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불시에 맞이하게 된 비대면 수업 방식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지던 학교 교육을 근본에서부터 고민하도록 만들었다. chatGPT로 대표되는 인공지능의 본격적인 등장은 학교 교육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학생 수의 급감 또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의 재구조화라는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은 항상 사회의 변화와 함께해 왔다. 닥친 위기 속에서도 인간은 행복한 삶을 누릴 권리가 있고, 교육은 사회의 요구를 담아내면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 책은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 국어 교육의 미래를 고민하고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단초를 제시한다.
1부는 국어 교육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수ㆍ학습 및 평가 등 국어 교육에 관한 개괄적 내용을 다룬다. 2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추가된 ‘매체’ 영역을 포함하여, 화법 교육, 읽기 교육, 쓰기 교육, 문법 교육, 문학 교육의 6대 영역의 핵심 내용을 다룬다. 3부는 언어 발달, 초기 문해력, 청소년 문화 등 인간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국어 교육에서의 쟁점과 교실 내 학생들 사이의 편차 및 다문화 가정에서의 한국어 교육 등 사회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동안의 노력으로 쌓아 올린 ‘국어 교육의 현재’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끊임없이 탐구해야 할 ‘국어 교육의 미래’를 제시하는 이 책은 국어 교육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친절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