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4 글로벌 지역별/국가별 현지 진출전략 및 비즈니스 전략 (1)

2024 글로벌 지역별/국가별 현지 진출전략 및 비즈니스 전략 (1)

  •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 |
  • 산업경제리서치
  • |
  • 2023-10-31 출간
  • |
  • 750페이지
  • |
  • 준비중
  • |
  • ISBN 9791192693750
판매가

440,000원

즉시할인가

39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96,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글로벌 지역별 현지 진출전략 분석

1. CIS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러-우 사태
나. 떠오르는 중앙아시아
다. 시장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기회
라. 커지는 중국의 영향력
마. K-콘텐츠로 확산된 한류
바. 성장을 주도하는 디지털 산업
사. CIS가 향하는 미래 산업
아. 실크로드에서 찾는 새로운 기회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 진출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나. 시장 변화 선제적 대응
다. CIS 미래 유망 산업 협력 확대
라. Online for Offline
마. Team Korea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2. 동남아대양주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전망
나. 주요 권역별 경제지표
(2) "22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교역] 순풍에 돛 단 듯…동남아·대양주의 수출 호조세
나. [소비] 양(量)에 이어 질(質)적으로도 성숙해가는 아세안의 소비시장
① 유리한 인구통계
② 소득 수준 상승
③ FDI 유입 확대에 따른 경제성장 드라이브
다. [정세] 미·중 파워 게임의 메인 격전장, 아세안
라. [관광업] 빠르게 회복하는 아세안 관광업
2) 비즈니스 환경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분석
가.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교류 및 주요 경협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현지 문화와 새로운 트렌드를 접목한 아세안 내수시장 진출
나. 아세안 중심의 글로벌 밸류체인 참여
다. 코로나19 이후, 급증하는 동남아 · 대양주의 인프라 수요 선점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3. 북미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미국 중간선거, 바이든 정부 주요 정책에 영향 전망
나. 미국 연준의 고강도 긴축정책, 세계 경제는 긴장
다. 프렌드쇼어링, 미국 제조업의 부활과 안보
라. ESG,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업과 사회의 변화
마. 엔데믹, 생산과 소비 방식의 변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① 반도체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발효(8.9)
②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효(8.16)
③ 국가 생명공학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발효(9.12)
④ 외국인 투자 제한(M&A 심사 규제 강화) 행정명령 발효(9.15)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
라. 프로젝트
마. 스타트업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교역
① (성공 사례) S社, 북미 전기차·배터리 신규 공급망 진출 기반 마련
② (성공 사례) K社, 미국 항공 방산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 성공
③ (성공 사례) D社, 현지 GP센터 활용하여 생산거점 마련
④ (성공 사례) S社, 팬데믹으로 연기된 발주, 끈질기게 두드려 수출 성공
⑤ (성공 사례) M社, 무역관의 사업기획·제안을 통해 현지 유통망 신규 진입
⑥ (실패 사례) O社, 물류비용, 소비 위축 등으로 제품 개발 완료 단계에서 거래 무산
⑦ (실패 사례) A社, 대응 미흡 및 보수적인 태도로 인해 개발 프로젝트 무산 위기
나. 투자
① 유망 산업 분야(전기차, 배터리, 클라우드) 생산 및 연구 거점 마련
② O社, 현지 법인을 바탕으로 신규 사업으로 영역 확장
③ S社, 현지 인벤토리 관리를 통해 물류비용 절감하고 이커머스 플랫폼 진출 집중
다. 협력 유망 분야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미국 내 반도체 산업 공급망 강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 활용
나. 바이오 제조 산업 확대 및 강화로 시장 진출 기회 포착
다. 북미 소재 글로벌 자동차 OEM과 합작 투자 진출 기회 확대
라. 고물가 시대의 소비 패턴 변화, 소비재 시장 진출전략 재정립
마. 에너지 가격 상승, 미국의 석유·천연가스 프로젝트 재개
