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금강정보리심론 주해(강해)

금강정보리심론 주해(강해)

  • 종석
  • |
  • 하움출판사
  • |
  • 2024-01-11 출간
  • |
  • 656페이지
  • |
  • 188 X 257mm
  • |
  • ISBN 9791164404803
판매가

70,000원

즉시할인가

63,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3,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금강정보리심론〉은 밀교이해를 위해 필히 정복해야 할 논서로, 수많은 밀교경전중 대표격인 금강정경(金剛頂經)을 중심으로 밀교의 특징인 즉신성불(卽身成佛=금생성불)의 이론과 실제를 설한 논서이다. 대학원에서의 30여년간의 연구테마이자 교재로서 사용해온 이 논서를 주석함과 동시 논이 설하고 있는 금생(今生)성불에 대한 중심교리(이론)와 실천행을 정밀분석하여, 논이 인용ㆍ주창하고 있는 논지의 출처는 물론 이론과 실천행에 대한 확실한 원리와 실제수행의 비법을 밝힘과 동시, 아울러 그간 여러 이설로 분분했던 저자(논자)문제를 논서의 철저한 분석과 당시의 상황분석을 통해 명확히 정리하였다.

목차

目次

開章

1장 發菩提心(발심)
「若有上根上智之人 當發如是心 我今志求阿耨多羅三藐三菩提」

1. 發菩提心
1.1 밀교수행자의 자격: 上根上智者
1.1.1 上根上智者란?
「若有上根上智之人 不樂外道二乘法 有大度量勇銳無或者 宜修佛乘」
註解ㆍ講解
〈上根上智者만이 무상정등정각을 성취할 수 있다〉
1.1.2 밀교수행자: 무상정등정각만을 구하는 上根上智者(佛乘)
「我今志求阿耨多羅三藐三菩提 不求餘果」

註解ㆍ講解
〈신라 밀교승 혜초(慧超)스님 같은 분이 上根上智者〉


1.1.3 발보리심(發菩提心)이란?
「願成瑜伽中諸菩薩身者 亦名發菩提心 諸尊皆同大毘盧遮那佛身」
註解ㆍ講解
〈보살이 되고자 발원하는 자=發菩提心者〉

1.2 發心(발심) 뒤에는 장애가 뒤 따른다
「誓心決定故 魔宮震動」十方諸佛皆悉證知」

註解ㆍ講解
〈發心 뒤에는 반드시 장애가 생긴다〉

1.3 윤회에서 벗어날 因은 인간계에서만이 가능하다
「常在人天 受勝快樂 所生之處 憶持不忘」

註解ㆍ講解
〈윤회에서 벗어날 수행은 인간계에서만 닦을 수 있다〉
2. 發菩提心者의 마음가짐
- 세간성취의 비유를 통해 發心을 강조함 -

2.1 발심과 수행의 중요성을 세간성취에 비유
2.1.1 목적 성취를 위해선, 발원(발심)이 필수
「求菩提者 發菩提心」
註解ㆍ講解
〈發願已 歸命禮三寶〉

