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사회 및 교육 현상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중요한 연구방법인 통계!
음악이라는 순수 예술을 근간으로 하는 분야인 음악교육에 전하는 양적연구방법론!
수학에 대한 두려움, 음악 예술을 수학적 분석으로 소개할 수 없다는 철학적 믿음 등 다양한 이유로 어려웠던 음악교육의 통계적 절차 사용의 벽을 허무는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음악교육에 현존하는 방대한 양적 연구를 수집하고, 그 연구의 기반이 된 데이터를 사례로 활용하여 음악교육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 기법을 설명하고 있다.
통계의 기본 개념 설명부터 음악교육에서의 다양한 현상을 파악하고 비교하는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 분산 분석, 요인 분석을 비롯하여,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원인을 찾기 위한 다양한 사후 검정, 미래를 예측하는 판별 분석, 회귀 분석, 그리고 연구의 정확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한 여러 신뢰도 분석에 이르기까지, 여기에는 매우 다양한 통계 기법이 소개되어 있다.
각 분석마다 가설과 사용되는 검정, 그리고 SPSS(사회과학 통계 패키지)를 사용한 결과 및 보고서 작성 힌트와 예시 보고서 등이 제시되어 독자의 이해를 높인다.
17쪽
기본적으로 모든 통계의 궁극적 목표는 최고의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에 근거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하여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시작하도록 돕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리는 통계적 절차를 통해 가능한 한 많은 변수를 통제하면서 전체 모집단이 아닌 참여자들의 표본을 사용하여 진술된 가설을 기각할지 또는 수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18쪽
이 책 전체에 걸쳐 공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나는 독자들에게 몇 가지 통계적 절차를 위한 공식을 제시한다. 이 노력은 독자가 검사 뒤에 숨겨진 논리를 이해하도록 돕고, 통계 검정 뒤에 숨겨진 상징적 추론을 파악하기 시작하게 한다. 또한 공식은 실제로 질문에 어떻게 대답해야 하는지에 대한 요약이다.
49쪽
명확한 해답이 있을까? 아니다. 추론 통계를 사용하는 모든 연구자는 1종과 2종 오류를 범한다. 우리의 일은 가능한 최선의 결정을 내리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제공된 정보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히 연구가 탐색적 오류가 아닌 경우, 1종 오류보다 2종 오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51쪽
음악교육 연구자나 음악교육 연구 독자는 통계적 절차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되는 데이터 유형은 데이터를 더 잘 해석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통계 절차에 대해서도 알려준다.
56쪽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이진 현상이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의미한다. 유의성에 대해 ‘접근하는 유의성’이나 ‘동향’은 없다. 이것들은 연구에 투자된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문구들이다.
62쪽
각 장은 음악교육 분야 내에서 이미 발표된 연구로부터 채택된 예시를 사용하였고, 여러분이 연구할 수 있는 두 개의 데이터 세트를 수록하였다. 첫 번째 데이터 세트는 각 장마다 나오는데, 책과 함께 분석 절차를 수행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데이터 세트는 첫 번째 데이터 세트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분이 직접 수행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