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한자사전-한글(우리말)로 한자를 공부한다〉
뜻밖의 사전이 나왔다. 우리말로 한자를 찾는 사전이다. 예를 들면 ‘집’이라는 한자를 알고 싶으면 옥편에서 무엇을 찾아야 할지 막막해진다. 집이라는 한자는 찾으면 생뚱맞은 한자가 나온다. 내가 알고 싶은 사람이 사는 집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그것을 해결해주는 책이 〈우리말 한자사전-한글(우리말)로 한자를 공부한다〉다. 집을 찾으면 이렇게 나온다. 놀랍다. 집이라는 한자가 이렇게 많았는가 싶다. 살펴보자.
ㅇ집
집(堂) 당 : 虛堂習聽 (숭상할 尙 흙 土)
집(宇) 우 : 宇宙洪荒 (집 宀 어조사 于)
집(宙) 주 : 宇宙洪荒 (말미암을 由 집 宀)
집(室) 실 : (이를 至 집 宀)
집(宅) 택 : 奄宅曲阜 (부탁할 乇 집 宀)
집(家) 가 : 家給千兵 (돼지 豕 집 宀)
집(宮) 궁 : 宮殿盤鬱 (등 굽을 呂 집 宀)
집(宸) 신 : (용 辰 집 宀)
집(屋) 옥 : (이를 至 주검 尸)
집(院) 원 : (완전할 完 언덕 阝)
집(邸) 저 : (낮을 氐 저 阝)
집(户) 호 : 户封八縣 (주검 尸 점 丶)
집(房) 방 : 侍巾帷房 (방 方 집 戶)
집(广) 엄 : (머리 亠 삐침 丿)
집(館) 관 : (밥 食 벼슬 官)
집(舍) 사 : 丙舍傍啓 (사람 人 혀 舌)
집(巢) 소 : (퀑 甾 나무 木)
집(閣) 각 : (각각 各 문 門)
집(宀) 면 : (덮을 冖 점 丶)
집(軒) 헌 : (수레 車 방패 干)
집(闕) 궐 : (높을 欮 문 門)
새로운 한자사전의 영역을 개척한 사람은 박병탁 선생이다. 무안(務安) 박가 경북 봉화 출생이다. 또한 영천이씨의 외손 진성이씨 집을 출입하며 성장했다. 1979년 경찰 공채 54기 출신으로 현재 일반행정사를 하고 있다. 어릴 때 어머니의 영향으로 한학에 심취하여 한시를 평생 동안 즐기게 되었다.
한자는 익히기 전에는 글자의 모양과 뜻이 너무 복잡하고 다양하여 접근하기에 두려운 학문이다. 어느 날 마법 천자(千字)에 빠진 여섯 살 손주가 “마귀 마(魔), 귀신 귀(鬼)를 써 봐”, 라는 말에 감동받았다. 공부는 놀이처럼 재미로 해야 지치지 않고 할 수 있고 빨리 깨우칠 수 있음을 보았다. 그래서 한자는 어린이 정서함양에 첩경임을 느끼게 되었고,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출신 아들도 관심이 깊었다. 한자가 가진 마술 같은 힘을 감동하여 혼자 연구하게 되었다. 아이들과 놀이처럼 하다보면 익히게 되는 원리를 발견했다.
한자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인도 등의 고유한 언어문화이다. 한글이 생겨난 이유는 한자를 조선의 백성들이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한 방안으로 만든 것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다. 훈민정음이란, 백성에게 한자의 음(音), 즉 바른 발음, 바른 소리를 가르친다는 뜻이다. 한글은 한자가 기본바탕이 되어 소리(韻)를 나열한 소리 문자다.
운(韻)은 한자의 음절에서 성모(聲母)를 제외한 부분이다. 한자는 소리글자라고 할 수 있다. 한자에 음운학(音韻學)이 필요한 이유다. 한자에서 음운학은 한자의 음운, 사성(四聲), 반절 따위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추상적이고 심리적인 말소리인 음운을 대상으로 음운 체계를 밝히고, 역사적 변천을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우리 민족에게도 익숙한 책인 동국정운(東國正韻)이 대표적이다. 조선 세종 30년, 1448년에 신숙주, 최항, 성삼문, 박팽년, 이개 등의 집현전 학자들이 세종의 명에 따라 편찬한 운서(韻書)다. 중국의 운서인 〈홍무정운〉 등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새로운 체계로 정리한 최초의 음운서로,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및 배경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한자는 세계 유일의 뜻글자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리글자다. 한자는 위대한 글자다. 천년의 세월이 지나도 의미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문자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한자와 한글은 우리 언어문자 문화에 깊이 자리 잡았다. 한자의 구성은, 부수(部首)라고 부르는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부(意味部)와 소리를 나타내는 성부(聲部)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도 증명된다.
또한 한자는 획수(劃數)수와 부수(部首)로 구성된다. 기본 한(-) 획으로 한 글자가 구성될 수 있고, 구성된 글자가 결합하여 다른 뜻의 글자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로서 사람의 몸이라는 뜻의 글자를 알아보고, 돼지를 알아본다.
몸(己) 기 : (이미 已 뱀 巳)
몸(身) 신 : (스스로 自 눈 目 귀 耳 삐침 丿)
몸(躬) 궁 : (활 弓 몸 身)
몸(體) 체 : (풍년 豊 뼈 骨)
몸(軀) 구 : (나눌 區 몸 身)
돼지(亥) 해 : (돼지 亠 다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