2.1.2 발원(발심)뒤에는 반드시 行(실천)이 뒤따라야
「先標其心 而後成其志」

註解ㆍ講解
〈行하지 않거나, 이루지 못한 것은 無明(痴)이며 중생의 병이다〉
〈佛法大海 信爲能入 智爲能度〉
〈승가(僧伽)와 大海〉

2.1.3 發心(A=)卽到
「發如是心 我今地久 阿耨多羅三藐三菩提 不求餘果」

註解ㆍ講解
〈發心卽到〉
2.1.4 無上正等正覺의 성취는 三摩地法으로만 가능함
「唯眞言法中卽身成佛故 是故說三摩地。於諸敎中 闕而不言」

註解ㆍ講解
〈三摩地法〉



開門

3. (發)菩提心의 三-行相(ākāra)
- (勝義ㆍ行願ㆍ三摩地) 3行相, 밀교의 특징 三摩地法 -

3.1 발보리심의 三가지 行相
「旣發如是心已 須知菩提心之行相。其行相者 三門分別」

3.1.1 勝義ㆍ行願ㆍ三摩地
「諸佛菩薩 昔在因地 發是心已 勝義行願三摩地爲戒
乃至成佛無時暫忘」


3.1.2 卽身成佛은 三摩地法을 설하는 밀교에서만이 가능하다
「唯眞言法中卽身成佛 是故說三摩地 於諸敎中 闕而不言」

註解ㆍ講解
〈卽身成佛의 원리〉


本章
本門

1장 〈行願菩提行〉段
1. 行願菩提行
1.1 行願이란
「行願者。我當利益安樂無餘有情界 觀十方含識猶如己身」

註解ㆍ講解
〈行願-보리행: 보현보살과 행원〉
〈보현행원(普賢行願)과 그 의미〉
〈불교는 원행(願行)의 종교이지, 구걸의 종교가 아니다〉

1.2 중생을 利益(이익)되게 하라
- 일체중생은 모두가 불성(如來藏)을 지닌 보살 -
「利益者 謂勸發一切有情 悉令安住無上菩提」

註解ㆍ講解
〈일체중생은 누구나 불성(여래장)을 지닌 보살〉
〈佛乘(밀교)의 가르침으로, 중생에게 如來智를 증득케 하라!〉
〈六道輪廻의 근원은 근본번뇌인 無明妄想(나=중생)에서 기인한다〉
〈승만(勝鬘: śrīmālādevī)부인의 사자후〉

1.3 중생을 安樂(안락)하게 하라
- 一切衆生의 畢竟成佛(필경성불)을 확신하고, 성불할 때까지 大悲門 속에서 도와주고 구제하라! -
「安樂者 謂行人卽知一切衆生畢竟成佛 故不敢輕慢」

註解ㆍ講解
〈대비심으로 중생을 존경하며, 성불의 길로 인도하라〉
〈선교방편(善巧方便: upāya-kauśalya)〉
〈眞言行者는 方便을 究竟으로 삼아 중생을 성불케 한다〉
〈왕사성 비극의 주인공, 아사세-왕자와 제바달다〉


2장 〈勝義菩提行〉段

2. 勝義菩提行(一切法無自性空의 체득)
2.1 勝義菩提行 (相說: 相의 입장에서 諸乘을 비교함)
2.1.1 相說이란?
「前以相說今以旨陳」
註解ㆍ講解
〈眞諦와 俗諦 / 法性宗과 法相宗 그리고 中道(宗)〉
〈勝義菩提心과 空性〉
〈반야(般若)와 상응하는 삶〉
〈天秤(천칭=Balance=저울) / 천칭자리 / 우주중심축, 空=中道〉
〈空의 계절. 放下着의 계절, 保任의 계절, 12월〉
〈제행무상의 중국적 이해, 역학(易學)〉
〈死亡과 涅槃의 차이점〉
〈空의 실천가, 방(龐)거사〉

2.1.2 凡夫와 外道의 삶 (名聞利樣과 天上樂의 추구)
「凡夫執着名聞利養資生之具 務以安身 恣行三毒五欲」

註解ㆍ講解
〈범부의 삶〉
〈外道와 二乘人의 삶 = 幻夢ㆍ陽焰(아지랑이)같은 삶〉
〈『大日經(疏)』 (住心品)의 諸乘의 비판과 心의 轉昇,
(世間三住心 中心), 이에 대한 『菩提心論』의 견해〉
참 고: 〈생노병사로부터 해탈하는 것이 수행목적〉

