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 전우택
  • |
  • 박영사
  • |
  • 2023-08-30 출간
  • |
  • 452페이지
  • |
  • 150 X 216 X 5mm
  • |
  • ISBN 9791130318226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1,7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7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통일보건의료의 미래



발간사 _윤동섭
서문 _전우택



PART 01
북한 주민들과 북한 의료인들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경험

01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 경험 분석 _전우택, 신보경, 손인배
02 탈북 북한의사 6인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_전우택



PART 02
보건의료에서 통일미래 만들기

03 통일보건의료 교육 경험 _박용범, 김소윤, 신보경
04 치의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와 과제 _이재훈
05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간호 연구현황과 과제 _김옥심, 추상희
06 북한 모자보건의 질적향상을 위한 협력방안 _이정임, 김소윤
07 약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 _김재송, 손은선, 정진현
08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_최원규


PART 03
북한 COVID-19에 대한 성찰

09 COVID-19와 한반도 평화
: COVID-19는 한반도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가? _전우택
10 북한 팬데믹 상황에 대한 보건의료 협력방안 _신보경, 이정임, 손인배



PART 04
탈북민 정착지원 활동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경험

11 남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_신보경
12 탈북민 정착지원 실무자를 위한 역량강화 및 소진대응 프로그램의 효과
_이영준, 손인배
13 탈북민 돌봄 실무자 감성지능, 업무능력 향상 분석
-소진 예방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_김경숙


부록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10년간의 활동요약(2014-2023)

저자소개

차례


발간사_윤동섭 ⅰ
서문_전우택 ⅲ



PART 01
북한 주민들과 북한 의료인들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경험

01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 경험 분석 _전우택, 신보경, 손인배

Ⅰ. 서론 4
Ⅱ. WHO 보건의료체계 여섯 가지 구성요소를 활용한 분석 7
1. WHO 보건의료체계 여섯 가지 구성요소 7
2. 연구의 구성 8
Ⅲ. 주요 분석내용 12
1. 보건의료 전달체계 12
2. 보건의료 인력 17
3. 보건의료 정보시스템 20
4. 보건의료 접근성 25
5. 보건의료 재정 30
6. 리더십과 거버넌스 33
Ⅳ. 효율적인 남북보건의료 협력 활성화 방안 36
1. 지속적인 인도주의적 지원과 낮은 건강의식 개선을 위한 보건의료 교육 지원 36
2. 보건의료 인력과의 협력 관계 지원 38
3. 북한 내 건강 불평등 완화를 위한 지원 38
Ⅴ. 결론 및 시사점 39


02 탈북 북한의사 6인의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_전우택

Ⅰ. 시작하는 말 45
Ⅱ. 북한 보건의료 현장 이야기 47
1. 호담당의사제도 47
2. 정성의학 50
3. 무상치료의 붕괴 54
4. 북한 의료진의 능력 59
5. 북한의 코로나-19 65
6. 대북 보건의료 지원 73
Ⅲ. 마치는 말: 성찰과 제안 84
1.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갈등 84
2. 부정부패에 대한 절망감 86
3. 처벌 위주의 관료적 체계 속에서의 생존을 위한 대응 87
4. 남한의 대북보건의료 협력 방향 - 평양이 아닌, 도(道) 인민병원 지원 89
5. 북한 의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 91


PART 02
보건의료에서 통일미래 만들기

03 통일 보건 의료 교육 경험 _박용범, 김소윤, 신보경

Ⅰ. 시작하는 말 96
Ⅱ. 통일보건의료 교육의 중요성 98
Ⅲ. ‘통일보건의료’ 교육 경험 99
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DMH 선택과목 “통일과 의료” 99
2.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통일보건의료” 106
Ⅳ. 마치는 말 107

04 치의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와 과제 _이재훈

Ⅰ. 시작하는 말 110
Ⅱ. 치의학 의료 통합을 위한 문제점 111
1. 교육 112
2. 진료 114
Ⅲ. 결론 118


05 북한 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간호 연구현황과 과제 _김옥심, 추상희

Ⅰ. 서론 122
1. 연구의 필요성 122
Ⅱ. 연구 방법 124
1. 문헌 검색 방법 124
2. 문헌 선정 기준 124
Ⅲ. 연구 결과 125
1. 문헌의 일반적 사항 125
2. 주제별 연구결과 127
3.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136
Ⅳ. 연구의 시사점 및 미래 과제 149
1. 본 연구의 시사점 149
2. 간호연구의 과제와 제언 151


06 북한 모자보건의 질적향상을 위한 협력방안 _이정임, 김소윤

Ⅰ. 시작하는 말 160
Ⅱ. 생식건강 관점에서 북한의 모자보건 현황 160
1. 법적·제도적 측면의 북한 모자보건 현황 161
2. 국제사회 보고된 모자보건 현황 163
Ⅲ. 북한 모자보건 향상을 위한 제안 168
1. 먼거리 의료 봉사 체계에 지원 169
2. 보건의료 인력 재교육 지원 171
3. 남북 보건의료 협력의 제도화 172
Ⅳ. 마치는 말 174


