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테마 한국불교 6

테마 한국불교 6

  •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8-06-30 출간
  • |
  • 391페이지
  • |
  • 161 X 233 X 37mm / 794g
  • |
  • ISBN 9788978019408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동국대학교 인문한국(HK)연구단은 한국불교가 갖는 로컬의 특성을 글로벌한 시각에서 조명하여 글로컬리티의 확장성을 구현하려는 방향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단은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 확장 담론’을 아젠다로 하여, 2011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총 10년 간 HK사업을 수행 중이며, 현재 3단계 1년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단계 3년간은 한국불교의 ‘원형의 고유성’을 탐색하여 연간 9개씩 27개의 주제를 다루었고 그 결과물로 『테마 한국불교』 1~3을 출간한 바 있다.
2단계에서는 한국불교의 ‘소통의 횡단성’에 초점을 맞추어, [문헌과 사상]에서 ‘텍스트’와 ‘콘텍스트’, [종교와 문화]에서 ‘권력과 종교’, ‘문화와 의례’로 유형화하여 특성화 연구를 하였다. 텍스트로는 신라 원효의 『기신론소』와 『금강삼매경론』, 의상의 『법계도기』, 경흥의 『삼미륵경소』와 둔륜의 『유가론기』, 고려 일연의 『삼국유사』를 선정하여 한국적 사유의 독창적이며 보편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콘텍스트에서는 사본, 금석문, 과문, 교판, 교관, 선교 겸수를 테마로 하여 횡단 문화의 교차적 관점에서 한국불교의 융합적 성격을 추출하였다. 권력과 종교는 승역·승군, 호국·호법, 정교, 정토, 지옥, 윤회의 주제를 다루고 문화와 의례에서는 불교 설화, 어록, 언해불서, 불탑, 갈마, 청규를 주제어로 불교의 한국적 변용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서 『테마 한국불교』6은 2단계 3년차 주제에 해당하는 『유가론기』와 『삼국유사』의 텍스트, 과문 및 선교라는 콘텍스트, 권력과 종교의 정교와 윤회, 그리고 문화와 의례의 언해불서와 청규를 대상으로 한 주제별 개설서이다. 각 테마는 글로벌리티의 관점에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불교의 장기 지속 및 시대적 변화상을 통시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2단계 아젠다 연구 목표인 ‘소통의 횡단성’을 고려하여 인도 이후 중국,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동아시아 세계 공통의 지형과 한국불교의 고유한 특성을 함께 조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는 로컬과 글로벌이 융합된 한국불교의 글로컬한 특성을 ‘변용의 확장성’이라는 관점에서 탐색해 본다.
『테마 한국불교』 시리즈는 다양한 영역과 주제를 포괄하여 한국불교의 전체상을 종합적으로 그려 보는 동국대학교 HK연구단의 공동 연구서이다. 10년간 진행되는 HK 아젠다 연구의 성과물이 모두 10권의 책으로 결실을 맺게 되면, 한국불교의 다채로운 양상과 융합적 특성을 한눈에 바라보면서 의미 있는 비교사적 담론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 설_ 김용태·15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유가론기瑜伽論記 _ 이수미 ● 43

Ⅰ. 『유가론기』의 사상적 배경 및 특징 … 44
『유가론기』의 사상적 위치와 중요성 44/ 『유가론기』의 판본 및
구성 47/ 『유가론기』와 신라 유식학 55
Ⅱ. 『유가론기』에 대한 초기 연구 … 57
『유가론기』의 저자, 성립 시기 및 판본 58/ 신라 출신 논사들의
확정 63/ 『유가론기』의 사상적 입장에 대한 연구 69
Ⅲ. 『유가론기』 연구의 심화

삼국유사三國遺事 _ 박광연 ● 89

Ⅰ. 『삼국유사』의 위상 … 90
『삼국유사』와 『삼국사기』 90/ 근대 학문과 『삼국유사』 91/ 세
계 속의 『삼국유사』 94
Ⅱ. 고려시대 『삼국유사』의 찬술 … 96
찬자 96/ 찬술 시기 98/ 『삼국유사』 찬술의 의도 100
Ⅲ. 조선시대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 … 102
간행 시기와 조선 초기 판본 102/ 중종임신본 105/ 『삼국유사』
간본의 인용 107
Ⅳ. 『삼국유사』의 체제와 해석 … 110
「왕력」ㆍ「기이」 110/ 「흥법」ㆍ「탑상」ㆍ「의해」ㆍ「신주」ㆍ「감통」ㆍ
「피은」ㆍ「효선」 112/ 『삼국유사』 체제에 대한 해석 114
■ 한국 고대 불교문화의 보고 『삼국유사』ㆍ116

