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와 동행하는 도시산책
우리는 매일 거리를 걷는다. 출근하기 위해, 쇼핑하기 위해,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그리고 운동하기 위해 잰걸음으로 걷는다. 이때 거리는 목적에 이르는 길일뿐이다. 그러나 산책은 다르다. 산책은 저자가 말하듯 “설렁설렁 느릿느릿” 걷는 걸음이다. 목적 없이 배회하고 경험하는 것이다. 일상에서 한발 떨어져 걷는 느린 걸음에는 우연한 경험이 개입되고 그 장소에 대한 이해가 뒤따른다. 보이지 않던 것을 보게 되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게 되고, 거리가 건네는 말을 듣게 되고, 한 번도 던지지 않았던 질문을 하게 된다.
건축가이면서 수필가이고 어반스케치 작가이기도 한 저자는 “도시의 거리는 늘 사람들에게 말을 건다.”고 말한다. 매일 다른 모습으로 말을 걸어오는 도시의 거리는 “어떨 땐 정겨운 동반자의 모습이었고, 어떤 날은 몸서리치는 혐오의 대상”이었으며, “그러한 거리가 사람에게 거는 말은 위로이기도 애원이기도 하였다.”고 한다. 도시의 거리가 건넨 위로와 애원을 포착한 저자의 시선을 따라 산과 물의 도시 부산을 걸어보자.
평생 살아온 도시의 변화
도시는 날마다 변화한다. 평생을 살아온 도시에서도 격세지감을 느낀다. 그 많은 사람을 품고 있는 도시에서 변화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저자는 “날로 줄어드는 도로 위의 햇빛”이나 “고개를 한참 돌려야 마침내 보이는 하늘”은 아쉬운 일이고, “해를 보지 못하는 나무에 대한 연민” 또한 우리를 우울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끝없이 높아지는 건물을 닮은, 표정을 감춘 사람들의 브레이크 없는 욕망”을 버겁게 끌어안고 있는 도시를 안쓰러워한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도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는 곳도 있다. 광안리 해변에서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이곳의 변모는 마치 내가 나이가 들고 얼굴에 주름이 생기는 속도에 맞추기라도 하듯 실로 천천히 이루어졌으며 무척 자연스러운 것이라서, 나는 이 바다의 변모를 부정하거나 안타까워하지 않고 여전히 친구같이 곁에 선 풍경으로서 사랑하고 자랑한다.”
그리고 청사포에서는 오래된 마을과 그곳에서 삶을 일구어가는 이웃들을 생각한다. “나는 이 마을이 좀 덜 세련된 모습을 여전히 간직하길 바란다. 오래된 작은 집들이 조금씩 수선되어 불편하지 않았으면 하고, 길이 깨끗해지고 불이 더 밝았으면 하는 마을 사람들의 염원이 차츰 받아들여지는 그런 마을이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온 이곳 사람들이 바다를 등지고 고개 너머로 이사 가는 일은 더더욱 없었으면 좋겠다.”
높은 집과 좁은 방을 벗어나는 도시산책
“그곳이 지켜온 이미지와 스토리, 역사와 장소로서의 도시적 맥락”을 잃지 않은 도시는 “생명체가 이루어낸 또 하나의 생명체이며, 그 근원은 개개 시민의 가슴에 닿아 있다.” 그러나 “질식할 만큼 꽉 차버린 집들과 줄어드는 도시의 인구. 용적의 욕심에 건물은 도로에 큰 그늘을 만들고, 좁은 틈으로 건물 사이 바람은 드세어졌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높은 집과 좁은 방에 갇혀 버렸고, 밖으로 나오면 길을 잃는다.”
저자의 맑은 감성과 넓고 깊은 사색의 시선을 따라 갇혀 있던 “높은 집과 좁은 방”을 나와 도시산책에 나서면 잃어버린 길을 찾게 된다. 일상적인 거리는 물론 관광명소로 알려진 벽화마을의 본모습을 다시 생각하게 되고, 재개발 열풍에 휩싸인 도시에서의 우리 삶을 돌아보게 된다. 또 오래 잊고 지낸 “어차피 이 시대가 프로메테우스의 치열한 의지를 망각하고 있을 바에는, 새롭다는 것이 오히려 진부하다고 여긴 이후 뜬금없이 낡고 오래된 것들에 대한 연모의 마음”을 갖게 되고, 그 모든 역사의 어느 시점에 서서 오래된 도시를 담는 저자의 스케치북을 열어 보게 된다. 그렇게 우리는 도시에서 우리를 확인하게 된다. “나는 한 시점의 장면을 기록하려 한다. 내가 그러한 지점에 존재하였다는 개인적 확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