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봉직의 3년 전문병원 개원하기

  • 박병상
  • |
  • 정다와
  • |
  • 2023-09-26 출간
  • |
  • 352페이지
  • |
  • 182 X 257mm
  • |
  • ISBN 9788969910394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봉직의 단계부터 개원을 준비하는 의사들을 위한 개원 안내서입니다. 경쟁에서 밀리지 않아야 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꼼꼼하게 기술하였습니다.

개원은 의사가 자영업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개원가는 오래전부터 선후배도, 동료도 없는 치열한 전쟁터이다. 어떻게 준비하고 계획하는지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된 것입니다. 의학적인 기술만이 전부가 아님을 알게 됩니다.
처음 의원을 개원하는 단계부터, 병원으로 전환하는 과정 등을 비교적 이해하기 쉽게 현장 경험을 토대로 설명했습니다.

이 책은 총 12장 352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장은 봉직의에 관한 내용입니다. 봉직의 때 이미 개원의 절반 이상을 준비하는 거나 다름없습니다. 봉직의 때 병원에서 친절상을 받았다면 개원의로서 기본 소양이 된 것입니다. 봉직의 잘하는 법, 폼 나게 병원을 떠나 새로운 시작을 하는 법, 그리고 개원가 트렌드까지 봉직의 때도 관심을 두고 개원을 준비하는 내용을 주로 다루었습니다.

제2장은 개원준비 과정입니다. 개원으로서 성공한다는 의미,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어떤 내용을 준비해야 하는지 등을 다루었습니다. 특히 의원을 운영하다 병원을 계획하는 원장을 위한 병원 건립 과정도 설명했습니다.

제3장 의료기관의 구분과 설립은 전문병원, 한방 전문병원 및 재활의료기관 지정, 의료법인 설립 등과 동업개원, 브랜드 네트워크 개원에 이르기까지 의료기관의 종별로 구분하여 설립과정을 설명했습니다.

제4장 개원입지는 아주 중요한 의사결정입니다. 개원입지 선정, 상권분석에 관해 기술하였고, 특히 지역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진료 영역도 사라진 현재의 개원 트렌드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경쟁 병의원 조사 방법, 부동산 이력 조사까지 다루었습니다.

제5장 병의원 시설은 의료기관의 시설 기준 및 규격, 요양병원의 시설, 건물을 매입 또는 임대하여 병원을 개원하는 경우 갖추어야 할 시설에 관해 소개했습니다. 의원의 내부 공간과 기능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루었습니다.

제6장 병원 공간과 건축에서는 병원 건축의 기본 특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고, 병원 설계 단계부터 시공까지 과정의 경험을 토대로 설명했습니다. 몇 번의 건립본부장을 맡으면서 얻은 소중한 경험을 소개했습니다. 건축을 전공하지 않는 입장에서 개원을 준비하는 원장들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리모델링하거나 원장이 소유한 부지에 메디칼 빌딩을 기획하는 방법 등도 현장 경험을 중심으로 설명했습니다.

제7장 병원의 정원과 조직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병원에 근무하는 인력의 업무 범위나 영역, 개원초기 좋은 인력을 선발하는 방법, 인력 추계를 하는 법 등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병원 성장은 우수한 몇 명의 인재의 역할이 크다는 것은 잘 아실 것입니다. 의사뿐만 아니라 기획, 간호, 시설 등의 핵심 인재는 병원의 큰 자산입니다.

제8장 의료장비 부분은 건립과정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장비는 필요장비 리스트 작성부터 도입까지 검토해야 할 사항과 CT, MRI의 장비 규제에 이르기까지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했습니다.

