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여러 곳에서 전쟁과 분쟁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고, 국가안보와 국방, 강력한 군사력의 중요성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ㆍ러 양국 간에 안보ㆍ국방ㆍ군사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에서 무엇보다 정확한 통역과 번역은 양국 간 소통의 벽을 허무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들 간에도 안보ㆍ국방ㆍ군사에 관한 의사소통의 불편함을 자주 경험하고 언어적 이질성마저 있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두 국가에 사용되는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이 책은 엄선된 표제어로 상용 어휘 간 결합관계, 최신 전술 및 전략, 안보용어를 체계적으로 수록하였으며 그에 대한 해설도 함께 제공한다. 러시아군, 미군, 한국군, 북한군 사용 용어 병기로 개념을 정리하여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최신 언론매체 신조어를 담았다. 교수, 전문 통역사 및 전ㆍ 현직 군 장교 등 최고 권위의 집필진이 참여하였으며 안보전문가, 군사 관계자, 군 유학생, 국가기관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국방 관련 통역 업무에 관심이 있는 통번역 관들에게도 큰 흥미를 제공할 것이다.
일러두기
Ⅰ. 기호
1 ①②③ 어의(語義)분류기호
2 〓, / 동의어
3 ↔ 반대어
4 ~ 반복기호
5 [ ] 표의 괄호 안에는 약어, 발음과 문법을 표시
6 ( ) 표의 괄호 안에는 추가되는 용례 혹은 부가설명을 기록
7 《》 표의 괄호 안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거나, 강조가 필요한 내용을 기록
8 ◆ 특이사항에 대한 보충설명
9 陸,海,空 육·해공군의 약어
10 복, 남, 여 복수형, 남성형, 여성형을 표시
11 СВ, НСВ 완료체, 불(미)완료체를 표시, 러시아어 (совершенный вид, несовершенный вид) 의약어
12 《속담》 어의(語義)의 분류에 관계없이 용례의 맨 마지막에 수록
Ⅱ. 기록방법
1필기체
가. 관용구 및 특수한 표현은 "굵은 필기체"로 기록하나, 이것의 예문은 "가는 필기체"로 기록
나. 문법적인 표현은 "가는 필기체"로 기록
2한자표기
의미 전달이 모호한 단어에는 한자를 표시
3띄어쓰기
고유명사, 복합어 등은 가급적 붙여 씀을 원칙으로 하고, 띄어쓰기는 한글맞춤법에 준함
4용어선택
다양한 뜻을 가진 용어 선택 시 안보·군사에 가장 근접한 의미만을 기록함을 원칙으로 함
5용어편성
가. 기본 편성은 노어 어원, 한글 번역으로 배열함을 원칙
나. 주요 안보·군사용어의 설명이 필요시 개념을 한글로 풀이하여 기록
다. 러시아만의 특이사항 설명은 군사용어 설명 다음에 기록
라. 생략된 어원이나 복합어는 원어 뒤에 [ ]표의 괄호 안에 약어를 기록예) Ограничение Стратегических Вооружений [ОСВ] 전략무기제한협정[SALT]
마. 한 용어가 한 가지의 뜻만으로 설명될 때에는 기본편성 다음에 줄을 바꿔 기술예) атташе 무관 대사관이나 공사관에서 근무하는 장교
바. 한 용어가 여러 가지 뜻으로 설명될 때는 기본 편성에 부가하여 번호순으로 설명하고, 줄을 바꿔 부가된 번호순으로 개념을 기술예) армия
① 군(한 국가의 무력의 총체) ②군(군단의 상위부대) ③군대 ④육군
① 한 국가의 무력의 총체 ② 수 개 군단 또는 지원부대로 구성되는 최대 행정 및 전술부대 ③ 일반적으로 군대를 통칭하는 말 ④ 지상군 부대를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