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이 즐길 수 있는 종합예술의 하나인 영화가 사회변혁 운동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영화를 통해 정치적·경제적 권력에 저항하면서 부당한 사회현실을 조명하고자 했다.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한 이러한 노력은 군사 쿠데타와 독재정권 등으로 인해 혼란했던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변혁 운동에 일조하면서 한국영화의 성장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저자는 한국 영화운동에 앞장섰던 그 현장을 직접 취재해 당시 영화인들의 증언과 기록을 통합적으로 되짚어 『한국영화운동사』를 두 권으로 정리했다. 시기는 1980년 광주민중항쟁 전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다. 그 첫 번째 권인 『영화, 변혁운동이 되다』에서는 영화운동의 초석이 된 서울대 동아리 얄라셩에서부터 1990년대 한국 시네마테크 운동까지, 한국영화가 거쳐온 과정을 담아냈다. 기존에 알려진 내용보다는 이면의 이야기에 집중해 숨겨진 이야기들을 많이 발굴했다. 영화인 인터뷰 등 세세한 취재를 바탕으로 기존 기록과 대조해 사실 확인을 꼼꼼하게 했다. 영화인들이 직접 제공한 사진들도 다수 수록되어 당대 모습을 생생하고 다양한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다.
1980년 5월 한국 현대사의 큰 아픔인 광주 학살의 충격과 독재 정권으로 혼란했던 시기, 영화 제작에 관심이 많던 김동빈, 문원립, 홍기선 등 서울대 학생들은 1979년 ‘얄라셩’이란 이름으로 모이게 된다. 1980년 정식 서클이 됐고, 초기 멤버들은 1982년 대학 졸업과 함께 ‘서울영화집단’을 창설해 영화의 꿈을 키운다. 한국영화의 방향을 제시한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를 펴냈고, 〈파랑새〉 등 민중영화를 만들며 80년대 영화운동 전개의 주축이 되었다. 이들은 1986년 일명 ‘파랑새 사건’으로 인해 큰 고초를 겪어야 했는데, 농민들의 삶을 담은 영화 〈파랑새〉가 불온사상을 전파하는 작품으로 간주해 대공분실 조사가 이루어진다. 공안기관이 혐의를 두고 조사하던 사안에서 관련성이 드러나지 않자 풀어주지 않고 별건으로까지 구속, 기소하게 된다. 한국영화 발전에 쐐기를 박고자 한 의도가 담긴 군사독재정권의 탄압이었다.
이처럼 당시 영화를 공부하던 청년들은 암울했던 시기 정치·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과 함께 한국영화가 안고 있는 불합리한 제도와 검열 등에 관한 문제의식을 기본적으로 갖고 있었다. 국가적 폭력과 권력에 맞서 싸우던 영화청년들의 등장과 시대의 영화적 갈증 등을 통해 현재 한국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옛 세대와 차별화됐고, 어떤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는지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한국영화의 중심에 있던 인물들의 젊은 날 모습을 확인하는 쏠쏠한 재미를 안겨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