07 약학 영역에서의 통일 준비 _김재송, 손은선, 정진현

Ⅰ. 시작하는 말 177
Ⅱ. 본문 178
1. 보건의료서비스 전달 178
2. 보건의료인력 180
3. 보건의료 접근성: 의약품 183
4. 보건의료 리더십 및 거버넌스 187
5. 기타 188
Ⅲ. 마치는 말 192


08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_최원규

Ⅰ. 시작하는 말 196
Ⅱ. 통일보건의료선교 사례 198
1. 약자와 소외된 자를 찾아서(A단체) 198
2. 내일의 평화와 통일의 주인공을 만나며(B의과대학) 199
3. 의료인이 북(北)을 북(book)으로 알아가기(북모임) 199
4. 화해의 풀뿌리 만들기(NEAR) 200
5. 학문적 연구 및 실천의 기초 만들기(KPI) 200
Ⅲ. 선교의 개념 201
1. 선교 201
2. 총체적 선교(Wholistic Mission) 206
3. 의료 선교 211
Ⅳ. 통일보건의료의 의료선교적 접근 213
1. 의료선교의 주체는 하나님이다 213
2. 궁극적인 의료선교의 목적은 하나님을 위해서 하는 것이다 215
3. 의료선교를 실천하는 것은 하나님의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16
Ⅴ. 마치는 말 217


PART 03
북한 COVID-19에 대한 성찰

09 COVID-19와 한반도 평화
: COVID-19는 한반도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가? _전우택

Ⅰ. 시작하는 말: 마지노선이 주는 교훈 222
Ⅱ. 인류에게 주어진 세 개의 과제 또는 “진짜 적” 224
1. 제1과제: 영토와 주권의 확보라는 과제 224
2. 제2과제: 인간의 자유로운 창의성과 기업가 정신 및 활동을 만드는 과제 225
3. 제3과제: 인간의 보편적 생존 위기와 관련된 과제 226
Ⅲ. 한반도가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 228
1. “우선순위 경직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229
2. COVID-19를 한반도 교착 상태의 “게임 체인저”로서 해석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230
3. 한반도 건강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 활동에 나서야 한다 232
Ⅳ. 마치는 말: 한민족이 세계에 던질 “K-메시지(K-message)” 233



10 북한 팬데믹 상황에 대한 보건의료 협력방안 _신보경, 이정임, 손인배

Ⅰ. 들어가며 236
Ⅱ. 개념 논의 240
1. 원조의 확장적 가치: 회복탄력성과 지속가능성 240
2. 정책적 전환의 필요성 대두 - 제거, 억제, 완화 243
Ⅲ.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변이에 대한 대응 245
1. 영국 245
2. 프랑스 246
3. 독일 246
4. 미국 247
5. 일본 248
6. 한국 248
7. 중국 249
Ⅳ. 북한과 코로나19 257
1. 북한의 대응 및 전략 257
2.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북한의 취약상황 270
Ⅴ. 팬데믹 상황에서의 남북보건의료 협력 증진 방안 274
1. 남한 내 협력 275
2. 국제사회와의 협력 277
Ⅵ. 마치며 281


PART 04
탈북민 정착지원 활동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운영경험
(H2: Help for the Helper)

11 남북한 출신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자의 역량 강화 및
소진대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_신보경

Ⅰ. 북한이탈주민과 정착지원자의 관계 296
Ⅱ. 연구방법 299
1. 프로그램 개발 과정 299
2. 프로그램 실행 및 평가 300
Ⅲ. 연구결과 301
1. 분석 301
2. 설계 302
3. 개발 303
4. 적용 304
5. 평가 305
Ⅳ. 결론 및 제언 308


12 탈북민 정착지원 실무자를 위한 역량강화 및 소진대응 프로그램의 효과
_이영준, 손인배

Ⅰ. 들어가며 316
Ⅱ. H2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318
1. 프로그램 개요 318
2. 설문 평가 도구 321
3. 설문 분석 결과 321
Ⅲ. 나가며 330

13 탈북민 돌봄 실무자 감성지능, 업무능력 향상 분석
-소진 예방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_김경숙

Ⅰ. 들어가는 말 337
Ⅱ. 선행 연구 339
1. 감정노동과 소진과의 관계 339
2. 감성지능: 자기인식과 자기조절 341
Ⅲ. H2 프로그램 내용 및 연구 방법 343
1. H2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 343
2. 연구 방법 요약 345
Ⅳ. 연구 결과 347
1. 자기 인식 348
2. 타인 이해 353
3. 리더십의 변화 355
4. 행복감 증진의 힘 357
5. 심리적·신체적 회복 358
Ⅴ. 논의 및 프로그램 효과성 360

찾아보기 _369


부록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10년간의 활동요약(2014-2023) 377

연세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소개 378
연세의료원 제중원보건개발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월례 세미나 381
세브란스 통일의 밤 385

저자소개 _38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