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얄미움’이란?
아이와 어른, 모두를 위한 그림책
20년 만에 다시 만나는 얄미운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
《얄미운 사람들에 관한 책》은 2002년에 출간되어 우리나라에는 2004년에 처음 소개되었다. 그 후 2019년 토니 모리슨의 서거를 기리며 미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주얼 파커 로즈의 작품 해설이 수록된 20주년 기념판이 출간되었다. 이에 주니어김영사에서도 작품 해설이 추가된 《얄미운 사람들에 관한 책》을 새로 번역하여 다시 소개하게 되었다.
이 책의 원제는 《The Book of Mean People》이다. 여기서 mean은 ‘비열한, 심술궂은, 못된’ 등의 의미로 ‘나쁜’ 행동을 뜻한다. 여기에 고의성이 더해지면 그 의미가 좀 더 명확해진다. 이렇게 고의성이 더해진 나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이 책에서는 ‘얄미운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우리에게 ‘얄미움’이란 어떤 것일까? 알면서도 나에게 못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떠올려 보면 여러 가지 모습들이 그려진다. 아이의 입장에서 얄미운 사람들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앞에서 떠올린 모습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 그려질지도 모른다.
이 책은 아이들의 시선으로 ‘얄미움’에 대해 바라본 책이다. 주인공 꼬마 토끼의 눈에 비친 얄미운 사람에는 주변의 거의 모든 어른이 속한다.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 형, 선생님……. 꼬마 토끼의 눈에는 왜 이들이 얄밉게 보였을까? 어른들은 언제나 아이들이 옳고 바른 생각과 행동을 하길 원하며 이들을 가르치고자 한다. 하지만 아이의 시선에서 어른의 모습은 일관적이지 못하고, 모순되며, 또 부당하기도 하다. 꼬마 토끼는 바로 이런 어른들의 행동을 얄밉다고 말한다. 분명 그렇게 하지 말라고 말했음에도 자신은 그렇게 행동하고 있는 어른들을 보며, ‘나한테는 하지 말라고 해놓고……. 얄미워!’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의 마음을 꼬마 토끼가 대신 말해 주고 있다.
아마도 이 책을 읽는 어린이 독자라면 자신과 똑같은 마음을 지닌 꼬마 토끼를 보며 진정한 친구를 찾았다며 기뻐할 것이다. 그리고 책 속의 꼬마 토끼처럼 주변의 얄미운 사람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용감하고 멋지게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을 헤쳐나가는 방법을 찾는 계기를 얻게 될 것이다. 반면 어른 독자라면 책 속에 묘사된 얄미운 사람이 마치 자기 자신 같아 왠지 모를 뜨끔한 기분이 들 수도 있다. 이 책은 어린이에게는 공감과 용기, 주관을 갖게 해 주며, 어른에게는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며 ‘얄미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한다. 따라서 아이와 어른, 우리 모두를 위한 책이다.
토니 모리슨이 아들과 함께 쓴 그림책.
혹시 토니 모리슨의 아들은 완두콩을 싫어하지 않았을까?
책 속에서 가장 먼저 묘사되는 얄미움은 완두콩이 가득 담긴 숟가락을 꼬마 토끼에게 내밀며 빙긋 웃는 엄마 토끼이다. 어느 집에서나 볼 수 있는 장면으로 우리에게 큰 공감을 불러온다. 이후에도 이런 장면들은 계속 이어진다. “엄마 말 안 들리니?”라며 매일 고함치는 엄마, 제대로 설명도 안 해주고 자기 말만 하는 형, 시간 낭비하지 말고 서두르라고 이야기하는 돌봐 주는 아주머니…….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만나는 장면들은 저마다 집에서 보았을 듯한 장면들이다. 이런 장면들로 책이 완성될 수 있었던 것은 엄마와 아들이 함께 쓴 책이기 때문일 것이다.
토니 모리슨은 동화책에 관심이 많아,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얻은 느낌을 토대로 아들과 함께 8권의 그림책을 펴냈다. 이 책은 그 8권의 책 중 한 권이다. 아들과 함께 쓴 책이어서인지 아이들에게 뭔가를 깨우쳐 주기보다 아이들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의 생각과 행동에 공감하며 응원해 주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엄마와 아들은 이 책을 함께 만들며 어떤 대화를 했을까? 아마도 둘의 추억 속 장면들을 함께 떠올리며 서로에 대한 그때의 감정들을 이야기하고 즐거워하지 않았을까? 아이와 함께 이 책을 읽고 있다면 한번 서로가 얄밉게 느껴지는 순간은 언제인지 이야기해 보는 건 어떨까? 둘의 마음이 좀 더 끈끈하게 연결되는 따뜻한 순간을 맞이할지도 모르니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