ⅳ. 심판청구 / 540
1. 심판청구의 적법요건 / 540
2. 조세심판원장(재결청) / 541
3. 심판청구에 대한 결정과 불복방법의 통지 / 541
4. 심판청구에 있어서 결정의 효력 / 543
5. 불이익변경금지원칙 / 544

제4장 조세행정소송 / 544
Ⅰ. 개요 / 544
Ⅱ. 조세행정소송의 유형 / 545
1. 신고납세방식의 경우 / 545
2. 부과과세방식의 경우 / 547
Ⅲ. 소송요건 / 551
1. 처분성 / 551
2. 원고적격 / 551
3. 피고적격 / 552
4. 전심절차의 이행 / 552
5. 제소기간 / 555
Ⅳ. 심판의 대상 및 심리 / 555
1. 심판의 대상(소송물) / 555
2. 심판의 범위 - 총액주의와 쟁점주의 / 561
3. 심리단계에서의 입증책임의 문제 / 562


제5장 조세민사소송 / 563
Ⅰ. 국가배상소송 / 563
Ⅱ. 부당이득반환소송 / 565
1. 부당이득반환소송의 법적 근거 / 565
2. 부당이득반환소송의 성질 / 565
3. 부당이득반환의 범위 / 565
4.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 565
5. 부당이득반환소송과 선결문제 : 부당이득반환소송과 취소소송과의 관계 / 565
6. 신고주의조세에서 신고가 잘못되어 부당이득반환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 566
7.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시효중단사유 / 568

제6장 헌법재판 / 569
Ⅰ. 조세사건과 헌법재판 / 569
Ⅱ. 위헌법률심판제도와 헌법소원제도의 요건과 결정 / 569
1. 위헌법률심판 / 569
2. 헌법소원 / 570
Ⅲ.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과 조세행정처분의 효력 / 571
1.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의 효력 / 571
2.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이후 조세행정처분의 효력 / 571
Ⅳ.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 573

색인 / 57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