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적 읽기를 통해 자신만의 고전 읽기로!
- 해석의 역사와 함께 읽는 『논어』
고전, 특히 동양고전을 읽는다는 행위에는 특별한 아우라가 함께한다. 천 년, 혹은 이천 년 이상의 시간을 넘어 지금까지 전해지는 불변의 진리, 혹은 인생이나 처세에 중요한 비법을 담고 있다는 신비함 같은 것들이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을 감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읽지 않는다는 한탄이 가득한 21세기의 한국에서도 여전히 『논어』나 『노자』 같은 고전을 읽고 이해하려는 이들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북튜브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의 책들은 바로 이런 독자들이 더 깊고 더 넓게 동양고전의 세계와 접속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의 첫번째 책이 바로 『독학자를 위한 논어 읽기』다. 『논어』는 공자 이전의 지적 전통을 집대성하고, 이후에 등장하는 모든 학문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동양의 지적 전통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책이다. 그런 까닭에 『논어』에는 ‘성인의 말씀’, ‘만고불변의 진리’와 같은 아우라가 붙기도 했으며, 교조적인 추종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 책은 『논어』에 붙은 이런 더께를 걷어내고 『논어』를 맥락적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논어』를 읽는다는 것은 텍스트 자체뿐만 아니라, 2,500여 년 동안 『논어』를 해석해 왔던 주석의 역사를 함께 이해함을 의미한다는 것. 이를 위해 이 책은 『논어』 텍스트의 성립과 주석사를 상세하게 소개하고, 『논어』에 대한 주석의 실례를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청대와 조선의 주석에 이르기까지 원문과 함께 수록하여 독자들이 직접 『논어』 해석사의 일단을 맛볼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이 책은 지은이만의 『논어』 읽기를 시도한다. ‘독학자의 공부’ 시리즈를 통해 『논어』, 『노자』, 『손자병법』, 『한비자』에 대한 맥락적 읽기를 시도하고 있는 저자 최경열은 이런 읽기의 방식을 통해 자신만의 고전 읽기로 나아갈 것을 권한다. 그러면서 지은이는 각각의 고전에 대해 자신만의 고전읽기를 보여 주는데, 언어와 문학, 역사라는 관점에서 고전을 분석하고 재해석하는 관점이 그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논어』 역시 ‘공자의 언어’ 그리고 ‘역사적 문헌으로서의 『논어』’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 지은이의 주장이다. 시대를 초월하는 진리가 담긴 책으로 추종되던 ‘절대언어’ 『논어』를 공자의 살아 있는 언어가 빛나고 당대의 현실과 맞닿아 숨쉬는 ‘역사적인’ 텍스트로 읽어야 한다는 것. 이런 나름의 해석을 제시하면서 지은이는 독자들 역시 『논어』를 여러 맥락 속에서 다채롭게 읽고 각자가 자신의 고전 해석을 시도해 보도록 응원하는 마음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