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이 “존경하고 사랑하는 당신” 이희호에게
《옥중서신 1》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희호 여사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엮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9년 7월 병원에 입원하기 전까지 《옥중서신》 재발간 작업에 열정을 쏟았다. 가장 힘들었던 시기에 주고받은 편지이니만큼 소제목에서부터 본문 구성에 이르기까지 여러 작업 과정을 꼼꼼히 챙겼다.
총 3장으로 구성된 1권에는 진주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1977년에 쓴 편지 8편, 서울대병원에 수감 중이던 1978년에 ‘못으로 눌러쓴 메모’ 3편, 청주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1980~1982년에 쓴 29편을 수록했다. 봉함엽서에 깨알 같은 글씨로 빽빽하게 쓴 편지들도 그러하나, 특히 서울대병원 수감 당시 껌 종이, 과자 포장지 등에 못으로 눌러 써서 이희호 여사에게 몰래 전달한 메모들은 당시 시대 상황을 보여주는 동시에 우리 가슴을 저미게 하는 역사적 기록이다. 이 메모들은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에서 내용을 판독하여 이 책에 게재했다.
더불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기하던 해에 남긴 〈김대중 마지막 일기〉를 단행본에는 처음으로 수록해 공개한다. 2009년 1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의 기록으로 노후를 즐기는 부부의 소소한 행복과 지병으로 치료받는 일기 등과 더불어, 용산참사에 대한 가슴 아픈 기록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의 참담한 심경에 관한 기록이 있어 눈길을 끈다. 지병을 앓는 와중에도 국민을 아끼는 마음과, 민주주의와 정의에 대한 변치 않는 믿음과 신념을 엿볼 수 있다.
《옥중서신 1》에 수록한 수많은 독서와 사유의 결과를 기록한 내용을 보노라면, 신학에서부터 역사, 경제, 철학, 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적 범위와 통찰의 깊이를 엿볼 수 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 땅의 민주주의와 전 세계의 평화 그리고 이웃을 향한 화해와 용서’를 내포한 그의 사상의 진면목을 가늠할 수 있다. 이 책은 분명, 김대중 전 대통령을 깊이 이해하는 데 소중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이희호가 “존경하는 당신” 김대중에게
《옥중서신 2》는 이희호 여사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모음이다. 2권 역시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는 1972년 10월유신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미국, 일본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때부터 1973년 8월 8일 ‘김대중 납치사건’이 일어나기 1주일 전까지 주고받은 편지 27편이 수록되어 있다. 2장에는 1976년 ‘3.1민주구국선언사건’으로 진주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33편을 담았다. 마지막 3장에는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으로 청주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 수십 편을 수록했다.
이희호 여사가 옥중으로 보낸 편지에는 남편의 안전을 걱정하는 절박한 심정과 당부가 곳곳에 묻어 있다. 혹여 김대중 전 대통령이 용기를 잃지 않을까 걱정하는 마음에 가족 소식을 꼼꼼하게 담았고, 지인과 측근의 근황은 물론, 마당의 화초 이야기 등을 편지를 써 내려갔다. 국내외 정세와 사회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식을 편지에 적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옥 바깥의 현실감각을 잃지 않도록 애쓴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이희호 여사는 인생의 배우자이자, 민주화 투쟁의 동지, 그리고 정치적 후원자이자 조언자로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곁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옥중서신 2》에 수록한 편지는 이희호 여사의 세심하고 꼼꼼한 면모는 물론이고, 아내이자 어머니의 역할을 넘어, 민주화 투쟁의 운동가이자 인권 운동가로서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감옥에 갇힌 남편을 구명하기 위해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까지 닿은 그의 ‘투쟁사’를 절실함이 묻어 있는 담담한 필치에서 절절하게 느낄 수 있다. 이희호 여사의 편지들은 당시 시대 상황만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민주화 투쟁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