2.1.3 定姓人中, 二乘(聲聞과 緣覺)人의 삶
- 灰身滅智의 추구 -
「聲聞執四諦法 緣覺執十二因緣 成果位已灰身滅智 趣其涅槃」

註解ㆍ講解
〈二乘人(聲聞乘과 緣覺乘)의 무지무명(無知無明)〉
〈12緣起論의 성립 과정〉
〈성문은 四聖諦에, 연각은 12緣起에 局執(국집)한다〉
〈일체존재=五蘊(paňca-skandha)은 皆空이다〉
〈小乘(Hīna-yāna)과 大乘(Mahā-yāna)의 차이〉
〈금강경과 四相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과 사리불(舍利弗)존자〉
참 고: 〈部派佛敎와 大乘佛敎의 비교〉
〈唯識思想의 출현〉 (제7Manas識ㆍ제8Ālaya識 개념의 등장)
〈五性各別說과 種子이론〉
〈有部人들과 四聖諦(四聖諦現觀)修行〉
참 고: 〈有部(108煩惱說:0)와 唯識學派(128煩惱說:0+X)의 번뇌론〉
〈탐심(貪心)과 진심(瞋心)의 속성〉
〈知足의 생활: 凡事에 감사하라!〉

2.1.4 不定姓人의 삶
「不定性者 無論劫限 遇緣便廻心向大」

註解ㆍ講解
〈不定性人과 廻心向大〉

2.1.5 大乘菩薩의 삶: 久遠而成(佛) = 三劫成佛
「經三阿僧祗劫修六度萬行皆悉具足 然證佛果 久遠而成」

註解ㆍ講解
〈菩薩乘과 3-無數劫 成佛〉
〈大日經의 三劫成佛說과 空海의 十住心說의 對比〉
- 『十住心論』을 중심으로, 제 四住心~제 十住心의 분석 -

〈大乘(Mahā-yāna)불교의 이념과 그들이 지닌 맹점


2.1.6 眞言行者의 삶(卽身成佛의 추구)
「修瑜伽勝上法。能從凡入佛位者 亦超十地菩薩境界」

註解ㆍ講解
〈三密瑜伽行者인 眞言行者는
凡으로부터 곧 바로 佛位에 들어가는 最勝上의 瑜伽行者이다〉

도표: 『보리심론』이 본 諸乘〈凡夫/外道/二乘/大乘〉에 대한 특징과 이들을 보는 밀교행자의 입장〉
〈十地와 十波羅蜜多(Pāraṃitā)의 관계〉
〈현교의 삼겁수행(三劫修行) 차제 成佛說과 밀교의 三妄執(tri-kalpa)차제 卽身成佛說〉

2.2 勝義菩提行 (旨陳: 性의 입장에서 法空을 밝힘)
「云何無自性 前以相說。今以旨陣」

2.2.1 勝義菩提行
- 밀교행자가 알아두어야 할 諸法實相(本旨) -
「深知一切法無自性。若覺悟已 妄想止除 種種法滅 故無自性」

註解ㆍ講解
〈色卽是空 空卽是色〉
〈12緣起와 無明〉
〈無明의 2가지 정의〉
〈청산은 말없이 살라 하고, 창공은 티 없이 살라하네〉
〈백고좌법회의 유래, 인왕호국반야바라밀다경〉
〈반야심경과 正宗(酒)〉