제9장 네이밍과 마케팅은 의료기관 명칭 표시와 병원의 브랜드인 상표권, 의료광고 등에 관해 기술하였고, 병원을 어떻게 사람들에게 차별화할 것인지, 믿을 만한 마케팅 대행업체는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에 관해서 소개했습니다. 검색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개원초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10장 세무와 자금조달은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세무는 초기에 신뢰가 가는 업체를 선정해 함께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병의원의 수익, 비용이나 필요 경비에 대해 좀 더 비중을 할애했습니다. 그리고 개원 투자금과 자금조달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의원의 경우 닥터론 등을 활용하면 되지만,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덩치를 키울 때 부지매입, 건축비 등 소요 비용이 늘어납니다. 어떻게 조달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제11장 병의원 개설과정을 순서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개원 전 배상책임보험이나 화재 보험 등도 소홀할 수 없습니다. 진료 준비 체크 리스트와 개설이후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어떤 절차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제12장 개원이후 병원의 운영과 관련한 사항입니다. 병원이나 의원 모두 시스템이 중요합니다. 규정과 매뉴얼 등이 갖춰지면 병원이 좀 더 스마트해집니다. 원장님의 잔소리도 줄어들게 됩니다. 개원 초 주의해야 할 리스크를 알아보고, 개원이후 경영통계로 병원의 성장을 체크해야 합니다. 개원 후 3년, 진료실을 늘리게 되거나, 이전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때로는 병원으로 종별전환을 계획하기도 합니다.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책의 개요

제1장 봉직의와 개원의

1. 봉직의와 개원의 22
1) 봉직의와 개원의 차이
2) 봉필개선의 시대
3) 봉직의와 개원의 수입
4) 봉직의 이직

2. 봉직의가 병원생활 잘하는 법 26
1) 개원가의 기본 지식
2) 근로계약서 잘쓰는 법
3) 보수와 세금 문제
4) 병원(원장)의 평판
5) 병원의 재무 상태

3. 봉직의 꿈은 개원 29
1) 개원이 꿈인 봉직의
2) 이직과 의업추천 여부
3) 의원과 병원의 적정 개원연령
4) 선호하는 3월 개원

4. 폼 나게 병원을 떠나는 법 32
1) 분노의 퇴직
2) 조용한 퇴사
3) 퇴직은 시작
4) 시작과 실행

5. 병의원 개원 트렌드 36
1) 의료환경 변화
2) 인기과 집중 현상
3) 양극화 현상
4) 서울에 집중된 의원 개원
5) 표시과목의 변화
6) 의, 한, 치과대학과 병의원 개원

제2장 개원준비

1. 의료사업의 길 44
1) 성공한다는 의미
2) 병원의 설립 목적, 미션과 비전
3) 핵심가치와 핵심역량

2. 개원의 정석 49
1) 유사병원 벤치마킹
2) 협상과 계약
3) 인적자원의 병원의 핵심
4) 말보다 문서

3. 병원건립 준비 52
1) 의료기관 사업계획
2) 사업계획서 내용
3) 병원 개원 준비
4) 병원 개원 프로세스
5) 개원 준비 항목

4. 병의원 개원 일정 계획 61
1) 개원 일정 세우기
2) 개원 계획 수립
3) 병원 개원 일정

5. 병원건립 기획 69
1) 병원 건립기획 방법
2) 건립추진단 및 기획단
3) 건립 실행 단계

6. 의료컨설팅의 활용 72
1) 의료컨설팅의 영역
2) 컨설팅을 받는 이유
3) 컨설팅 업체 선정

제3장 의료기관 구분과 설립

1. 의료기관의 구분 76
1) 의료법에 의한 구분
2) 설립구분별 의료기관
3) 개설주체에 따른 의료기관
4) 의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의 표준업무

2. 의료기관 종별 지정기준 81
1) 상급병원 지정 기준
2) 전문병원 지정
3) 한방 전문병원 지정
4) 재활의료기관 지정
5) 인증의료기관

3. 설립주체에 따른 의료기관 91
1) 의료법인 의료기관 개설
2) 부속 의료기관 설립
3) 경제 자유구역내 외국 의료기관 개설
4) 의료 사회적 협동조합

4. 동업개원(Group practice) 99
1) 동업개원이란
2) 동업개원 준비하기
3) 세부적인 동업약정서

5. 브랜드 네트워크 개원
1) 병의원 네트워크 경영
2) 네트워크 병원 구축
3) 네트워크 운영 조직
4) 병원경영지원회사

제4장 개원 입지

1. 입지선정과 진료권 110
1) 개원과 입지선정
2) 개원입지 보는 법
3) 개원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 상권별 개원입지를 보는 법 119
1) 중심상권
2) 지하철 역세권
3) 신도시 지역
4) 택지 개발지구 내 병원입지

