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당전쟁 건곤일척의 승부

나당전쟁 건곤일척의 승부

  • 이상훈
  • |
  • 역사산책
  • |
  • 2023-09-06 출간
  • |
  • 304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91190429320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작가의 말]

나당전쟁羅唐戰爭(670~676)은 약소국 신라가 최강대국 당을 상대로 7년간 벌인 전쟁이다. 당에게는 여러 전장戰場 중 하나였지만 신라에게는 전부였다. 다시 말해 신라는 국가의 명운을 걸고 ‘건곤일척乾坤一擲’의 승부수를 던진 셈이었다.
나당전쟁은 삼국통일의 마지막 단계로, 이 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함으로써 통일신라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최근 신라의 ‘삼국통일’이 아니라 ‘백제 통합’에 불과하며, 우리의 진정한 통일은 고려에 의한 통일이라는 주장이 역사학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설인귀서薛仁貴書」에는 당이 신라 영토로 인정하는 범위가 서술되어 있다. 바로 “평양 이남平壤以南 백제 토지百濟土地”라는 표현이다. ‘삼국통일’ 입장에서는 ‘평양 이남의 고구려 토지와 백제 토지’로 이해하고, ‘백제 통합’ 입장에서는 ‘평양 이남의 백제 토지’만으로 한정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백제 토지는 당연히 평양 이남이다. 수백 년간 전쟁을 해온 신라나 당이 백제 토지가 어딘지 모를 리 없다. ‘평양 이남의 백제 토지’가 성립하려면, 평양 이북의 백제 토지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런데 백제는 평양 이북에 토지를 소유한 적이 없다. 일례로 ‘의주 이남의 신라 토지’나 ‘압록강 이남의 신라 토지’라는 말이 성립할 수 있을까? 신라 토지를 지칭할 때 의주나 압록강은 불필요한 단어다. 임진강 이남의 신라 토지라면 모를까, 의주나 압록강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설인귀서」가 작성된 시기는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7세기다. 7세기에 백제는 대동강 이남을 점유한 적이 없다. 이 지역은 당연히 고구려 영토였다. 고구려는 5세기에 평양 지역으로 천도했고, 평양 이남 황해도 지역은 수백 년간 고구려의 핵심 영토였다.
당 입장에서 신라에게 백제 토지를 준다고 할 경우, 그냥 ‘백제 토지’라고 하면 된다. 그런데 굳이 ‘평양 이남’을 추가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에게는 백제 토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구려 수도였던 평양과 방어에 유리한 대동강이라는 자연 경계가 더 의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평양 이남의 고구려 토지까지는 신라가 차지하는 것에 동의한 것이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는 901년 건국된 ‘후고구려’에서 출발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적이 없다고 가정해보자. 삼국을 ‘통일(676년)’한 적이 없는 신라인데, 어떻게 통일신라 강역 내에서 그것도 200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후고구려’를 지향하며 건국할 수 있었을까? 후고구려의 인구·영토·유산이 통일신라의 것이 아니라면, ‘만주 벌판’ 고구려의 것을 도대체 언제 이어받았을까?
이와 관련해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 세자 대광현大光顯의 존재가 제시된다. 926년 발해가 거란에 멸망하자 934년 대광현은 발해 유민 수만 명을 거느리고 고려로 귀부했다. 고려의 통일이 ‘진정한 통일’이라는 주요 근거다. 당시 발해의 인구는 적어도 수백만 명이었을 것이다. 그중에서 수만 명, 즉 인구만 놓고 보면 채 10퍼센트도 안 되는 이들만 고려로 흡수된 셈이다.
발해 영토는 고스란히 거란으로 넘어갔고 발해 유민이 발해의 후신을 자처하며 건국한 정안국定安國도 거란에 흡수되었다. 우리야 당연히 대광현의 고려 귀부로 ‘완전한 통일’을 이루었다고 강조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입장에서는 발해 인구 90퍼센트 이상과 영토 전체가 거란으로 넘어왔다고 보는 것이다. 게다가 중국 왕조인 거란이 발해의 후신을 자처한 정안국도 흡수했음을 강조한다.
신라가 고구려의 유산을 이어받지 못했다고 본다면, 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명확히 밝힐 수 있어야 한다. 우리만의 역사 인식이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를 충분히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고구려는 물론 발해의 인구·영토·유산을 거란이 다 가져갔다고 주장하는 그 중국을 상대로 말이다.
‘삼국통일’ 문제를 어설프게 대응하다가는 ‘신라만 한국사’라는 중국 논리에 휘말릴 수 있다. 실제 중국은 2017년 동북 고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부여, 고구려, 백제, 발해, 거란의 역사 편년을 발간한 바 있다. 최근 중국은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고 한반도 남부만 병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삼국이 통일되지 못한 상태에서 고구려
는 발해로 이어지고 그 발해는 거란으로 흡수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물론 고구려는 중국의 ‘지방 정권’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논리에 따른다면 신라만 한국 고대국가라는 이야기가 된다.
삼국통일 당시 신라가 흡수한 대동강 이남, 즉 황해도·경기도·강원도 등 고구려 영역의 인구는 적게 잡아도 수십만 명에 달한다. 고려보다 더 많은 인구와 영토를 일차적으로 흡수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고구려 유산도 적지 않게 흡수했음은 분명하다. 통일신라 강역 내에서 후고구려가 건국되었고, 결국 후삼국을 통일하고 발해 유민을 추
가로 흡수했다. 그후 고구려를 지향하며 북진 정책을 펼쳐 통일신라 강역에서 조금 더 북상했다. 조선 또한 고려 강역에서 조금 더 북상해 현재의 국경선을 완성했다.
‘삼국통일’이라는 주제는 역사학계 내부의 단순한 논의에 그치지 않는다. 감상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의도하지 않아도 중국은 우리 빈 틈을 파고들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이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동북공정東北工程’의 속내를 모르면 곤란하다. 현실 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고리타분한 수천 년 전 이야기지만, 북한 정권 붕괴 시 중국의 한반도 개입 명분으로 둔갑할 수도 있다. 타국을 침략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옛 영토, 즉 ‘고토故土를 수복한다’는 명분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아주 현실적인 문제다.
우리가 삼국통일 과정을 제대로 인식해야만 중심을 잡을 수 있다. 나당전쟁은 삼국통일의 마지막 단계로 우리 삼국이 단일 국가로 변모하는 획기였다. 우리는 660년에 멸망한 백제 역사, 668년에 멸망한 고구려 역사에 대해서는 관심이 높다. 하지만 백제와 고구려 멸망 이후 신라와 당이 한반도의 주도권을 두고 벌인 전쟁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진 것일까? 한마디로 말해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관련 사료는 부족한데 한·중·일 학자별 견해가 제각각이어서 하나의 사안을 이해하는 것도 쉽지 않다. 전쟁이라는 다이나믹한 사건이지만 여러 학설을 따라가다 보면 길을 잃고 만다. 여기에 더해 신라라는 국가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마저 적지 않게 작용한다. 과거 사실이 현실 정치의 연장선에서 ‘지역 감정’을 부추기는 도구로 전락하곤 하는 것이다.
2012년 『나당전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지 만 10년이 지났다. 그간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하지만 나당전쟁이라는 주제는 대부분 한국고대사를 전공하는 역사학계 내에서만 소화되었다. 일부 교양서나 인터넷 자료에서 다루어지긴 했지만 일반 대중에게 그리 친숙한 주제는 아니다.
“신라는 왜 전쟁을 시작했고 어떻게 승리할 수 있었을까?” “나당전쟁은 우리 역사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나당전쟁을 대중에게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까?” 나당전쟁 공부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물음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수년간 고민한 결과물이다. 박사학위 논문을 근간으로 『나당전쟁 연구』(2012),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2015), 『신라의 통일전쟁』(2021) 등의 저서와 『아시아경제』 신문에 연재한 「이상훈의 한국유사」(2017~2022) 칼럼 등을 엮어 재구성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1부는 나당전쟁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시기순으로 편성했다. 최근 개별 사건의 연도를 조정해서 이해하려는 연구가 활발한 편이지만, 학술논의가 아니기에 『삼국사기』의 기록을 따라 그대로 정리했다. 2부는 나당전쟁과 관련된 여러 논의와 의문점을 필자 견해를 중심으로 서술했다. 시대순으로 된 1부를 먼저 읽은 후 주제별로 된 2부를 읽으면 나당전쟁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다.
세상에 완벽한 책은 없다. 이 책에는 각주를 따로 두지 않았다. 이를 불친절한 것으로 여기는 독자도 있을 테지만, 딱딱한 학술서가 아니라 옛날 이야기처럼 머리 속으로 상상하는 책이 되기를 바랐기 때문으로 이해해주었으면 한다. 참고문헌은 개인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밝혀두었다.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이 궁금한 독자는 나당전쟁과 관련된 학술서와 연구논문을 참고하면 좋겠다.
또한 개인의 박사학위논문과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서술하다 보니 최근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아쉬움도 있다. 다만 나당전쟁이라는 주제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물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음을 알아주면 감사하겠다. 이 책을 통해 나당전쟁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조금이 나마 높아지기를 기대해본다.