2.2.2 諸法無自性空을 佛의 用인 方便을 통해 설명함
- 無自性空이 大悲의 근원임을 밝힘 -
「諸佛慈悲從眞起用 救攝衆生」

註解ㆍ講解
〈대승불교의 키워드는 般若와 波羅蜜〉
〈諸法의 無自性空을 뗏목에 비유하여 설함〉

2.2.3 能觀인 心의 空性(本無生)을 밝힘
「悟法本無生 心體自如 不見身心 住於寂滅平等究竟眞實之智」

註解ㆍ講解
〈五相成身觀과 空海의 十住心의 對比〉
- 『菩提心論』ㆍ『秘藏寶鑰』을 중심으로 -

〈勝義菩提行이란 一切法의 體인 無自性空의 깨달음을 말한다〉
〈망심(妄心) 일어나면 알아차리되, 절대 따르지 마라!〉

2.2.4 -勝義菩提行(體)과 行願菩提行(用)의 관계성
「十方諸佛以勝義行願爲戒。但具此心者 能轉法輪 自他俱利」

註解ㆍ講解
〈반야(體)와 波羅蜜(用)의 관계〉
〈眞空妙有의 이치〉
〈勝義ㆍ行願 2덕목을 갖춘 자만이 중생을 利樂케 할 수 있다〉

2.3 顯密經典의 引證(인증)을 통해
勝義行과 行願行의 중요성을 강조함

2.3.1 華嚴經(화엄경) 〈十地品〉 의 引證 (1)
- 大乘과 大悲心 -
「悲先慧爲主方便共相應 信解淸淨心 如來無量力 無碍智現前」

註解ㆍ講解
〈대승불교와 이타(大悲心)〉
〈智慧와 大悲心은 어느 것이 먼저일까? 〉
〈信解行地와 불도수행〉
〈『菩提心論』의 『大日經』 三句法門 해석〉
참고: 〈『大日經』 〈三句〉 中 「菩提心爲因」에 대한
『大日經疏』와 『大日經廣釋』의 해석차〉

〈초발심은 妙寶心(묘보심)과 같다〉

2.3.2 華嚴經 〈十地品〉의 인증 (2)
- 十地는 모두 大悲가 근본 -
「從初地乃至十地 於地地中皆以大悲爲主」

註解ㆍ講解
〈華嚴十地(화엄십지)와 大悲心(대비심)〉

2.3.3『觀無量壽經』의 인증
- 업과 과보, 용서(慈悲心) -
「佛心者 大慈悲是」

註解ㆍ講解
〈『觀無量壽經(관무량수경)』: 업과 과보, 용서(大慈悲)〉
〈너는 상행선 나는 하행선〉
〈양무제의 업보: 나무꾼과 원숭이의 業緣, 참회와 용서〉

2.3.4『涅槃經』〈수명품〉의 인증(1), 南無純陀여!
- 佛心이란 大慈悲行 (行願菩提行) -
「南無純陀! 身雖人身 心同佛心」

註解ㆍ講解
〈佛心이란 大慈悲, 용서하라!〉

2.3.5『涅槃經』〈가섭품〉의 인증(2) 發心過三界名最無上
- 발심과 大悲心,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

「發心畢竟二無別 如是二心先心難」 「如是發心過三界 是故得名最無上」

註解ㆍ講解
〈발심은 삼계를 벗어나게 해주므로 最無上이다〉
- 발무상정등정각심(발심)과 중생구제의 大悲心(필경), 어는 것이 먼저일까?

2.3.6『大日經』〈住心品: 三句〉의 원형
「菩提(心)爲因 大悲爲根 方便爲究竟」

註解ㆍ講解
〈大日經 〈三句法門〉의 원형〉




3장 〈三摩地菩提行〉段

3. 三摩地(Samādhi)菩提行
- 삼마지보리행의 완성은 普賢菩提心에 住하는 것으로부터 -
「云何能證無上菩提。當知。法爾應住普賢大菩提心。一切衆生本有薩埵」

註解ㆍ講解
〈普賢大菩提心(我=佛=)에 法爾應住하는 것이 無上菩提 증득의 핵심〉
〈보현보살(普賢:samanta-bhadra)과 보현행원(行願:caryā-praṇidhāna)〉
〈求道의 완성자, 보현보살의 10종-광대행원〉
〈秘密主(비밀주) 금강살타와 보현보살의 관계〉
〈普賢大菩提心이란 自心佛에 대한 信解行證을 의미한다〉
〈大乘思想을 〈實踐原理〉로 採用, 儀軌化한 것이 三摩地菩提行

3.1 月輪觀 (白月觀)
3.1.1 본래의 내 마음은 만월광(滿月光)
「照見本心 湛然淸淨猶如滿月光 遍虛空無所分別」

註解ㆍ講解
〈衆生은 본래 滿月(만월), 三德(삼덕)의 소유자〉
〈實相般若波羅蜜이란 一切法自性淸淨心을 가리킨다〉
3.1.2 自心卽是滿月輪相
「一切有情實含普賢之心 我見自心 形如月輪」

