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창대라는 분이 쓴 글 맞습니까?”
어느 날 우연히 발견된 조상의 유산
이 책은 2081년 3월 4일, 300년 전에 쓰인 《창대의 일기》라는 책이 우연히 발견되었다는 상상에서 시작된다. 《창대의 일기》는 너무나 유명한 《열하일기》를 쓴 연암 박지원의 말고삐를 잡고 함께 청나라로 향한 시종 창대가 쓴 여행기이다.
흔히 노비는 글을 쓸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한글로 쓰인 이 작품은 여러모로 의심의 여지 없이 연암의 《열하일기》에 뒤지지 않는 숨은 명작이었다! 후손들은 뜻밖의 발견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기자회견장에는 기자들이 구름같이 몰려와 이 놀라운 발견에 질문 공세와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퍼붓는다. 연암의 눈이 아닌, 나이와 신분 등 어느 모로 보나 그와 너무나 다른 창대의 눈으로 본 청나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말 아래에서 본 청나라의 생생한 풍경과
모험담에 가까운 연암 일행의 좌충우돌 여행길
이 책은 《열하일기》의 여정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기에, 평소 《열하일기》를 읽고 싶었지만 차마 엄두를 내지 못했던 청소년이나 어른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알찬 ‘《열하일기》 안내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소설 형식을 빌렸지만, 《열하일기》에서 벗어나는 내용은 단 하나도 없는 철저함 위의 상상력을 펼치고 있다.
연암 일행은 청나라를 여행하며 조선에서는 보지 못하는 온갖 진귀한 것들을 만난다.
벌거벗은 닭과 낙타도 구경하고, 청나라 감을 맛보며 색다른 문화를 체험한다.
잘 발달된 수레와 도로, 운하를 보며 청나라의 문물이 조선보다 앞선다는 사실을 깨닫기도 한다. 하지만 이 여행의 최종 목적지인 열하에 당도하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었다. 자동차도 비행기도 없던 시절, 며칠이나 걸려 머나먼 중국 땅에 간다고 생각해 보라! 그래서 가는 길마다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 책은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라 모험담처럼 읽히기도 한다.
이 책에는 삽화와 도판이 풍부하게 실려 있어 《열하일기》를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여러 페이지에 걸쳐 수록한 〈청명상하도〉라는 작품은 규모로 보나 역사적 가치로 보나 중국에서는 국보 1호로 취급하는 대단한 그림이다. 그만큼 당대의 중국 사회를 한눈에 볼 수 있지만 그동안 쉽게 볼 수 없었던 이 그림을 상세히 소개한 책은 이 책이 처음일 것이다!
“연암 어른보다 내가 낫지!”
창대가 없었다면 《열하일기》가 있었을까?
이 책의 주인공은 우리가 익히 아는 연암 박지원이 아니라 그의 시종인 창대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청나라의 흥미로운 풍속뿐 아니라 노비라는 신분에도 당당함을 잃지 않는 창대의 당돌함이 눈에 띈다. 창대는 자신이 모시는 어른임에도 아니다 싶으면 연암 선생에게 거침없이 바른말을 하지를 않나, 때로는 그를 대놓고 놀리기도 한다.
그런데 어린아이처럼 보이는 창대도 가끔 깜짝 놀랄 만한 생각을 하기도 하고, 무서움에 떠는 연암이 탄 말의 고삐를 잡은 채 유독 물살이 센 청나라의 강을 씩씩하게 건너곤 한다. 이런 창대는 그의 눈에 비친 청나라와 여행 중에 떠오른 생각을 《창대의 일기》로 남겼고, 신분이 높고 책을 여러 권 읽어야만 길이 남을 만한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증명했다!
기나긴 여정 내내 연암 선생을 위해서라면 온갖 고생을 마다하지 않은 창대의 여행기를 읽고 나면,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열하일기》 같은 작품도 창대나 장복이 같은 시종들의 노고가 아니었더라면 세상에 나올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