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닫힌 문 앞에 선 순간, 내 안의 문이 열렸습니다.
우리는 모두 저마다 ‘나의 인생’을 살아가야 합니다.
악몽에 시달리는 심리상담사 아진, 그녀에게 ‘우리를 살려달라’며 한 남자가 찾아옵니다. 남자는 같이 사는 누나가 언젠가 스스로든 엄마든, 누군가를 죽일 것만 같다고, 5년간 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누나를 위해, 방문 상담을 해달라고 간절히 부탁합니다. 아진은 평소와 달리 동요하며 악몽을 꾸게 되고, 이상하게도 이 남매를 거절할 수가 없습니다. 방문 상담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깨고 단 세 번, 우영의 집에 찾아가기로 약속하지요.
그동안 다른 사람들은 억지로 우영의 방문을 열려고 했지만 아진은 달랐습니다. 우영이 원해서 온 게 아니니 우영이 문을 열고 자신을 만나야 할 이유는 없다고, 소란스러운 엄마를 단호한 태도로 내보내는 아진에게 우영은 호기심과 호감을 갖게 되지요. 아진은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문 너머의 우영을 있는 그대로 느껴보려 합니다. 쌓여가는 시간 속에 우영은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을 아진에게 보여주면서 마음의 문을 열어갑니다. 아진은 아진대로 기억의 문을 열고, 살아남기 위해 묻어야 했던 어린 시절의 진실을 향해 나아갑니다.
서로를 만난 덕에 용기를 낼 수 있었던 두 사람, 스스로의 손으로 문을 열고 나온 이들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가만히 속삭입니다. 상처 준 사람을 원망해도 됩니다. 제발 스스로를 벌주지는 마세요. 마음껏 미워하고 실컷 울어버리세요. 그런 다음엔 ‘나의 인생’을 살아가세요. 부디 문밖에 아름다운 계절이 기다리고 있음을 기억하세요
[등장인물 소개]
[고아진]
“우영 씨, 그 안은 재미있어요? 그 안은 편안해요?”
“엄마, 문 닫지 마, 제발…….”
차분하고 섬세한 심리상담사. 일곱 살 때 남동생이 실종된 후,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을 잃었다. 오래도록 반복되는 악몽에 시달리고 있는 그녀는 히키코모리인 서우영의 집을 방문하면서 닫아두었던 기억의 문이 열린다.
서우영
“아무도 날 도와줄 수 없어. 정신 바짝 차려야 해.”
“엄마, 진실을 말해줘, 제발…….”
자신과 동생을 두고 집을 나간 적 있었던 엄마를 대신해, 먼저 세상을 떠난 아빠를 대신해, 일찍 철들어 동생을 돌보던 어린이였다. 아빠의 죽음에 관한 비밀을 알게 된 후, 5년째 히키코모리 생활을 하고 있다.
[서정훈]
“누나가 나오면 엄마가 죽든 누나가 죽든 둘 중의 하나는
죽을 거예요. 제발 우리 가족 좀 살려주세요.”
서우영의 남동생. 고아진을 찾아가 누나를 위해 방문 상담을 해달라고 간청한다. 누나를 구하고, 엄마도 구하고, 우리 가족을 구하고 싶다. 어린 시절 이야기를 아진에게 들려주며 아진이 우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김미숙]
“가시나가 칼을 들고 눈을 이렇게 뒤집어 까는데 사람이 아닙디다.”
우영과 정훈의 엄마. 딸 우영이 집에 틀어박힌 뒤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딸을 집 밖으로 꺼내려고 하며 우영을 자극한다. 원하는 걸 얻기 위해서라면 주변 사람들을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는 교활한 면이 있다.
[최영순]
“아진아, 선호도 같이 있니? 선호 손 잘 잡고 있지?”
고아진의 엄마. 아픈 아들을 살피느라 딸 아진에게 따뜻한 미소 한번 보내지 못했고, 아들의 실종 이후엔 극심한 우울증 속에 아진을 돌보지 못했다. 세월이 흐른 지금, 치매를 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