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 기록에서는 이들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상인이 남긴 일기도 있는가 하면, 마을 사람들이 남긴 마을의 이야기도 있어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의 변두리를 살아간 사람들의 일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조선 후기 양반을 향한 오해의 시선 바로잡기
“양반으로 불려지면 이익이 막대하다. 농사, 장사 아니하고, 문사 대강 섭렵하면, 크게 되면 문과 급제, 작게 되면 진사로세.”(『연암집』, 「양반전」 부분) 조선 후기 문신 박지원은 허위의식에 젖은 양반을 문사만 대충 익혀 문과 급제하면 온갖 특혜를 받으며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라고 비판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조선 후기 양반을 어떤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을까? 어쩌면 우리도 여전히 박지원의 작품 수준에서 양반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진 않을까?
저자는 이 책에서 『청대일기』에 수록된 조선 후기 문신 권상일의 관료적 삶을 오롯하게 들여다본다. 사대부로 살았던 권상일은 그의 일대를 『청대일기』에 세세하게 기록해 두었다. 사대부는 학자적 관료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평상시 사(士)로서 공부하고 연구하며 대부(大夫)가 되어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구현하려는 존재다. 그들은 문무를 겸비하려, 도덕적 인간으로 살아가려 부단히 애썼던 자들이다. 저자는 너무나 성실히 견문을 넓혀 갔고, 순수한 소명 의식을 가슴에 품었던 권상일의 삶을 빌려 조선 후기 양반을 향한 오해의 시선을 하나둘씩 거둬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