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려왕릉 기행

고려왕릉 기행

  • 정창현
  • |
  • 굿플러스북
  • |
  • 2023-11-30 출간
  • |
  • 384페이지
  • |
  • 150 X 202 X 22mm
  • |
  • ISBN 9791185818573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남북 공동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꿈꾸다.


고려와 조선을 거치면서 무역 도시로 번성했던 개성은 분단 이후 군사도시로 변모되면서 도시 발전이 정체됐다.
개성 시내 외곽에는 새로운 건물들이 들어서고, 기존 건물에 색깔을 입혔지만, 개성시는 여전히 낙후된 도시로 남아 있다.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개성은 개성공단으로 상징되는 남북경제협력의 거점이지만 남북 문화 협력, 관광 도시로서의 잠재력도 풍부하다.
고려와 조선 시대의 왕릉도 그중의 한 문화 자산이다. 고려왕릉 중에서 태조 왕건릉, 공민왕릉, 명릉군, 칠릉군 등 개성 도성의 서쪽에 있는 일부 왕릉들이 ‘개성역사유적지구’에 포함돼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후 과거보다 보존, 관리 상태가 확연히 개선됐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고려왕릉을 비롯한 고려의 문화유산은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남북 공동 발굴 조사가 중단된 만월대터에는 아무런 제한 없이 관광객들이 찾고 있어 훼손이 우려된다.
과거 개성을 다녀온 역사학자들은 “아직은 괜찮지만, 현재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현재 개성 주민의 삶을 이롭게 하면서 역사 도시로 가꾸어가는 장기 구상과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장기적으로 개성을 통일경제특구의 한 축으로 삼더라도 남과 북의 공동의 문화유산인 고려와 조선 시대의 역사유적을 보존하면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우선 고려왕릉 답삿길을 남과 북이 공동으로 개발해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려왕릉 답삿길은 현재 개성지역에 남아 있는 56기의 고려왕릉을 둘러보는 길을 구간별 관광코스로 기획해 개발하는 구상이다.
답삿길을 개발해 북측에 제시하는 것은 1차적으로는 북한이 아직까지 이러한 답삿길 개념이나 문화자원 활용 개념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남측의 자료 축적과 교류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이 남북 문화 교류, 도시 교류에 나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답삿길을 개발해 북측에 제시하는 것은 1차적으로는 북한이 아직까지 이러한 답삿길 개념이나 문화자원 활용 개념이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남측의 자료 축적과 교류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이 남북 문화 교류, 도시 교류에 나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법제 정비와 기구 신설은 북한이 유네스코가 2003년 채택한 무형유산보호협약에 가입한 후 본격적으로 무형유산 제도 정비에 나선 것을 의미하며, 세계의 문화유산 정책 흐름을 수용한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북한은 문화유산보호법 제정을 전후해 아리랑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도 신청했다.
또한 북한은 2015년 문화유산보호법을 민족유산보호법으로 개정하면서 아예 비물질민족유산의 세부 구분을 유네스코 무형유산협약의 구분과 동일하게 개편했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가 지속되고 한반도 비핵화를 논의하는 국제 회담이 중단된 조건에서 북한의 남북, 해외 문화유산 교류는 제한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문화유산 교류는 비정치적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비핵화 문제와 남북 교류가 분리돼 두 갈래로 추진될 경우 활성화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남북 교류가 막혀 있던 2011년에도 현존하는 북한의 59개 사찰과 6개 폐사지에 대한 상세한 사진 자료가 남쪽에서 출간되고, 개성 만월대 발굴 사업이 이어지고 있는 사례처럼 남북 문화유산 교류와 공동 조사, 공동 발굴을 위한 준비 작업은 정세와 관계없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도 문화유적을 매개로 이뤄진 남북 교류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문화유적 보존, 공동 발굴, 상호 교환 전시, 공동 학술 대회 등 남과 북 사이에는 교류의 폭을 넓혀갈 수 있는 사업들이 많다.
과거 북한과 경기도는 개성의 300여 채 전통한옥마을(민속거리보존구역)을 보존하고, 이를 통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합의한 바 있다.
최근 북한은 개성시 해선리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국청사(國淸寺)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을 남과 북이 함께 협력해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세계문화유산 등재의 상호 협조 및 문화재의 해외 유출 방지, 해외소재 문화재의 환수, 일본의 교과서 왜곡 및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공동 대응 등 대외적인 문제에서도 남과 북은 머리를 맞대고 협력해야 할 일들이 산적해 있다.
특히 문화유산 관련 분야의 교류는 남북의 오랜 분단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는데도 기여할 것이다. 남북의 다름을 이해하고 소통하는데 역사문화유산은 가장 좋은 분야인 동시에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남북이 함께 고려왕릉을 보존하고, 개경도성 답삿길을 공동 개발하는 일을 적극 추진하며, 더 나아가 개성을 ‘역사도시’이자 ‘평화도시’로 상징화할 수 있는 날이 하루속히 다가오길 기대해 본다.

