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가화(家禍)로 인한 19년간의 유배 생활
유방선(柳方善, 1388∼1443)의 본관은 서산(瑞山), 자는 자계(子繼), 호는 태재(泰齋)다. 송도(松都)의 방제(坊第)에서 태어났다. 그는 10대 때 권근(權近)과 변계량(卞季良)에게 수학했는데 이들은 이색의 문인이다. 유방선은 1405년 18세의 나이로 생원시에 입격해 성균관에서 유학하며 대과를 준비했다. 그러나 1409년 부친 유기가 ‘민무구(閔無咎) 형제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방선은 청주로 유배되었다. 느닷없이 들이닥친 가화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고 도무지 희망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상황에서도 그는 《주역》의 태괘(泰卦)를 자호로 삼고, 영천 서산의 송곡 아래에 작은 집을 지어 ‘태재’라는 편액을 내걸었다. 영천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이안유(李安柔), 조상치(曺尙治), 최원도(崔元道)와 같은 지역 문인들을 포함해 승려들과도 활발히 교유했고, 지역의 자제들을 양성했다. 1427년에야 완전히 사면되었는데 유배 기간이 모두 19년이었다. 1431년에 영천에 있던 가족을 이끌고 원주의 법천으로 갔다. 이후 1443년 5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법천에 머무르며 시문을 강학했다.
여말 선초의 시단
유방선은 비록 가문의 정치적 시련으로 인해 평생 관직에 나아가지는 못했지만, 고려 말 시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조선 초 시단을 진작했다고 평가받는다. 서거정, 권남, 한명회 등 탁월한 제자들을 양성했으며 특히 조선 전기 문단을 대표하는 서거정은 “내가 문명(文名)을 훔쳐서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은 모두 선생이 베푼 은혜다”라고 했고, 허균도 자신의 가학의 연원을 유방선에서 찾았다. 유방선의 시문학은 고려 후기 이색, 이숭인, 정몽주, 권근, 변계량으로부터 조선 전기 서거정, 권남, 이승소, 성간, 그리고 허균에 이르는 여말 선초 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그의 문집 《태재집》은 모두 5권 2책으로, 권1∼3은 시, 권4는 문, 권5는 부록이다. 수록된 시문은 시가 모두 663수(527제)이고 문이 모두 14편으로, 유방선의 문학 세계는 시를 통해 구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언 율시의 매력
특히 그는 두시(杜詩)에 정통했는데, 율시의 대가였던 두보의 영향을 받아 《태재집》에도 율시가 절반 이상의 비율을 차지한다. 《태재 시선》에는 그중 5언 율시 125제 153수를 수록했다. 이 5언 율시에는 그가 교유하고 시를 주고받았던 주요 인물들이 상당수 등장해 당시 학맥과 문단의 교유 관계를 살필 수 있다. 또한 유배지에서의 아픔을 그린 작품이 많고 창작 시기가 명기된 작품도 있어, 특별한 사전 지식 없이도 시를 한 수씩 읽어 나가다 보면 자연스레 그의 삶의 궤적이 그려진다. 가혹한 현실 앞에서도 ‘한(閒)’의 정서를 잃지 않는 작품이 많아 그의 삶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무엇보다 그의 율시는 대구가 뛰어나고 허사의 쓰임도 절묘해 율시의 매력을 한껏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