註解ㆍ講解
〈我見自心 形如月輪〉
〈중생의 本有菩提心은 滿月圓明의 体인 태양〉
〈白月觀의 觀法次第(관법차제)〉
〈貪瞋痴 三毒衆生에서 淸淨法身으로 되돌아가자!〉
〈如實知自心: 너 자신을 알라(Gnothi Seauton)!〉
〈唯心偈의 위력, 지옥에서 빠져나온 왕명간〉
〈예수 그리스도와 가롯유다〉

3.2 金剛界 曼茶羅와 三十七尊 (金剛頂經)
3.2.1 五佛과 五智
「於三十七尊中 五方佛位各表一智」

註解ㆍ講解
〈法身 비로자나(Vairocana)佛:
우주의 진리이자 만 생명 길러내는 우주에너지〉
〈法界體性智는 四智의 근본(統合智=總體智)〉
참 고; 〈4-波羅蜜菩薩修行과 四佛〉
〈四智와 五智〉
〈法界體性智〉란 단어는 不空三藏의 역출경에만 보인다〉
〈法身의 효시(嚆矢), 『增一阿含經』〉
〈『大智度論(대지도론)』의 법신설〉
〈一切法無自性空을 체득한 선지식, 거울(鏡)과 海印三昧〉
〈不動明王(부동명왕): 법신 비로자나불의 비서실장〉
참 고: 중생구제를 위한 大悲者(佛)의 3가지 나투심=三輪身
참 고: 〈금강계만다라와 삼륜신(三輪身)의 관계〉

3.2.2 四佛(四智) / 十六大菩薩
「於是印成法界體性中流出四佛也 四方佛各四菩薩爲十六大菩薩也」

註解ㆍ講解
〈4佛과 16大菩薩〉
〈金胎兩部曼茶羅의 上首보살, 金剛薩埵〉
〈空海(弘法)와 最澄(傳敎), 別離의 원인이 된 理趣經〉
〈창녀, 바수밀다의 離欲淸淨法門과 「理趣經」〉

3.2.3 四-波羅蜜菩薩-修行
「四佛智出生四波羅蜜菩薩 三世一切諸賢聖 生成養育之母」

註解ㆍ講解
〈4波羅蜜菩薩은 三世一切의 賢聖들을 生成養育하는 어머니〉
도 표: (四波羅蜜修行ㆍ十六大菩薩)수행과 四智(四佛)의 관계
〈自受用身과 他受用身〉
참 고: 〈金剛界曼茶羅 三十六尊의 出生過程에 대한 諸 經論의 說明〉

3.3 16가지의 空義(般若經)와 16分月
3.3.1『般若經』과 16空
「摩訶般若經中 內空至無性自性空 亦有十六義」

註解ㆍ講解
〈『般若經』의 十六空 / 『大智度論』의 十八空〉
〈자성(自性: sva-bhāva)이란 무엇? 존재하는 것일까?〉

3.3.2 一分(淸)淨性과 16分月
〈16月과 16空, 나=금강살타〉
「一切有情於心質中有一分淨性 如月十六分之一」

註解ㆍ講解
〈16月과 16空, 나=금강살타〉

3.3.3 16大菩薩
「四方佛各四菩薩爲十六大菩薩也」

註解ㆍ講解
〈16月과 16大菩薩, 금강계만다라-수행〉

3.3.4 〈衆生의 自心實相〉
- 16空義와 16대보살과 16分月의 관계 -
「月其一分明相後起月初 日日漸加 至十五日圓滿無礙」

註解ㆍ講解
참고: 『보리심론』의 특징 - 〈勝義菩提心과 行願菩提行을 三摩地菩提行으로 會通시킴〉

3.4 阿字觀 (大日經)

3.4.1 阿字觀 (三句와 五轉)
「阿字者 一切法本不生義」

註解ㆍ講解
〈阿字(A=)〉란?
〈阿字(A=)本不生: Ādyanutpāda〉
〈阿字觀法〉
〈대승보살이 지녀야 할 필수 덕목, 42字觀門〉
〈『大日經』 三句法門에서의 方便爲究竟〉