바. 한-캐 인공지능 분야(AI) 협력 확대 전망
사. 차세대 자동차의 고부가가치 전장 부품과 차량용 소프트웨어 시장
아. 소비 수요 전환으로 성장 엔진 재가동한 서비스 산업
자. 불안정한 공급망 재구성, 스마트 팩토리와 MaaS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4. 유럽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에너지 위기) 에너지 절감 제품 수요 급증, 대체 에너지 부상
나. (이커머스) 펜대팬데믹 이후에도 이커머스 시장 급성장 지속
다. (이모빌리티) 전기차 300만 시대, E-Mobility이모빌리티 시장 성장 지속
라. (GVC 재편) 각종 규제 강화를 통하여 공급망 내재화 강구
마. (의료기기) 동유럽의병원 현대화 프로젝트, 스마트 헬스케어 수요 증가
바. (방산) 러·-우 사태에 따른 러시아 인근국의 자주국방 위기 고조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진출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교역
[참고] 한국의 對EU 무역 통계치
나. 투자
[참고] 한국의 對세계·권역별 수출 비중 및 투자 진출 추이
다. 협력 유망 분야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에너지 절감 제품 수요 대응, 풍력·태양광 등 에너지 산업 진출 모색
① 히트펌프
② 소형 난방기기
③ 해상풍력
④ 에너지 저장장치 (ESS)
나. 한류 열풍을 활용하여 유럽 소비재 전자상거래 플랫폼 진출
다. 전기차, 배터리 등 성장하는 이모빌리티 시장 선점 기회 포착
① 전기차 충전기/배터리
② 전기자전거·킥보드
라. 병원 현대화 프로젝트, 스마트 헬스케어 등 의료기기 수출
마. K-방산의 폴란드 수출 사례를 기회로 동유럽 시장 공략
바. 투자 진출을 통한 현지화 마케팅, GVC 진입
사. 유럽의 오픈 이노베이션 수요 대응, 차세대 GVC 선점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5. 중남미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2차 핑크타이드’와 미국 금리 인상기조가 미치는 영향
나. 러ㆍ우 사태, 미ㆍ중 경쟁 및 산업 변화에 따른 중남미 원자재 산업 영향
다. 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에 따라 멕시코, 최대 수혜국으로 부상
라. 중남미 탄소중립 분야에 대한 관심도 증가
마. 중남미, 4차 산업혁명 관련 ICT 기술도입 확대
바. 전통적인 소비패턴에서 진화하는 중남미 시장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① 에너지 산업
ⓐ 중남미 재생에너지 현황
ⓑ 원자력
ⓒ 수소산업
② ICT산업
ⓐ 5G 통신망 도입현황
ⓑ 스마트 SOC 분야
ⓒ 스마트팜
③ 의료바이오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진출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유망분야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분야
① (칠레) 우호적인 시장환경을 활용하려 리튬 부가가치 창출 방안을 모색 중
② (아르헨티나) 현지 광물 생산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비즈니스 기회 모색
③ (브라질) 자원개발 및 농업분야 생산성 확대를 위한 협력분야 유망
④ (콜롬비아) 농업 개혁으로 인한 농업분야 투자 및 개발 수요 증가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북미 니어쇼어링 및 프렌드쇼어링을 활용 현지 GVC 편입
나. 중남미 에너지 전환수요 연계 신재생·친환경 분야 전략적 대응
다. 중남미 디지털전환 정책수요 맞춤형 ICT 시장 진출
라. 코로나19로 커진 공공ㆍ민간분야 의료보건 시장 내 사업기회 확보
마. 중남미 新 소비 트렌드 포착 통한 지역 특화 진출전략 수립
바. 자원 부국 중남미, 주요 물자의 대체 공급선으로 협업 방안 모색 필요
사. 한-중남미 FTA 및 중남미 지역통합 활용한 시장 진출 확대
아. 중남미 G2G 및 방위산업 진출 통한 협력 강화
자. 중남미 농업 및 식량안보 관련 新수요 파악, 협력 필요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6. 중동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중동 내 자국우선주의 기조 확산과 대외관계 재정립
나. 재정 회복으로 국가 비전의 추진 동력 확보
다. 고유가를 기회로 ‘석유 없는 미래’를 준비
라.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미래 산업 기술협력 가속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3)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가. 국가 비전 연계 프로젝트 ‘원 팀 코리아’로 참여 기회 확보
나. 자국화 대응을 위한 산업 협력 강화로 현지 인프라 구축
다. 脫석유ㆍ녹색 성장을 위한 탄소중립 기회 선점
라. 디지털ㆍ미래 산업 분야의 기술 스타트업 중동 진출 확대
마. 유통 산업을 견인하는 중동의 이커머스, K-소비재ㆍ콘텐츠로 공략
바. 허브 국가를 활용하여 소비재ㆍ물류ㆍ금융 거래 진출 기회 모색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 (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 (서비스)