콘텍스트

과문科文 _ 김천학 ● 121

Ⅰ. 과문의 개념과 다양화 … 122
과문의 개념 및 범위 122/ 인도불교 문헌의 분과 125/ 중국 남
북조 불교의 과문 127
Ⅱ. 과문의 정형화 과정과 새로운 경전 주석 개념들 … 132
과문의 정형화 과정 132/ 수·당 시대 이후 현담 136/ 경전 주석
개념들 142/ 일본불교 과문의 신형태 148
Ⅲ. 신라·고려 불교의 다양한 과문 형태 … 150
원효의 ‘종요’ 문헌 150/ 의상 『일승법계도』의 자주 형태 152/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의 장 형식 153/ 광본의 요약 제관의
『천태사교의』 155
Ⅳ. 조선시대 과문의 전문화 … 156
조선 후기 과문 문헌의 출현 156/ 설암 추붕의 『선원제전집도서
과평』 157/ 도봉 유문의 『법성게과주』 158
■ 과문, 전통과 현대를 잇다 ㆍ161

선교禪敎 _ 김호귀 ● 165

Ⅰ. 교학과 선종의 근원 … 166
경전의 출현 166/ 교학의 발전과 선종의 출현 168/ 교상판석과
선종의 선리 170
Ⅱ. 선교관의 출현과 전개 … 172
중국 선종과 불립문자 172/ 『선원제전집도서』를 통한 회통의 선
교관 174/ 선교의 융합과 회통 176
Ⅲ. 선교의 차별과 융합 … 181
나말여초의 선교차별 181/ 고려시대 선교융합의 전개 185/ 조
선시대 선교의 교섭 188
Ⅳ. 선교관의 변천과 지향 … 193
선과 교의 긴장-선교차별 193/ 휴정의 선교관-종교입선 196/
선과 교의 통로-선교융합 199
■ 선시불심 교시불어 ㆍ203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정교政敎 _ 조윤경 ● 209

Ⅰ. 인도와 중국의 정교 관계 … 210
인도의 전륜성왕, 아쇼카왕 210/ 북조의 ‘왕즉불’과 폐불 212/
남조 교단과 양 무제 216
II. 고대국가와 불교의 만남 … 221
삼국의 불교 수용과 왕권 221/ 신라의 정치이념과 승관 제도
224/ 신라의 호국의례·법회 226
III. 고려시대 정교결합 … 227
숭불정책 227/ 국가의례 230/ 승군의 국가 수호 232/ 호국신앙
과 고려대장경 235
IV. 조선시대 정교분리와 활용 … 237
성리학적 지배 질서와 ‘억불’ 237/ 의승군의 활약과 불교의 사회
적 위상 239
■ 불교와 정치권력의 역동적 공생 ㆍ242

윤회輪廻 _ 박서연 ● 249

Ⅰ. 인도불교와 윤회사상 … 250
업과 윤회 250/ 무아와 윤회 252/ 아뢰야식과 윤회의 주체 254
Ⅱ. 동아시아 불교와 업·윤회 관념 … 257
중국불교의 윤회 관념 257/ 티베트·몽골 불교의 윤회 관념 260/
일본불교의 윤회 관념 263
Ⅲ. 신라시대 업·윤회사상의 수용과 전개 … 266
신라인의 윤회관 266/ 윤회와 지계 268/ 점찰법회와 윤회 인식
270
Ⅳ. 고려~조선 시대 윤회 관념의 변용 … 272
수륙재의 설행 272/ 효 윤리와 윤회 274/ 육도윤회설과 지옥
277
■ 윤회, 그 간단없는 생사의 수레바퀴 ㆍ280

문화와 의례

언해불서諺解佛書 _ 김기종 ● 285

Ⅰ. 한글의 창제와 불서의 언해 … 286
번역과 언해 286/ 언해의 체재와 양식 287/ 언해의 과정 289
Ⅱ. 조선 전기의 언해불서 … 291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291/ 간경도감과 불서 언해 295/ 지
방 사찰의 언해불서 299
Ⅲ. 조선 후기의 언해불서 … 305
『은중경』의 언해와 유통 305/ 『권념요록』·『염불보권문』 309/
『지장경언해』 313
Ⅳ. 근대 시기의 불경 번역 … 315
백용성과 삼장역회 315/ 권상로의 경전 번역 317/ ‘근대적’ 역경
의 출현 320
■ 승려의 교육과 대중의 교화 ㆍ324

청규淸規 _ 이자랑 ● 329

Ⅰ. 율律과 승제법僧制法 … 330
승가의 형성과 율의 제정 330/ 율의 내용과 제정 목적 332/ 승제
법, 중국적 규범의 등장 334
Ⅱ. 중국과 일본에서 청규의 등장과 발전 … 338
광률의 역출 338/ 선종의 출현과 동산법문의 집단생활 340/ 『백
장청규』와 『선원청규』 342/ 도겐의 『영평청규』 345
Ⅲ. 한국에서 청규의 도입과 변용 … 348
선종의 수용과 청규의 도입 348/ 보조 지눌과 『계초심학인문』
350/ 고려 말 선승의 불교 교단 개혁과 『칙수백장청규』 352/ 불
교 상례집과 청규 355
Ⅳ. 한국 근현대기의 결사와 청규 … 357
근대 한국불교의 청규 357/ 봉암사결사와 공주규약 360/ 『조계
종 선원청규』와 『승가청규』 362
■ 청규, 승가 개혁을 위한 결사의 상징 ㆍ367

찾아보기 _ 373
저자 소개 _ 38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