3. 전문과목별 개원 추세와 입지 124
1) 진료영역이 모호해진 의료시장
2) 서울 강남의 성형외과 개원
3) 서로 겹치는 진료과
4) 영역을 넓히는 진료과
5) 다양한 진료 피부과
6) 대형화 중심상권 안과
7) 산부인과, 여성의원, 소아청소년의원
8) 거점지역 비뇨의학과
9) 진료컨셉이 중요한 가정의학과
10) 비급여 시장 치과
11) 병상을 갖춘 한의원

4. 경쟁병의원 조사방법 130
1) 카카오맵과 네이버 지도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3) 보건 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
4) 맘카페 키워드 검색

5. 의료와 부동산, 임대계약 133
1) 병원 개원 부지와 건축물
2) 부동산 이력 조사
3) 임대 계약과 개원일정

제5장 병의원 시설

1. 의료기관의 시설기준 138
1) 시설기준 및 규격
2) 의료기관 시설 공동 운영 활용 가능범위
3) 종합병원이 별도로 갖추지 않아도 되는 시설

2. 의료기관의 시설규격 141
1) 입원실
2) 중환자실
3) 음압 격리병실
4) 수술실
5) 응급실
6) 방사선 장치 등

3. 요양병원 시설 153
1) 휠체어 및 복도 공간
2) 환자 편의 증진시설
3) 엘리베이터와 잠금 장치

4. 건물용도 변경 후 병원개원 155
1) 주차 대수
2) 엘리베이터
3) 피난 계단
4) 소방시설
5) 전기 용량
6) 의원용도 건축물

5. 편의시설 설치 대상시설 157
1)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2) 편의시설 설치기준
3) 의원과 병원의 편의시설 종류
4) 환자를 위한 편의시설 유치

6. 의원 내부 공간과 기능 162
1) 동선
2) 대기실
3) 접수
4) 진료실
5) 기타 공간

제6장 병원 공간과 건축

1. 병원건축의 특성 168
1) 4가지 측면의 병원 건축
2) 미래 지향적인 병원 건축
3) 병원 기능에 따른 공간의 분류

2. 병원설계 173
1) 병원의 기본컨셉
2) 설계 업무 내용
3) 병원 설계업체 선정과 계약
4) 단계별 설계
5) 설계도서의 작성방법 기준

3. 건축 심의 및 허가 179
1) 허가 전 건축심의
2) 건축허가
3) 시공전 철거
4) 지하 안정성평가

4. 건축시공사 선정과 시공 180
1) 시공사 선정
2) 건축 시공계약
3) 건축 시공과 현장 소장

5. 감리와 건설사업관리 186
1) 감리자를 정하는 기준
2) 단계별 공사감리 업무 내용
3) CM의 역할과 업무내용

6. 병원 리모델링 188
1) 확장 및 축소전략
2) 리모델링 방법
3) 리모델링 절차

7. 메디컬 빌딩 기획과 건축 193
1) 메디컬빌딩의 성공요소
2) 적합한 입지
3) 건축 규모

제7장 병원의 정원과 조직

1. 병원 근무 직종과 업무 196
1) 병원 직종의 특성
2) 간호사의 업무
3) 간호조무사의 업무
4) 의료기사의 업무
5) 병원 근무자의 업무

2. 병원 조직과 인력추계 203
1) 조직 편제
2) 중소병원의 조직
3) 개원초 적정 인력 추계

3. 통계로 보는 의료인력 205
1) 활동 인력
2) 의료인력의 특징
3) 의료인력과 종사자 수

4. 의료인의 정원 209
1) 의료기관에 두는 의료인의 정원
2) 직종별 정원
3) 당직 의료인의 수
4)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5. 인력선발과 배치, 교육 216
1) 좋은 인재 찾는 법
2) 의원에서 병원으로 종별 전환시 인력
3) 직원 교육
4) 직원의 근로계약
5) 의사의 근로계약

6. 병원의 임금 구조와 근로 224
1) 직급의 구분
2) 호봉제 임금표
3) 최저임금제도와 임금
4) 퇴직금 제도
5) 시용과 해고

제8장 의료장비 선정과 운영

1. 의료장비 선정 234
1) 장비 선정의 기본 원칙
2) 장비선정 검토사항
3) 장비 선정 절차

2.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 241
1) 설치 및 운영
2) 종류
3) 신고 요령