Ⅱ. 글로벌 주요 국가별 현지 진출전략 분석

1. 중국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전망
나. 주요 경제 지표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통상] 미국의 對中 정책에 대응하여 중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 추진
나. [정책] 내수 회복을 통해 경제 정상화3에 집중
다. [산업] 안정적 공급을 전제로 첨단ㆍ녹색산업 구3조개혁 추진
라. [시장] 소비계층 분화하는 반면, 인구 감소로 성장여력 약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ㆍ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입
다. 투자
라. 프로젝트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수출입
나. 투자
다. 협력 유망 분야
① RCEP의 발효와 활용
② 지역별 산업 육성정책에 따른 협력 수요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ㆍ산업별 진출전략
가. (新 소비) 소비 트렌드 변화를 반영하여 소비 계층별 진출전략 세분화
나. (디지털化) 중국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ㆍ오프라인 마케팅 강화
다. (GVC) 통상 ·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 GVC 참여 및 재편 전략 수립
라. (그린산업) 탄소중립 · ESG 정책 활용하여 중국 그린산업 진출 확대
마. (지역 협력) 지역 특성별 맞춤형 진출전략 수립 및 하침시장 공략 강화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상품)
(1) 新 소비 분야
(2) GVC 협력 소부장 분야
(3) 녹색 산업 관련 품목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상품)
(1) 의료ㆍ양로 서비스
(2) 취미ㆍ여가 관련 서비스
(3) 디지털 기반 서비스
(4) 교육 서비스
(5) 친환경 플랜트

2. 미국
1)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나. 주요 경제지표
(2) 20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11월 의회 중간선거 실시
나. 고물가·고금리 시대를 맞이한 미국
다. 미-동맹국 중심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 가속화
라.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 강화
마. 기후변화 관련 정책과 지원 확대에 따른 관련 산업 투자 확대
바. 엔데믹 시대 근로·소비 방식의 변화
2)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가. 정치 환경
나. 경제 환경
다. 산업 환경
라. 정책·규제 환경
(2) 시장 분석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나. 수출
다. 투자진출
라. 프로젝트
① 컨 팬 지하수 저장 프로젝트 (The Kern Fan Groundwater Storage Project)
② 산타클라라 밸리 교통공사(VTA)의 베이지역 교통시스템(BART) 실리콘밸리 2단계 프로젝트
③ 디트로이트 고르디 하우 국제 다리(Gordie Howe International Bridge) 건설 프로젝트
④ 뉴욕-뉴저지를 잇는 허드슨 터널 건설
마. 스타트업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협력 의제
가. 교역
① S社
② K社
③ D社
나. 투자
① S社
② O社
다. 협력 유망분야
3) 현지 진출 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 및 산업별 진출전략
가. 바이오 제조산업 확대 및 강화 추세를 활용한 바이오 산업 진입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나. 미국 내 반도체 산업 공급망 강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기회로 활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다. 불안정한 공급망 재편과 함께 미국 제조업계에서 부상하는 MaaS 분야 진출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라.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에 따른 신차용 강판 수요 증가 적극 대응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마. 차세대 자동차가 이끄는 고부가가치 전장·소프트웨어 분야 협력 기회 모색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바. 고물가 시대에 맞는 소비재 진출 전략 재정립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사. 에너지 위기, 석유·가스 프로젝트 재개로 관련 수요 확대에 따른 기회 포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아. 소비수요 전환으로 성장 엔진 재가동한 서비스 산업 공략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자. 식량안보 중요성 강조로 관심 높아진 스마트 농업 주목
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②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첨부 1〉 수출 유망 품목(상품)
〈첨부 2〉 수출 유망 품목(서비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