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뮤지컬, 어디서 왔는가? 무엇인가? 어디로 가는가?
뮤지컬, 어디서 왔는가? 초기 뮤지컬의 시작은 19세기 말 유럽에서 미국으로 전파되며 버라이어티 쇼, 벌레스크, 민스트럴, 레뷔와 같은 무대 공연의 형태로서 발달되며 오늘날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뮤지컬로 발전되어 왔다.
뮤지컬은 무엇인가? 뮤지컬은 종합예술이다. 춤과 노래와 드라마가 있고 무대와 관객과 배우의 만남을 연결해주는 감각적이고 때로는 화려하며 감동으로 전달해 주는 무대공연이다. 국내 문화 산업에서 뮤지컬은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공연 콘텐츠로 부 상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무대공연이 가능한 뮤지컬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대중음악과 같이 원작이 있는 미디어를 바탕으로 재창작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영상예술의 특성, 드라마가 보여줄 수 있는 드라마 형태의 특성, 애니메이션 영상 활용 기법에 따른 특성, 그리고 이미 지나간 히트곡을 뮤지컬 음악으로 재사용하는 유형과 형태 등이 무대화 했을 때 원작 미디어와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뮤지컬은 어디로 가는가? 서로 다른 미디어믹스를 통한 재창작 물의 개발은 공연예술에서 뮤지컬 창작 방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 다. 그렇기 때문에 원작이 갖고 있는 원천소스를 어떻게 해체하고 분석하여 하나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갖게 한다. 기존의 미디어를 활용하여 뮤지컬화 하는 작업은 재창작 이 갖고 있는 희소성과 가치의 기준을 미디어믹스 사례로 보여주고 있다. 재창작 콘텐츠는 미디어믹스의 구성과 활용에 따라서 새로운 창작 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기존의 원작이 주는 순수성과 흥행 그리고 경제적 효과를 누리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따라서 원작 미디어의 선택에서 관객들이 검증하고 흥행한 매체라도 성공적인 뮤지컬 내용이 될 수 있도록 스토리 구성과 음악에 각별한 요구가 필요하다.
이 책은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스스로의 답을 찾는 탐험의 길이다. 뮤지컬의 출현과 배경, 뮤지컬의 구조와 종류, 뮤지컬 재창 작 콘텐츠의 개념이 밑바탕이 되었다. 뮤지컬이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탐험은 뮤지컬 양식의 콘텐츠 구성요인이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이동과 유형, 믹스 현상과 구성, 영상매체와 무대 영역 그리 고 분석하고자 하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히트곡의 콘텐츠들의 무대화 하는 작업과 관련이 있다. 원작 미디어 영화를 무대 화 작업으로 융합하여 변환시킨 무비컬 〈빌리 엘리어트〉의 뮤지컬 콘텐츠 비교 분석은 뮤지컬 구조와 구성의 맥락에서 원작 미디어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미디어들 간에 믹스되어 어떻게 성공적으로 뮤지컬화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그리고 장편의 드라마가 뮤지컬화한 드라마컬 〈대장금〉에서는 원작 미디어의 내용을 축약하는 대본작업과 음악이 중요하다. 드라마컬(Dramacal)이 다른 재창작 미디어들과 비교해서 흥행성에서는 뒤떨어지고 실패 사례도 나타나지만 국내 뮤지컬 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원작 미디어의 애니컬 〈라이온 킹〉의 사례에서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 넘는 창작 작업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무대에서 재창작되어 활용되는 장면의 변환 과정과 성공요인이다. 주크박스 뮤지컬〈맘마미아〉의 흥행은 주크박스 뮤지컬 재창작으로 이어졌다. 대중적인 히트곡은 뮤지컬에서 구성되는 서사의 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작 미디어 콘텐츠로 제공되고 있다. 주크박스 뮤지컬의 재창작 작업은 음악이라는 대중성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는 탄생할 수 없다. 뮤지컬의 성공과 흥행은 대중의 호응과 관심으로부터 출 발하기 때문이다. 재창작 뮤지컬 콘텐츠는 무대화를 위해 원작 미디어가 지니고 있는 콘텐츠의 우수성을 발굴하고 이끌어 내야했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흘러간 히트곡이 담고 있는 원작의 장점들을 뮤지컬 구성요소로 담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재창작 뮤지컬을 제작하기 위한 미디어믹스 과정은 매우 심도 있는 통찰이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흥행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의미 있는 작업임을 간과할 수 없다.
이 책이 나올 수 있도록 조언해 주시고 협력해 주신 스승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뮤지컬의 탄생과 미디어믹스 과정을 연구하면서 고민할 때 힘이 되어주시고 이끌어 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이재영 교수님과 날카로운 분석력으로 좋은 글을 쓸 수 있도록 용기를 주시고 책이 출판 될 수 있도록 조언해 주신 이종오 교수님, 학문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신 이영구 교수님, 공연기획자에서 학자로 들어설 수 있도록 가까운 곳에서 늘 지지 해 주시고 자문해 주신 추계예술대학교의 이흥재 교수님, 무대예술로서 뮤지컬이란 장르 해석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지켜봐주 신 서울예술대학교의 송희영 교수님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감사 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부족한 원고의 출판을 맡아 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의 신선호 팀장님, 김민정 선생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6년 8월
공연예술축제의 현장 에든버러에서
서정미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