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바세 연구

바세 연구

  • 조병활
  • |
  • 어의운하
  • |
  • 2024-01-30 출간
  • |
  • 240페이지
  • |
  • 129 X 197mm
  • |
  • ISBN 9791197708060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바세』는 어떤 책인가?

『바세』는 티베트 제37대 짼뽀 치데쭉땐(대략 680-704-754)과 제38대 짼뽀 치송데짼(742-755-797) 부자 통치 시기에 있었던 불교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8세기 중·후반 당시 티베트에 불교가 전파되는 과정과 삼예사 건립의 역사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외래종교인 불교와 티베트 자생종교인 본교의 대립, 샨타락시타 스님과 파드마삼바바 스님이 티베트에 들어오는 과정, 삼예사 건립, 삼예종론宗論의 전개와 결말 등이 내용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부똔불교사』, 『붉은 역사[뎁테르말뽀]』, 『왕조명경王朝明鏡』, 『두견가음杜鵑歌音』, 『현자들의 즐거운 잔치[캐배가똔]』 등 후대의 많은 티베트 역사서歷史書가 인용할 정도로 유명하다. 『바세』는 또 다른 이유로 주목받는다. 티베트불교의 앞날을 예견하는 김 하샹[김 화상金和尙]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김 하샹이 언급한 티베트불교의 흥륭興隆에 대한 예언이 『바세』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김 하샹이 바로 신라의 무상無相 스님이다.

2. ‘김 하샹’은 누구인가?

『바세』에 등장하는 신라인 무상 스님에 대한 기록은 『역대법보기歷代法寶記』, 『송고승전宋高僧傳』 권제19 「당성도정중사무상전唐成都淨衆寺無相傳」, 『원각경대소석의초圓覺經大疏釋義鈔』 권제3(하下) 등에 있다. 무상 스님의 생졸년은 『송고승전』 권제19 「당성도정중사무상전」에 나오는 “至德元年建午月十九日, 無疾示滅, 春秋七十七[지덕 원년(756) 음력 12월 19일 병 없이 입적하니 나이는 77세였다].”이라는 기록에 의하면 680-756년이 된다. 반면 『역대법보기』에 보이는 “寶應元年 … 五月十九日, … 大師時七十九[보응 원년(762) … 5월 19일 … 대사의 나이 79세였다].”(『대정신수대장경』 제51책, p.185a)에 의하면 684-762년이 된다. 무상 스님의 법맥은 『원각경대소석의초』 권제3하(『대장신찬만속장경大藏新撰卐續藏經』 제9책, p.533c)에 자세하다.

“본래 오조五祖 문하에서 나뉘어 나왔고 이름은 지선이며 바로 (홍인 스님의) 십대제자 가운데 한 명이다. 사천성 자주 사람으로 뒤에 본주의 덕순사로 돌아와 가르쳤다. 속성이 당唐 씨인 제자 처적 스님이 계승했으며 처적 선사는 네 명의 제자를 두었다. 성도부 정중사 김 화상은 법명이 무상으로 (네 명의 제자 가운데) 한 명이다[根元是五祖下分出, 名為智詵, 即十人中之一也. 本是資州人, 後却歸本州德純寺開化. 弟子處寂俗姓唐承, 後唐生四子. 成都府淨眾寺金和尚, 法名無相, 是其一也].”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달마-혜가-승찬-도신-홍인-덕순사 지선-처적[唐和上]-무상[金和尙·金和上]”

3. ‘삼예종론宗論’이란 무엇인가?

781년경 돈황敦煌 일대가 티베트 영토로 편입된 이후 785년경 ‘마하야나(대략 740-810)’라는 이름의 중국인 스님이 라싸에 들어가 가르침을 폈다. 마하야나 화상和尙·和上은 ‘마하연摩訶衍’으로도 불린다. 돈황敦煌에서 태어난 그는 선종 북종北宗의 영향을 받은 선승으로 알려져 있으며 돈황 일대에서 가르침을 펴다 라싸에 들어갔다. 그는 인도에서 온 까말라씰라[연화계] 스님과 792-794년 삼예사에서 논쟁을 펼쳐 패배한 뒤 돈황으로 돌아갔다. 이것을 ‘삼예사에서 벌어진 불교 교리논쟁’, 즉 ‘삼예종론宗論’이라 부른다. 인도 불교학을 상징하는 까말라씰라 스님과 중국 불교학을 상징하는 마하야나 화상 간의 ‘논쟁’으로 보거나 점문파(漸門派, 까말라씰라 스님)와 돈문파(頓門派, 마하야나 화상) 사이의 ‘쟁론諍論’으로 해석하는 학자도 있다. 삼예종론의 전말을 기록한 최초의 문헌이 바로 『바세』이다. 한편, 돈황석굴에서 발견된 『돈오대승정리결頓悟大乘正理訣』(왕석王錫 정리)에 마하야나 화상의 사상이 정리되어 있으며 『돈오대승정리결』에 마하야나 화상이 패배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846년 토번 왕조가 멸망하며 돈황 지배도 끝난다.

4. 『바세』의 가치

1) 티베트에 불교가 전파된 과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2) 티베트불교의 앞날에 대한 신라 무상 스님의 예언이 있다.
3) 티베트 역사에서 중요한 삼예사 건립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4) 적호(샨타락시타) 스님과 연화생(파드마삼바바) 스님이 티베트에 들어가게 된 배경,
활동 등이 기록되어 있다.
5) 삼예종론의 배경, 전개 과정, 결과 등이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다.
6) 티베트 자생종교인 본교와 불교의 사상적·정치적인 대결이 담겨 있다.
7) 고대 티베트인들의 습속과 문화를 알 수 있다.

목차

1. 연구 편
『바세』와 티베트불교
『바세』 5종 필사본에 보이는 ‘김 하샹’ 기록 비교 연구

2. 역주 편
바세
dba" bzhed/(티베트어 원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