3.4.2 阿字五轉과『法華經』의 開示悟入
「阿字配解 法華經中開示悟入四字也」

註解ㆍ講解
〈阿字五轉과 『法華經』 의 開示悟入〉
〈阿字五轉에 대한 『理趣釋』 〈不空譯〉의 해석〉
〈『三種悉地破地獄陀羅尼法』과 阿字五轉〉
〈密敎觀法의 중심은 月輪觀일까? 阿字觀일까?〉
〈阿字觀 月輪觀 五相成身觀에서의 觀(내용)과 行果(과덕)의 비교〉

3.4.3 金剛縛(召請=召入)印과 阿字觀 修行
「禪智俱入金剛縛 召入如來寂靜智」

註解ㆍ講解-
〈一頌四句(二頌八句)의 阿字 讚頌(偈)〉
〈참 고〉 〈阿字觀 偈頌〉과 (不読令)에 대한 論爭〉
〈阿字五轉修行과 그 공덕〉
참 고: 〈三劫ㆍ六無畏ㆍ十住心修行의 상호 對比〉
〈(金剛拳印ㆍ金剛縛印ㆍ金剛縛召請(召入)印〉


3.5 三密行과 五相成身(五轉成身)觀
3.5.1 三密行 「修習瑜伽觀行人 當須具修三密行」

註解ㆍ講解
〈현일체색신삼매(現一切色身三昧): 법화경의 妙音보살)〉

3.5.1.1 身密 「身密者 如結契印 召請聖衆是也」

註解ㆍ講解
〈手印(Mudrā)의 의미와 그것이 지닌 위신력〉

3.5.1.2 口密
「語密者 如密誦眞言 文句了了分明 無謬誤也」

註解ㆍ講解
〈dhāraṇī는 dharma와 근원이 같다〉
〈法(dharma)이란?, 정의와 그 功能〉
〈대승보살의 필수덕목, 진언다라니門(mukha)〉
참 고: 文殊五字 (AㆍRaㆍPaㆍCaㆍNa) 관법수행

3.5.1.3 意密
「意密者 如住瑜伽 相應白淨月圓 觀菩提心」

註解ㆍ講解
〈加持와 啐啄同時〉
〈聲字卽是實相〉
〈善波와 惡波〉

3.5.1.4 〈(身ㆍ口ㆍ意)三密의 종합적 의미〉
「修習瑜伽觀行人 當須具修三密行 證悟五相成身觀」

註解ㆍ講解
〈三密瑜伽行法의 형성과정〉
〈三密加持速疾現〉

3.5.2 五相成身觀 (金剛平等智印의 三昧耶)
3.5.2.1 五相成身이란?
「此五相具備 方成本尊身也」

註解ㆍ講解
〈五相成身觀〉
〈五相成身觀의 출현과 그 배경〉
참 고: 〈阿裟頗那迦三摩地(Āsphānaka-samādhi)〉
〈五相成身觀ㆍ十住心ㆍ3-行相, 상호관계〉
- 『秘藏寶鑰』을 중심으로 -
도 표: 〈五相成身觀ㆍ十住心ㆍ3-行相, 相好對比〉
〈阿字觀ㆍ五相成身觀ㆍ(白)月輪觀의 상호 비교〉
3.5.2.2 五相의 體는 普賢薩陀(金剛薩埵)
「圓明卽普賢身 亦是普賢心 與十方諸佛同之」
註解ㆍ講解
〈普賢菩薩(화엄경)에서 金剛薩埵(밀교경전)로〉
〈중생의 업과 그에 따른 인생행로의 차별〉

