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정책수립, 투자, 취업 등 의사결정에서 실패를 이기는 법
삶을 산다는 건 크든 작든 끊임없는 판단과 선택의 과정이다. 어느 대학에 입학해야 할지, 어떤 회사에 취업할지, 사업을 한다면 어떤 아이템으로 시작할지, 집을 사야 할지 전세를 들어야 할지, 이번 선거에서는 누구에게 투표할지 등 개인은 물론 사회와 국가가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늘 탁월한 판단과 선택이 요구된다.
그래서 인터넷 정보나 지인들의 조언에 많이 의지하지만, 돌이켜보면 매번 좋은 결과만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왜 그러한가? 그것은 대부분의 선택이 직관과 개인적 믿음, 부분적 지식 등 요컨대 ‘제한된 합리성’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논리적으로 타당하더라도 사람들은 기분이 내키지 않으면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이를 “감정은 논리를 우회 한다”라고 한다. 이성보다는 감정이 행동을 제압한다는 말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이성적 동물’은 반(半)만 맞는 말이다. 그래서 때때로 ‘멍청한’ 선택이나 결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비이성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지나칠 터이고, ‘제한된 합리성’에 의해 행동한다고 말하는 것이 보다 합당할 것이다.
바로 이 점을 꿰뚫어 본 것이 ‘행동경제학’이라는 분야다. 이 책은 《넛지》를 위시하여 기존에 출판된 행동경제학 관련 저술들을 한 단계 더 높게 비판적으로 검토한 결과물이다.
40가지 오류와 편견을 알면, 익숙한 선택에서 벗어날 수 있다
경제 행위에서 잘못된 선택을 다루는 행동경제학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헌법학자와 언어학자로서 저자들은 행동경제학을 넘어 논의를 인지적 오류 전반에 걸쳐 확장하고, 이 기회에 우리 사회에 만연하는 병폐(한국병)도 진단하였다. 그리하여 행동경제학을 넘어 흔히 인간이 저지르면서도 간과하기 쉬운 40가지 오류와 편향을 책에 담았다.
〈1장〉에서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귀납편향 10가지’, 〈2장〉에서는 ‘올바른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연역편향 10가지’, 〈3장〉에서는 ‘지혜로운 의사결정 효과 10가지’, 〈4장〉은 ‘우연과 필연에 대한 통찰 6가지’, 끝으로 〈5장〉에서는 ‘우리 사회의 오류와 편견 4가지(한국병)’을 통해 개인과 사회, 국가가 의사결정시 탁월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지혜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1장〉과 〈2장〉은 인간의 인지적 틀 속에 자신도 분명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편향을 살펴본다. 이런 편향들에 대해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우리의 행동 패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3장〉은 개인의 행동양식과 사회의 메카니즘을 이해하는데 유익한 각종 효과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부화뇌동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포러효과의 포로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4장〉은 행동경제학을 넘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이 흔히 간과하는 오류들에 관한 매우 중요한 주제들을 다룬다. 어리석은 사람일수록 문제의 원인을 잘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엉뚱한 일을 원인으로 오해해서 원망을 퍼붓는 것과 같은 오류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오류들을 검토하였다. ‘한국병 진단’이라고 부제를 단 것처럼 내로남불,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혼동, 가짜뉴스, 기회비용의 무시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하는 오류들을 진단하였다.
이 책을 꼭 읽어야 하는 5가지 이유
1. 한 마디로 고정관념의 뒤통수를 친다. 우리의 관념 세계를 지배해 왔던 확증편향적 사고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당연하다는 생각’을 버려야 함을 깨닫게 한다.
2.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 과정에서 기회비용을 간과하는 것은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돌멩이를 줍는 꼴이다. 악마의 변호사는 왜 필요한가? 왜 우리는 금광에서 돌멩이만 줍고 있는가? 이제 편향과 오류에서 벗어나야 할 때다.
3. 잘못된 선택을 다루는 행동경제학을 긍정하면서도 그 논의를 인지적 오류 전반으로 확장하여 내로남불, 가짜뉴스 등 한국 사회의 병폐에 대한 진단까지 이른다.
4. 관련 사례와 인물의 일화를 끊임없이 인용함으로서 흥미진진하게 빠져든다. 예컨대 ‘만장일치는 무효’라는 논증을 통해서 우리는 한국 헌법재판소 결정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90%이상이 전원일치의 재판이라는 현실 앞에 충격을 받는다.
5. 우연, 인과법칙에 대해 잘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