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중요한 건 어떻게 해야 이 탑을 빠져나갈 수 있느냐는 거야.”
휘, 진구 예나는 우연히 한밤중 학교 옥상에서 마주친다. 학교폭력과 진로 문제, 학업 스트레스 등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던 이들은 아무에게도 할 수 없었던 이야기를 서로 나누면서 세상을 향해 마지막 희망을 걸어 보기로 한다. 그런데 너무 조용하다. 이들의 절박한 질문에 답하는 어른이 한 명도 없다. 무시와 무관심 속에서 세 사람은 결국 자살을 예고한다. 예고자살이라는 민감한 사건이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그제서야 세상은 들썩인다. 자살을 부추기는 사람들과 삶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사람들까지, 온 세상이 이들의 결정을 가슴 졸이며 지켜본다. 절망 끝에서 서로의 손을 잡고 부서진 몸과 마음을 다시 일으켜 세워 세상을 향해 말을 건네는 과정이 한껏 달아오른 필라멘트보다 더 뜨겁고 긴박하게 전개된다.
“내가 얼마나 억울한지도 알 거 아냐! 말로 해도 안 되고 신고해도 안 되고.
나더러 어쩌라고?” -오진구
아빠를 닮아 덩치도 크고 힘도 세지만 평화를 사랑하는 진구. 규철이 패거리에게 괴롭힘을 당해도 중학교만 졸업하면 다시 볼 일 없을 테니 조금만 참자 마음 먹는다. 그런데 더는 못 참겠다. 사람이 잘못을 했으면 미안하다고 사과부터 하는 게 순서다. 뭐든 돈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괴물 같은 사람들이 나쁜 거다. 나는 거지도 아니고, 너희들이 기분 나쁘다고 아무렇게나 걷어차도 되는 돌멩이는 더더욱 아니다. 무엇보다 세상에 무릎 꿇은 아빠에게, 나 때문에 우는 엄마에게 희망이 되고 싶다.
“하고 싶은 걸 할 수 없다면 차라리 죽어 버리는 게 나을지도 몰라.” -감휘
만화가가 되겠다는 걸 막는 아빠는 아들이 자기 소유물인 줄 안다. 시시티브이까지 달아서 아들을 감시하는 아빠를 벗어나 학교 옥상에 오르는 휘.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일도 만화 속에서는 가능해지는 마법이 일어난다. 탑에 오르겠다고 한 적도 없는데 탑에 가두고 무조건 꼭대기 층에 행복이 있다고 말하는 아빠의 생각이 틀렸다는 걸 보여 주고 싶다. 탑에 갇힌 아이들이 한 명도 빠짐없이 날아오르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다.
“엄마는 결국 나를 찾아내지 못했어. 어쩌면 찾을 생각조차 없었을지도.
이젠 다 놓을 수 있을 것 같아.” -이예나
엄마랑 산책만 해도 행복한데 엄마는 자꾸 꼭대기에 올라야 가장 멀리 볼 수 있다고 한다. 당장 손에 잡고 있는 문제집의 글자가 보이지 않는다는 호소에도 엄마는 마음이 물러터져서 보지 못하는 거란다. 모두 함께 행복한 세상이 좋은 세상이라고 말하던 엄마 모습은 가면이었을까? 담장 밖으로 쏟아지는 넝쿨장미처럼 예나도 담장을 넘고 싶다. 자유롭게 세상을 여행하고 싶다.
저항값을 높여 빛을 뿜어내는 필라멘트처럼
뜨겁고 환하게, 스스로 빛나는 우리들
이병승 장편소설 『필라멘트』는 막다른 길에 내몰린 청소년들의 절박함과 그 절박함을 모른 체하는 어른들의 민낯을 강렬한 대사와 속도감 있는 전개로 보여 준다. 죽음을 부추기는 무책임한 댓글과 유튜브 생중계를 막으려고 우왕좌왕하는 어른들의 세계를 통해 SNS의 어두운 이면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한다. 휘, 진구, 예나 세 주인공이 절망을 딛고 죽음의 문턱에서 스스로의 저항값을 높여 뿜어낸 빛은 경제 논리에 무릎 꿇은 진구 아빠와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메말라 버린 예나 엄마, 능력주의에 빠진 휘의 부모, 무기력한 선생님들에게도 온기를 나눠준다. 어두운 터널을 함께 어깨겯고 통과해 가는 이들의 걸음이 고맙고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