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삶이란 무엇일까?”
“왜 이렇게 불안할까?”
“나는 제대로 살고 있는 걸까?”
건강-행복-관계-인간의
4가지 점검으로 이루어지는
최적의 삶으로 가는 지도가 이 책에 있다!
최적의 삶은 내려놓음과 통찰을 통해 소중한 걸 지키는 삶이다. 중요한 건 균형과 통찰이다. 소중한 것에 적절한 에너지를 올바르게 분배하고,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잘 아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만족스럽고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든다.
이 책은 여러분을 최적의 삶으로 안내한다. 무의식이 인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여러분이 무의식을 탐구하며 최적의 삶을 선택하는 지혜와 통찰력을 기르도록 돕는다.
1파트에서는 ‘무의식과 최적의 삶’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우리가 무의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보다 깊게 다룬다. 2파트부터는 우리에게 필요한 ‘4단계의 점검’을 풀었다. 첫 번째는 몸 건강의 점검이다. 몸의 증상을 살피고 최적의 건강을 이루는 생활 습관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마음 건강의 점검이다. 행복하지 않은 이유를 찾고, 마음을 치유하여 잠재력을 키워야 한다. 세 번째는 관계의 점검이다. 영향을 받는 인간관계를 관리해서 세상과 바르게 연결된다. 네 번째는 자아실현의 점검이다. 삶의 목적과 존재 의미를 이해하여 인생의 참된 방향을 설정한다.
1. 최적의 삶
- 우리는 이미 우리 안의 ‘최적의 삶’을 알고 있다. 이를 눈치채지 못하거나 외면한 채 살고 있을 뿐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3가지 개념을 삶에 활용하여 내면의 속삭임, 무의식의 목소리를 들어라.
2. 최적의 건강
- 건강 스펙트럼을 설정하여 유심히 관찰하라. 우리의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고, 마음의 행복과 몸의 건강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경쟁보다는 상생으로 균형을 맞추고, 생존 욕구와 호르몬을 잘 다루는 것이 핵심이다. 과학의 도움을 받아 생존 기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라.
3. 최적의 행복
- 무의식에 쌓인 부정적인 감정을 쓸어내고 매일매일 떠올랐다 가라앉는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 우리 안의 잠재력을 믿고 발현하는 것이 당신에게 딱 맞는, 최적의 행복을 찾는 방법이다.
4. 최적의 관계
- 인간이기 때문에 관계는 우리의 삶에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경쟁이 아닌 상생의 마음으로 세상을 대하면 함께 성장할 수 있다. 공감하고 환대하라. 당신 주변에 최적의 영향력의 원을 구축하라.
5. 최적의 인간
- 인공지능 시대, 인간을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리 안의 잠재력을 최대로 키워내는 것이 답이다. 당신의 영혼이 담긴 브랜드를 목표로 하라. 최적의 인간으로 살아라.