3.5.2.3 人心은 合蓮華, 佛心은 滿月
「人心如合蓮華 佛心如滿月」

註解ㆍ講解
〈人心=合蓮華(未敷蓮華)〉
〈佛心=白月〉
〈阿字本不生과 發心〉
〈쓰리랑카 佛齒寺, 원숭이들의 白月觀 수행〉
〈법장비구와 超世間의 願〉

4장 問答

4. 문답
4.1 問答決疑를 통한 二乘ㆍ大乘ㆍ眞言乘의 비교
- 一切法無自性空의 再-확증 -
「二乘之人有法執故 不得成佛 三摩地者 云何差別」

4.2 질의에 대한 답변
4.2.1 二乘人
「有法執 久久證理」

4.2.2 大乘人
「經無數劫不可依止」

4.2.3 三摩地者(밀교행자)는 法界體性智와 法身을 證俉한다
「此三摩地者 能達諸佛自性 悟諸佛法身 證法界體性智」


註解ㆍ講解
〈凡夫ㆍ二乘ㆍ菩薩ㆍ佛乘의 차이〉
〈一切智智(者)〉
〈참고〉 法身佛-眞言과 化身佛-眞言
〈我執ㆍ法執 二執의 滅盡시기에 대한 顯密의 입장차〉
〈四種法身과 金胎兩部-만다라〉
〈秘要法門인 三摩地菩提行을 닦는 밀교행자만이 卽身成佛한다〉

4.2.4 眞言行인 三摩地의 수승함에 대한 經證

『大日經』의 敎證
「悉地從心生」

『金剛頂經』의 敎證
「一切義成就菩薩初坐金剛座 證無上道」

註解ㆍ講解
〈悉地(Siddhi=成佛)는 本具의 마음으로부터 生한다〉
〈내 마음이 부처인 줄 알면, 그 마음이 곧 부처〉
〈『菩提心論』의 『大日經』 三句法門 해석〉
〈양무제의 탑사불사와 달마대사의 무공덕 법문〉

4.3 三摩地菩提行의 수행공덕=卽身成佛
「若心決定 如敎修行 不起于座 三摩地現前 應是成就本尊之身」

4.3.1 가르침대로만 수행하면 本尊身을 성취한다
「若心決定 如敎修行 成就本尊身」

註解ㆍ講解
〈淨菩提心은 成佛의 眞因이자 正法을 세우는 種子〉
〈信解行證의 종교가 불교이지만, 현교와 밀교는 그 질이 다르다〉

4.3.2 發菩提心의 공덕 (歸本卽是密嚴國土)
「菩提心能包藏一切諸佛功德法 故若修證出現 則爲一切導師
若歸本卽是密嚴國土 能成一切事」

註解ㆍ講解
〈初發心時 便成正覺〉
〈自燈明 法燈明 不放逸精進 : 최후의 설법〉
〈第五地, 난승지(難勝地)〉
〈三日修心千載寶 百年貪物一朝塵〉
〈無明苦母 般若佛母〉
〈淨法界眞言: 법계를 淸淨케 하는 진언〉
4.3.3 보리심을 칭송함 (讚菩提心)
「若人求佛慧 通達菩提心 父母所生身 速證大覺位」

註解ㆍ講解
〈本有菩提心에 통달하면 父母所生의 몸으로 大覺位를 증득한다〉

跋文

참고문헌(底本ㆍ參照本ㆍ引用經疏ㆍ저서ㆍ논문)

부 록

참 고 1: 阿字五轉과 五相成身觀과의 관계

참 고 2: 金ㆍ胎兩部 曼茶羅上에서의 四種法身
〈중생의 自心實相〉

참 고 3: 十六大菩薩의 眞言과 種字

참 고 4: 금강계만다라의 오불론(五佛論)
- 수인(手印), 좌우수(左右手) 위치와 형태, 그 역동성과 상징성 -
도 표 1. 五佛이 지닌 전체상 (역동성과 상징성)
(五部ㆍ五方ㆍ五大ㆍ五智ㆍ五座ㆍ五色ㆍ五印ㆍ象徵)

도 표 2. 반야축(般若軸)과 자비축(慈悲軸)으로 본 五佛

참 고 5: 金剛界三十六尊의 加持와 神變(功德)

도 표 3. 三十六尊 聖衆의 加持와 그 神變(功德)
- 36聖衆의 加持功德과 三昧耶(持物ㆍ手印) -

〈발표논문〉

〈追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