2023년 8월 화랑대에서

목차

책을 펴내며 4
프롤로그 12


1부 ㆍ 나당전쟁의 전개

1장 불타는 사비성과 평양성 21
2장 불만과 불신의 시대 31
3장 신라의 전쟁 준비 41
4장 신라의 선제공격 52
5장 고구려 부흥운동과 신라 62
6장 석성 전투와 웅진도독부 72
7장 신라 수군의 활동 83
8장 당군의 남하와 석문 전투 89
9장 신라의 총체적 위기 97
10장 신라의 방어 체계 강화 106
11장 나당 간 숨 고르기 112
12장 결전을 향해 120
13장 매소성 전투와 신라의 승리 130
14장 기벌포 전투와 당군의 철수 140
15장 전쟁의 종결과 전후 수습 149


2부 ㆍ 나당전쟁의 이해

1장 나당전쟁과 삼국통일전쟁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161
2장 한반도 방기론과 종번론은 무엇일까 169
3장 나당전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77
4장 신라는 백제만 통합하려 하였을까 183
5장 나당전쟁 개전 시점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189
6장 말갈병 참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95
7장 번장과 객장의 의미는 무엇일까 201
8장 나당전쟁기 상처 치료는 어떻게 하였을까 206
9장 구진천이 제작한 노는 무엇이었을까 212
10장 신라는 전쟁 포로를 어떻게 활용하였을까 218
11장 문두루 비법은 실제 존재하였을까 224
12장 경주의 월지와 월성은 어떤 관계였을까 230
13장 매소성 전투를 둘러싼 문제는 무엇일까 236
14장 신라는 왜 전쟁 중에 인장을 배포하였을까 245
15장 기벌포 전투는 과연 허구일까 251
16장 나당전쟁기 당의 군사 전략은 무엇이었을까 257
17장 당의 군사 전략은 언제 토번 중심으로 변화하였을까 266
18장 신라의 군사 동원 능력은 어떠하였을까 273
19장 신라의 전략과 승리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280
20장 나당전쟁 승리의 의의는 무엇일까 288

에필로그 292
참고문헌 30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