3. CT 및 MRI 장비수와 설치기준 241
1) CT와 MRI 촬영건수
2) 의료자원과 의료이용의 상관관계
3) CT 및 MRI 설치기준

4. 특수 의료장비 설치 운영 246
1) 특수의료장비의 종류
2) 특수의료장비의 설치등록
3) 특수의료장비 운용 인력 기준
4) 특수의료장비의 품질관리검사
5) 특수 의료장비 설치·운영 준수사항

제9장 네이밍과 개원초 마케팅

1. 의료기관 명칭과 상표권 254
1) 의료기관 명칭 본문에는 없는데 넣어 주십시요
2) 진료과목 표시
3) 상표권

2. 브랜드와 네이밍 260
1) 병원 브랜드와 개인브랜드
2) 브랜드 네이밍의 법칙
3) 로고와 심볼, 캐릭터 및 슬로건
4) 병원이름 변경하기

3. 의료광고 규정 270
1) 의료광고 관련 의료법
2) 의료광고의 금지사항
3) 전문병원 명칭 사용 규제
4) 의료광고 심의

4. 병원 포지셔닝 전략 278
1) 포지셔닝(Positionig)
2) 포지셔닝 성공 원칙
3) 전문병원 포지셔닝 전략

5. 개원초 마케팅 282
1) 개원초 광고 예산
2) 믿을만한 마케팅 업체
3) 개원초 홍보매체의 활용
4) 병원 내외부 사인물

제10장 개원초 세무와 자금조달

1. 개원 준비와 세무 290
1) 사업자등록
2) 면세사업자
3) 세무대리인 선임
4) 현금출납부와 증빙서철
5) 거래증빙

2. 세금과 사업장 현황신고 294
1) 종합소득세
2) 신분변경시 소득세 납부
3) 지방세
4) 4대 보험
5) 사업장 현황신고

3. 병의원의 수익, 비용, 필요경비 298
1) 수익항목
2) 비용항목
3) 필요경비

4. 의료기관 회계기준 305
1) 의료기관 회계기준의 준수대상
2) 재무제표
3) 결산서 제출
4) 공시항목

5. 병원 개원 투자금 307
1) 병원의 개원 투자 자금 항목
2) 상가 건물 매입 방법
3) 건물을 임대하여 병원개원

6. 개원자금 조달 방법 310
1) 자기자금 조달
2) 증여와 자금출처
3) 금융권 차입과 거래은행

제11장 병의원 개설

1. 의원과 병원의 개설 318
1) 의원 개설은 신고, 병원은 허가
2) 동일 건축물에서 2개의 의료기관 개설
3) 복수 의료기관 개설 운영
4) 약국과 관련하여 병의원 개설이 불가한 경우
5) 인근 지역 확장 개원

2. 개설신고와 진료준비 325
1) 개설신고시 필요서류
2) 보건의료자원 통합 신고 포털 등록
3) 성범죄 · 아동학대 · 노인학대 경력조회
4) VAN(신용카드단말기) 등록
5) 배상책임보험과 화재 보험

3. 개원 준비 329
1) 환자 권리와 의무 고지
2) 비급여 진료비용 등 고지
3) 의료인 등의 명찰 패용
4) 진료 준비 체크리스트

4. 의료기관 개설사항 변경 334
1) 변경신고 사항
2) 주요시설 현황 변경
3) 대진의 신고와 역할

5. 의료기관 휴업 및 폐업 336
1) 휴업기간
2) 휴·폐업 신고 및 이후 조치
3) 진료기록부 이관

제12장 개원이후 병원 운영

1. 의료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340
1) 개설 허가 취소 또는 폐쇄
2) 면허 취소
3) 업무정지
4) 자격정지

2. 병원의 문서와 규정, 매뉴얼 344
1) 병원의 문서
2) 병원 규정과 서식
3) 매뉴얼(업무 지침서) 작성
4) 개원초 리스크와 해결방법

3. 개원 후 경영평가 347
1) 외래 환자수 통계
2) 환자 거주지별, 성별, 연령별 분포
3) 퇴원 진료비 통계
4) 검사 통계
5) 손익분석

4. 개원 후 3년, 유지하거나 성장하거나 349
1) 진료실을 늘리는 시기
2) 확장을 고려하는 시기
3) 이전을 해야할 시기 및 검토사항
4) 병원으로 종별전환할 시기
5) 성장기와 쇠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