목차

책을 펴내며 : 분단의 굴레에 갇힌 고려왕릉

ᅠ1. 고려, 개성에 터를 잡다
- 왕궁이 들어서고 고려의 역사가 시작되다
ᅠ2. 풍수지리 고려해 터 잡은 고려왕릉
- 도성 밖 동서남북에 고루 배치
ᅠ3. 조선과 북녘에서 "특별대우" 받은 고려 태조 현릉(顯陵)
     - 고려 태조가 잠든 무덤 속에 들어가다
ᅠ4. 두 이복동생에게 밀려 단명한 고려 2대 혜종의 무덤 순릉(順陵)
     - 여러 차례 시도 끝에 마침내 혜종의 무덤을 찾다
 5. 서경(西京) 천도 시도하다 좌절한 정종의 무덤 안릉(安陵)
     - 조선 3대 정종과 행적은 닮은 꼴, 왕릉의 보존상태는 판이
ᅠ6. 왕권 강화에 성공한 광종이 묻힌 헌릉(憲陵)
     - 박연폭포만 찾고 헌릉은 존재조차 몰라
 7. 부자간 선위(禪位)를 못한 고려 경종의 영릉(榮陵)과 성종의 강릉(康陵)
     - 개성공단 옆 진봉산 자락에 묻힌 경종과 성종
 8. 신하에게 살해된 7대 목종(穆宗)의 의릉(義陵) 
     - 사후 3년 만에 도성 동쪽으로 이장
ᅠ9. "사생아"로 태어나 왕위에 오른 현종의 선릉(宣陵) 
     - "선릉(宣陵)"은 현종(고려 8대 왕)의 무덤일까?
10. 200여 년 만에 찾은 형제의 무덤 덕종의 숙릉(肅陵)과 정종의 주릉(周陵) 
      - 부왕(父王)인 현종(顯宗)의 무덤과 근접
11. 고려의 찬란한 문화 황금기를 연 문종의 경릉(景陵)  
       - 조선 시대에도 특별 관리됐지만 퇴락
12. 문종의 두 아들이 묻힌 순종의 성릉(成陵)과 선종의 인릉(仁陵)  
       - 단명과 장수, 엇갈린 운명
13. 헌종의 은릉(隱陵)으로 추정되는 "경릉군제2릉"  
       - 남쪽 학계가 주목하지 않았던 왕릉 새로 발굴
14. 부국강병을 꿈꾼 숙종의 영릉(英陵)  
       - 발굴과 묘역 정비 후 국보유적으로 격상
15. 여진을 정벌하고 9성을 쌓은 예종의 유릉(裕陵)  
       - 황폐화된 왕릉을 70년대에 새로 정비
16. 묘청의 난 겪은 인종 장릉(長陵)의 수수께끼젨ᅠ
- 시책과 많은 유물 출토됐지만 왕릉 위치는 미궁
17. 무신 집권기 개성에 조성된 희릉, 지릉, 양릉  
       - 인종의 아들 3형제가 왕위에 올랐지만 모두 단명
18. 강화 천도 후 조성된 다섯 개의 왕릉ᅠ
- 무덤의 주인공을 두고 여전히 논쟁 중
19. 몽골에 항복하러 갔다 온 원종의 소릉(韶陵) 
       - 5개의 무덤(소릉떼) 중 원종(고려 24대 왕)은 어디에 묻혀 있나?
20. 최근 새로 발굴된 충렬왕의 경릉(慶陵)  
       - 왕비릉 옆에 있었는데 그동안 왜 못 찾았는지…
21. 논란이 많은 충선왕의 덕릉(德陵)과 충목왕의 명릉(明陵)
       - 명릉군 3개 왕릉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22. 충숙왕의 의릉(毅陵)과 폐위된 충혜왕의 영릉(永陵)  
       - 베일에 쌓인 칠릉군의 왕릉 주인공들
23. 15세에 독살당한 비운의 군주 충정왕의 총릉(聰陵)   
       - 묘역은 협소하고 관대도 없어
24.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의 사랑이 깃든 현ᄋ정릉(玄ᄋ正陵)   
       - 조선 시대 왕릉의 모본(模本)이 되다
25. 100명이 넘는 왕후릉은 어디에 있을까? 
       - 왕후릉 관리에 소홀했던 고려
26. 고려왕릉과 개성지역 출토 유물을 감상할 수 있는 고려박물관ᅠ
- 고려 성균관에 전시관 조성하고 고려유물 보존
맺으며 : 고려왕릉의 보존과 남북 교류젨ᅠ
ᅠ - 남북 공동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꿈꾸다
참고문헌
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