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말투만 바꿔도 아이는 달라집니다’
사랑하지만 때때로 이햐할 수 없는 우리 아이
아이와의 소통을 도와주는 엄마의 말 나침반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굴면 안 된다고 했는데.’
‘한 번 더 차분하게 설명해줄 걸 그랬네.’
‘아이의 감정을 알아주는 일이 왜 이렇게 힘이 들지?’
‘나는 너무 부족한 엄마인가 봐.’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큰 부모들은 아이를 보며 쉽게 죄책감에 휩싸인다. 사랑하니까 잘되라고 모진 말도 내뱉고, 어디 가서 예의 없다는 이야기를 들을까 무섭게 혼을 내서라도 버릇을 고쳐야겠다는 마음을 먹는다.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느라 다정하게만 대하면 버릇없다는 소리를 들을까 걱정도 되고, 무섭게 혼내면 자존감이 낮아질까 전전긍긍하게 된다. 아이를 잘 키우고 싶어서 열심히 공부하는데 욱할 때마다 아이가 엄마의 눈치를 보고 주눅 들어 있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아이가 자라는 만큼 엄마도 자란다. 내일은 화내지 말아야지 하고 아무리 다짐해도 아이의 떼와 울음, 핑계 앞에서 무너지는 일이 버겁다면 이 책이 필요하다. 아이에게 해주는 말뿐 아니라 엄마 스스로를 다독일 수 있는 문장으로 엄마의 성장을 응원한다. 피곤하고 힘든 하루를 보내는 엄마가 매일 쓰던 말을 단번에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그 시간은 단순히 말을 바꾸는 시간이 아니라 아이의 말을 경청하고 공감하는 방법을 배우는 기간이다. 아이의 부정적인 감정을 부모가 여유로운 태도로 받아줄 때 아이는 사랑받는다는 안정감을 느끼며 자존감과 회복 탄력성을 익히게 된다. 또한 부모의 단단한 사랑의 말을 바탕으로 책임감, 자기 조절력,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키워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이는 부모의 말을 통해 사랑과 안정감을 느낍니다’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키우는
엄마의 34가지 존중의 말 연습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이자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저자는 아이들을 위해서 한 말이 아이에게 상처가 되고 있었음을 깨달았다. 너무 사랑해서, 걱정해서 한 말이니 아이가 다 이해해줄 것이라는 생각이 자신의 착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저자는 아이들에게 직접 물어보았다. 아이들은 어떤 말을 들을 때 엄마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느낌이 드는지, 상처를 받는지 솔직하게 답을 해주었다.
‘자꾸 말 안 들으면 너 놓고 간다’, ‘엄마가 그렇게 하지 말라고 몇 번 말했어’, ‘그만하라고 했지’ 등 협박, 충고, 판단, 무시, 비난의 말을 아이에게 상처를 주고 있었다. 그때부터 아이에게 인정, 공감, 존중, 사랑, 배려의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와 말을 바꾸는 과정을 SNS에 공유하고 있고 많은 엄마들의 공감을 받게 되었다.
아이를 키우는 일 중에 쉬운 건 하나도 없다. 오히려 매 순간 인내심을 시험받는 느낌을 받고 있을 것이다. 아이는 언어로 자신의 마음을 이야기하는 능력이 미숙하여 울음, 떼, 짜증 등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엄마는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아이가 떼를 쓸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 참고 참다가 욱하며 기분대로 아이에게 화를 낸다.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열심히 책도 읽고 강연을 들어도 아이와 보내는 일상이 변하지 않는다고 느낀다면 ‘말 연습’이 필요한 때다. 아이의 감정을 알아주는 말, 자존감을 높여주는 말, 책임감을 길러주는 말, 형제자매와 자꾸 싸우는 아이에게 필요한 말, 아침에 준비물을 까먹었다고 발을 동동 구르는 아이에게 필요한 말 등 아이에게 해줄 말을 연습해야 한다. 부모의 말이 바뀌면 아이가 달라지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